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열변증을 통한 열증 대상자에 산양삼과 재배인삼의 상부 승열 작용에 대한 인체적용시험

        유수정,고성권,김형준,Yoo, Su-Jeong,Ko, Sung-Kwon,Kim, Hyeong-Jun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17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Vol.30 No.4

        Objectives: The aim of this trial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inseng and Wild Cultivated Ginseng to Heat pattern subject. Methods: Eighty-nine Subjects were diagnosed as heat pattern by Cold-Heat Patternization and divided into Ginseng group (n=30), Wild Cultivated Ginseng group (n=31) and Placebo group (n=28) in their 1 st visit. In each visit, The researchers measured the subject's facial temperature using the infrared thermometer (Testo 835-T1). After that, The subjects were asked to mark the current score of flushing on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to complete the Chalder-Fatigue Scale (CFS) in each visit. The subjects took the test drug for one week and returned the remaining drug on the 2nd visit. The trial result was analyzed with one-way ANOVA using SPSS for Windows version 18. Results: 1. Systolic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inseng group and Wild Cultivated Ginseng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21).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cial temperature between each groups. 3. The current score of flushing showed the greatest decrease in the Ginseng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205). 4. The score of Chalder-Fatigue Scale was decreased in all group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80).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aking Ginseng extract and Wild Cultivated Ginseng extract do not affect to heat-rising reaction to the subjects diagnosed as heat pattern.

      • 인체유래물연구에 해당되는 의약품임상시험에서 동의 획득 기준의 법적 문제: <인체유래물연구동의서> 법정 서식의 사용을 중심으로

        유수정,김은애,Yoo, Sujung,Kim, Eunae 대한기관윤리심의기구협의회 2019 대한기관윤리심의기구협의회지(JKIRB) Vol.1 No.2

        In pharmaceutical clinical trials as human material research, the collection, use, storage and provision of human materials must be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stipulated in 「Bioethics and Safety Act」, except in the case that some criteria about it is in the law related to clinical trials such as 「Pharmaceutical Affairs Act」 and 「Enforcement Rule on Safety of Drugs, etc.」 so these take precedence over. Under 「Bioethics and Safety Act」, the core aspect of the legal standard for obtaining informed consent is the use of statutory form <human material research informed consent form>. The use of statutory form ensure that both those who obtain informed consent and those who give it can know the contents contained this form as well as recognize its importance. Thus, the person who has the right to informed consent can sign the statutory form after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In reality, however, some researchers and IRB members determine that only the main informed consent form is to be used because most of contents on statutory from are included in the main informed consent form. Some other researchers and IRB members judge that the use of statutory form is not needed if human materials may only be used for laboratory testing and the rest will not be stored and provided for future use. Most of these determination and judgement i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Bioethics Policy(hereafter, KoNIBP) on IRB Information Portal Site. But,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KoNIBP's interpretation is legally valid and the KoNIBP is the legal entity having authority to interpret existing statute. In some cased not only using the main informed consent form including enough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ion, use, storage and provision of human materials but also collecting necessary minimum human materials, and discarding the rest, unusing the statutory form may not cause the problem to respect and protect the research participant's rights. Therefore, the provision stipulating the criteria about the use of statutory form as the legal standard of obtaining informed consent that applies all human material research without exception should review to revise. At least, straighten out the confusion surrounding whether or not the statutory form is to be used, before the revision of related provision, considering the logical opinions of some researchers and IRB Member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s the legal entity having authority to interpret existing statute should represent its opinion about permission of the acceptable exceptions.

      • KCI등재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천연 조미료 추출물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성 및 세포독성 효과

