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일본인의 미의식으로 본 현대 일본주택 경향과 표현 특성

        유재우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9

        This study aims to derive an architectural identity by analyzing the image inherent in the Japanese sense of beauty. To this end, based on the concept of reduction orientation as a theoretical basis,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Japanese sense of beauty and expression that appeared in housing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s. As the subject of the study, it was limited to the JIA Award-winning houses that can represent modern Japanese house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on Japanese aesthetic consciousness, related domestic prior studies were analyz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reduction orientation were synthesiz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at which the expression vocabulary of each housing work was selected. 본 연구는 일본인의 미(美) 의식에 내재되어 있는 이미지를 분석해 건축적 정체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축소지향성 개념을 이론적 근거로 해서, 한국인의 시각에서 주택작품에 나타난 일본인의 미의식과 표현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일본현대주택을 대표할 수 있는 일본신인건축가(JIA)상 수상 주택을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일본인이 보는 일본의 미의식에 대한 문헌을 검토한 후 관련된 국내의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각 주택작품의 표현 어휘가 선택되는 빈도 분석을 통해 축소지향성이 표현되는 특성을 종합하였다.

      • 다원접속(Multiple)이란

        유재우,Yu, Jae-U 한국정보통신집흥협회 1996 정보화사회 Vol.107 No.-

        위성통신에서는 위성에 실린 고가의 중계기를 가능하면 많은 지구국이 공용하는 편이 효율적이 된다. 그 때문에 중계기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나누어 각 지구국에 할당해야 한다. 또 자동차와 휴대전화 등의 이동통신에서도 기지국과 이동기를 연결하는 무선회선에서는 다수의 가입자가 제한된 무선을 이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MVPE:멀티패러다임 시각 프로그래밍 환경

        유재우,최종명 한국통신학회 1998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3 No.9

        Although visual programming is used in many fields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ome dis-advantages can be found when they work together in an integrated programming environment.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there have been researches in combining multiparadigm with visual programming. However they have failed because they tried to combine the paramdigms without any coceptural model and structured method.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a new multiparadigm visual programming environment (MVPE), in which dataflow paradigm, form-based paradign, direct manipulation paradigm, and object-oriented paradigm are integrated together in an object-oriented way,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of "method = paradigm, " This MVPE would overcome the limits of visual programming, and may also lead to the new discipline of visual programming environment.vironment.

      • KCI등재

        이동 에이전트 언어에서 위치개념을 이용한 이동성 확장

        유재우,김성근,김영철 한국통신학회 2000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5 No.4

        Mobility in the mobile agent language is an important issue. The scope range of the agent which can move is closely related with the work which the agent can do for users. The location concept proposed in this paper can make an activity scope of agent various by defining and classifying the destination of mobile agent as a logical and physical location.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java class that describes creation, deletion, and execution of agent and a service system of agent that executes the described program on the computer which is linked to network to assist the location concept. The location concept will advance the mobility of agent and this agent is expected to provide much better service for users. 이동 에이전트 언어에서 이동성은 중요한 문제중의 하나이다. 에이전트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의 크기는 에이전트가 사용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는 일의 범위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도입한 위치 개념은 이동 에이전트의 목적지를 논리적, 물리적, 에이전트 위치로 구분하여 정의함으로써 에이전트의 활동 범위를 다양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에이전트 언어에 위치개념을 지원하기 위해 에이전트의 생성, 삭제, 실행을 기술해 주는 자바클래스 및 기술된 프로그램을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에 구동시키는 에이전트의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이러한 에이전트 언어에 위치개념의 도입은 에이전트의 이동성을 향상시키며, 이러한 에이전트는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우수등재

        자연발생형 안창마을의 노후주택 평면유형과 특성 연구

        유재우,장경이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6 No.10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social interest in providing affordable housing for low-income young people and single-familyhouseholds. It may be necessary to conduct a basic on-site research to respond to this dem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datathat reflects characteristics in future plans based on the field of living of low-income residents, while providing basic data for low-incomehousing plans that can respond to new living needs. The target was for 29 older households over 30 years in the slope village. The studyfirst, the current housing characteristics and housing conditions and the site were recorded in drawings, and secondly, the average residentiallevel was deriv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w-income aging housing plan and the area-specific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publicand private spaces. Third, by analyzing the flat planned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formed in villages naturally formed on slopes, the typewas derived from a typical residential type and change type, expressed in a time series. Fourth, it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characteristics and minimum housing type, such as housing expan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거주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거주자의 실태조사를 통한 생활 현황을 기반으로 향후 주거계획에 반영할 수 있는 계획적인 근거를 마련하고, 한편으로, 안창마을이라는 마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한적이나마, 새로운 생활형에 대응할 수 있는 저소득층 주택계획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사지 마을의 신축 후 30년 이상 저소득층 노후주택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마을 주민의 의식조사를 통해 지속가능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평면 실측조사 분석을 통해 현재 주택특성과 주거 실태와 현장을 도면으로 기록화하고 평면 구성 특성과 거주수준을 도출하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저소득층 노후 주택 평면계획 특성과 공․사적(公私的) 공간의 면적별 구성 특성을 통해 평균적인 주거수준을 도출하고자 하고, 둘째, 경사지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마을에 형성되어 온 평면 계획적 특성을 분석하고, 대표적인 주요 평면 유형을 변화 단계별로 시계열적(時系列的)인 방법으로 종합하고자 한다. 셋째, 주택 증축 등 변용특성과 최소한의 거주형태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