        유수정,김수현,최형택,오현택,최현진,함승시,Yoo, Su-Jung,Kim, Soo-Hyun,Choi, Houng-Taek,Oh, Hyun-Taek,Choi, Hyun-Jin,Ham, Seung-Sh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5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천연조미료의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RC_{50}$값 $155{\mu}g$으로서 다른 시료보다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천연조미료 추출물 및 그 분획물들의 항돌연변이 효과의 검토는 Salmonella Typhimurium의 변이주인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 test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직접변이원인 MNNG에 대해 시료농도 $200{\mu}g/plate$에서 핵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TA100에서 $79{\sim}84%$의 강한 항돌연변이원성을 보였고 다른 시료에서도 65% 이상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4NQO에 대해서는 TA98과 TA100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천연조미료 에탄을 추출물 1 mg/mL 첨가 시 HeLa, Hep3B, MCF-7, AGS 및 A549에서 각각 83.3%, 61%, 81.3%, 58.9% 및 36.7%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천연조미료 분획물에 대한 억제효과는 시료 농도 1 mg/mL 첨가 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폐암세포인 A549 세포에 대하여 55.7%의 억제효과를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71{\sim}85%$ 정도의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나 물 분획물의 경우 다른 추출물과 비교 시 암세포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암세포에 대한 높은 억제효과에 비해 인간 신장 정상세포 293에 대한 시료를 첨가 시 40% 이하의 생육 억제율을 나타냄으로써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낮은 독성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formed to determine the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the natural seasoning using Lentinus edodes powder (NSLP) by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 donating method, Ames test, and cytotoxicity, respectively. The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in ethyl acetate fraction of NSLP showed $155{\mu}g\;of\;RC_{50}$. The direct antimutagenic effects of ethanol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of NSLP were examined by Ames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In the Ames test, ethanol extract of NSLP alone did not exhibit any mutagenicity and most of the samples showed high antimutagenic effects against mutation induced by N-methyl-N'-nitro-N-nitroso guanidine (MNNG) and 4-nitroquinoline-1-oxide (4NQO). Ethyl acetate fraction of NSLP ($200{\mu}g/plate$) showed approximately 82% inhibitory effect on the mutagenesis induced by 4NQO against TA98 strain, whereas 84% and 80% inhibitions were observed on the mutagenesis induced by 4NQO and MNNG against TA100 strain. In anticancer effects of ethanol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of NSLP against cancer cell lines including human lung carcinoma (A549), human breast adenocarcinoma (MCF-7),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3B), human cervical adenocarcinoma (HeLa) and human gastric carcinoma (AGS) were investigated. The treatment of 1 mg/mL ethyl acetate fraction of NSLP showed strong cytotoxicity of 56.7%, 84.9%, 64.6%, 85.1% and 71.5% against A549, MCF-7, Hep3B, HeLa and AGS, respectively. In contrast 1 mg/mL treatment of NSLP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had only $4{\sim}40%$ cytotoxicity on human transfomed primary embryonal kidney cell (293). From this result, it is suggested that NSLP is believed to have possible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capacities.

      • KCI등재

        피부미용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와의 상관성 연구

        유수정(Su-Jung Yoo),임진숙(Jin-Sook Lim)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3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4 No.4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job stress levels and intensity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beauty & skincare industry workers and how they correlate to each other in order to improve their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beauty & skincare industry workers in Daegu,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as the job stress level increased, health-promoting behavior significantly weakened. In other words,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job stress. According to this analysis, it can be said that beauty & skincare industry workers job stress can be the variable to control their health-promoting behavior. It appear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available as basic data in searching for arbitration to reduce job stress and strengthen health-promoting behavior among beauty & skincare industry workers.

      • KCI등재후보

        자율성과 공동체주의적 생명윤리

        유수정(Yoo, Sujung),최경석(Choi, Kyungsuk) 한국생명윤리학회 2013 생명윤리 Vol.14 No.1

        이 글은 생명윤리 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온 자율성 존중의 원칙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자율성의 근대적 이념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생명윤리담론에서 자율성 존중의 원칙은 사실상 자유 존중의 원칙에 가까운 것이었다고 비판한다. 자율성이 지나치게 강조되었던 것은 자유주의적 개인주의가 사회이념으로 자리 잡는 사회상의 반영이기도 했다. 그러나 자율성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적 생명윤리 담론은 생명윤리적 쟁점들이 지닌 사회적 측면에서의 문제들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게 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새로운 접근방법으로서 공동체주의에 주목한다. 이 글에서 지지하는 공동체주의는 권위주의적 공동체주의가 결코 아니며, 자율성이라는 개인선과 공동선의 균형을 추구하는 공동체주의이다. 칼라한의 견해에서 주목할 수 있듯이, 공동체주의는 첨단 의·생명과학기술들의 수용과 관련하여 “그 기술이 우리 모두에게 무엇을 의미할 것인가?”라는 질문부터 제기함으로써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한다. 이것은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자들이 어떤 새로운 기술이 단지 개인들에게 유용하다거나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고, 그 기술의 수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과는 다른 접근이다. 아울러 칼라한은 자유로운 선택 중에서도 무엇이 좋고 나쁜 선택인지 구별하는 것까지 자율성 개념이 확장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공동체주의가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해 어떤 새로운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생명윤리적 쟁점을 형성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동체주의는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따라서 공동체주의적 관점에서는 생명윤리학에서 답해야 하는 문제들이 지금과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문제들이 지금과는 다르게 해결되어야 함을 공동체주의는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critically considers “the principle of respecting autonomy” which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ioethical discourse. Although not rejecting the modern ideal of autonomy, this paper argues that the principle of respecting autonomy is no more than that of respecting freedom. The overestimation of autonomy reflects the social atmosphere in which liberal individualism had become an ideology. However, liberal individualistic bioethical discourses based on autonomy has their limitation in that it does not fully deal with social problems embeded in bioethical issues. Thus, this paper argues that we need to explore a new approach to bioethical issues and to note a communitarian approach as a new one. Communitarianism this paper supports is not an authoritarian one, but responsive one that pursues the balance between individual good like autonomy and common good. As Callahan points out, communitarianism suggests a new approach by raising the question, “What will a new technology mean for all of us together?” This is different from liberal individualistic approach that raises whether a new technology is useful for an individual and what it means for him/her and decide whether to adopt it. In addition, Callahan argues that autonomy should be broaden to encompass an analysis of what constitutes morally good and bad free choices. This shows that communitarianism worries about the position in which the principle of respecting autonomy is understood to be that of respecting freedom. Communitarianism is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new approaches that forms bioethics issues, although it produces a new concrete solution. Communitarian perspectives suggest that different bioethical issues may be raised and we may solve them differently.

      • KCI등재

        소셜미디어 취재원 인용에 대한 연구

        유수정(Soojung Yoo)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6 No.3

        인터넷을 통한 취재가 보편화되면서 소셜미디어 인용 보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누구의 소셜미디어가 어떻게 인용되고 있는지 종합일간지와 경제지의 기사를 내용분석하고 소셜미디어 인용 보도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정치인과 공직자가 소셜미디어 취재원으로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었으며, 경제지에서는 연예인과 연예인 가족의 소셜미디어 인용 경향이 뚜렷했다. 정치 주제는 페이스북의 게시물이, 연예·문화 주제는 인스타그램의 게시물이 주로 인용됐으며, 사진과 함께 게재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소셜미디어 취재원의 게시물에 대한 사실확인을 위해 추가적인 인터뷰가 이뤄졌는지 살펴본 결과 분석대상의 1%에 해당하는 기사에서만 추가 인터뷰가 확인되었다. 또한 분석기사의 절반 이상에서 소셜미디어 취재원이 유일하거나 중심적으로 인용되고 있었다. 셋째, 소셜미디어 취재원의 발언이 제목에서 따옴표를 달고 직접인용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제목은 주로 게시물의 일부를 추출, 조합하는 형식을 많이 차용하고 있었다. 이는 소셜미디어 취재원 인용의 전형적인 받아쓰기 관행, 추가적인 사실 확인의 부재를 보여주는 결과로서,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환경에서의 취재 규범 정립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As news coverage using the Internet becomes more common, reports of social media news source being quoted are increasing.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reports in the comprehensive daily and economic journals on whose social media are being quoted, and looked at the problems of social media quotation reports.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the report by daily newspaper and economic journal, looking at who is quoted as a social media source and problems with journalism practi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public figures were mainly quoted as a social media news source, and politicians and public officials were quoted the most. The economic journal had a lot of social media quotes from celebrities and their families. Facebook’s posts were mainly quoted for political topics, while Instagram’s posts tended to be posted with photos. The study also looked at whether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ocial media sources to see if the facts are checked.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firmed only in reports accounting for 1% of the analysis subjects and more than half were quoted as the only or central source of social media coverage. The remarks of social media news source were often quoted directly in the title. The title borrowed a lot of forms, mainly extracting and combining parts of the post. This is the result of a typical dictation practice of quoting social media sources, and the absence of additional fact-checking. Based on this, the need to establish standards for coverage in the digital environment was discussed.

      • KCI우수등재

        12주간 한국무용에 기반한 낙상예방 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균형감각, 보행기능,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수정 ( Sujung Yoo ),정희정 ( Heejoung Joung ),이용호 ( Yongho Lee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한국무용에 기반한 낙상예방 프로그램 참여가 70세 이상 노인의 균형감각, 보행기능,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로 모집된 실험군에게는 12주간, 주 3회, 60분 간 중재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통제군에게는 건강교육 1회를 제공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사전과 사후에 신체조성, 간단신체수행력, 균형감각, 보행기능, 낙상효능감에 대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 SPSS 23.0 version을 이용하여 제 2요인을 반복측정한 이원분산 분석과 이원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질량지수는 두 집단 모두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신체수행력은 실험군에서 보행속도와 의자 일어서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균형검사와 종합점수에서도 향상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균형감각은 정적균형감각에서 실험군과 통제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확인하였다. 동적균형감각에서는 실험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셋째, 보행기능은 시간적 보행변수인 분속수는 감소한 반면, 보행속도는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공간적 보행변수인 활보장과 보장은 실험군에서 좌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넷째, 낙상효능감의 경우 통제군은 감소하는 반면 실험군은 중재 이후에도 유지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a 12-week Korean traditional dance based fall prevention program on balance, gait function, and falling efficacy among Korean older adults over 70 years old.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60 minute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based fall prevention program 3-times per week for 12 weeks and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one session of health education program. Both groups were measured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unction, balance (BBS, TUG), gait function, and fall efficacy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on the 2nd factor and two-way ANCOVA with repeated measure on the 2nd factor were performed using Windows SPSS 23.0version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dy mass index tended to decrease with time in both groups, and the physical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walking speed (p<.01) and sit to stand up (p<.01)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balance test and the overall score within the physical performance test showed a tendency to improve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 balance,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the static balance (BBS) on both groups (p<.01). Bu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dynamic bal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p<.01). Third, in the gait function, cadence decreased in both groups, while the gait speed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the temporal gait parameters (p<.01). The spatial gait parameters stride length (p<.01) and step length (p<.01)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left and right legs of the experimental group. Finally, fall efficacy score decreased in control group whil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tendency to be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 KCI등재

        아동 애니메이션 이용 특성과 캐릭터상품 구매의사의 관계

        유수정(Yoo, Soo-jung),이영주(Lee, Yeong-ju),송진(Song, Gi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7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6

        본 연구는 TV를 중심으로 성장해온 애니메이션 분야에 웹 기반 애니메이션 제작과 유통이 증가하고 있는 멀티 플랫폼 환경에서 어린이 시청자들의 TV 및 웹 애니메이션 이용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콘텐츠 수용 과정의 변화가 연관 시장인 캐릭터 및 완구 제품의 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어린이 시청자를 자녀로 둔 부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V 및 웹 애니메이션 이용 특성 관련, 두 매체에서 8-10세 및 여아의 시청시간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애니메이션 주 이용서비스와 정보 습득 경로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들이 TV에서 애니메이션 정보를 얻는 경우 TV 애니메이션을 많이 시청하지만, 웹 애니메이션은 정보 습득경로와 주 이용 서비스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취학전 아동의 경우 교육/학습 장르에 대한 선호가 높은 반면 학령기 아동은 코믹/명랑, 가족/우정 장르에 대한 선호를 보였다. 둘째, 부모의 애니메이션 인식과 관련해서는 TV 애니메이션의 오락성에 응답자의 가구 월 소득 변인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들의 애니메이션 시청 시간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캐릭터 상품 구매 의사에는 가정의 월 소득, 웹 애니메이션의 유료 구매한 금액, 그리고 자녀의 TV 애니메이션 시청시간, TV 애니메이션의 작품성 인식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추천 상품의 구매 의사는 자녀의 연령이 높을수록, 부모가 웹 애니메이션의 작품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그리고 웹 애니메이션을 유료로 지불하는 금액이 클수록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TV 외에 웹을 통한 애니메이션 이용 확대와 산업 확장성을 도모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제작·플랫폼·수익화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using characteristics of TV animation and web-based animation of children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ange in viewing process on the purchase of character go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parents who have children as animation viewer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y age or gender in using both TV and web animation. When parents get animation information on TV, they had their children watch animation through the same TV channel, but the web h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acquisition path and main service they use.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parent" perception of TV animation superiority is influenced by respondents" income and children"s watching time of animation has no effect on it. Finally, monthly income of households, payment amount of web animation, watching time of TV animation, and perception of quality of TV anim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arents" active purchase of character goods. On the other h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recommended goods is influenced by children"s age, the parent"s perception about the web animation quality, and the payments of the web animation.

      • KCI등재후보

        생명윤리에 대한 반응적 공동체주의 접근법 고찰

        유수정 ( Yoo Sujung ) 한국윤리학회 2017 윤리학 Vol.6 No.1

        본 논문에서는 생명윤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 왜 필요한지를 논의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생명윤리적 쟁점들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특성들을 제대로 다룰 수 있는 관점을 현재 지배적인 생명윤리적 접근법인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접근법이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지적할 것이다. 필자는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접근법은 많은 생명윤리적 문제들을 단순히 개인 선택의 물음으로 환원시킨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고,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공동선의 중요성을 쉽게 간과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공적 의견일치에 대해 회의주의적인 경향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필자는 생명윤리에 대한 기존의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접근법과 다른 새로운 시각과 관점을 제시해줄 수 있는 반응적 공동체주의(responsive com m unitarianism )를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는 생명윤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접근법은 공적 담론을 강조하면서 공적 숙고를 통한 사회적 합의를 추구하고, 우리들이 직면한 쟁점에 대해 올바르게 질문하고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This paper discusses why a new approach regarding Bioethics is necessary. In order to do this, it firs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issues in Bioethics. Then it addresse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dominant approach to Bioethics, liberal individualism, in putting forth a viewpoint that can properly manage these characteristics. The limitations are found in that this approach has reduced lots of bioethical issues into questions of one’s choice, has ignored social responsibilities and the importance of public goods, and has made skeptical attitude to an public agreement spread. Whereupon, the author contemplates ‘responsive communitarianism’, which can propose a new perspective in contrast to the prior approach of liberal individualism, as a notable and novel approach to Bioethics.

      • KCI등재

        대구지역 거주 여성들의 웰빙 수준 및 웰빙 행동에 관련된 요인

        유수정(Yoo, Su-Jung),조성현(Cho, Sung-Hyoun),황보각(HwangBo, Ga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7

        본 연구는 대구지역 여성들을 대상으로 웰빙 행동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인구학적 변 인에 따른 웰빙 수준을 분석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웰빙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320명 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웰빙 수준, 웰빙 행동과 웰빙 행동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학력이 높을수록 웰빙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직업에서는 교육·상담직과 자영업이, 월 소득은 높 을수록, 자기관리 지출비용이 많고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여성일수록, 음주량에서는 주 1∼2회 섭취하는 여성들이 웰 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웰빙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자기관리 지출비용이 많을수록, 흡연을 하지 않을수록 웰빙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웰빙에 대한 가치, 신 념 등을 확고히 하여 여성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건전한 웰빙 인식을 고취시켜 건전한 웰빙 행동으로 유도해야 된 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well-being behavior of women living in Daegu and analyze their well-being levels according to their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reby determining the effects of each variable on well-being behavior. A survey of 320 women was conducted and T-test, ANOVA was conducted for the well-being levels and well-being behavior based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well-being behavio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higher level of education led to a higher level of well-being. Moreover, educational or counseling workers, those with higher monthly incomes, those with higher expenses spent on self-management, those who considered their physical condition good, and those who drank once or twice a week showed higher levels of well-be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variables influencing well-being behavior, those with an older age, a higher level of education, and higher expenses for self-management and non-smokers revealed higher degrees of involvement in well-being behavior. We need to maintain women's identity by establishing values of and beliefs in well-being and inspiring them with healthy consciousness of well-being so that we can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sound well-being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