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어 수동문에 있어서 動作主體 助詞의 교환 가능성에 대한 검토

        유민아 한국일어일문학회 2003 日語日文學硏究 Vol.46 No.1

        本稿では, 受動文の動作體のとる助詞の交換が可能か不可能について, 先行硏究をふまえながら, 助詞「に」 「から」 「によって」のもつ本來の意味に注目し, この問題の解決をこころみた. さらに助詞とともにもちいられる動詞の性質また主語と對象語の性質 (特徵) についても考察してみた. 本稿を通じて明らかになった点は, 以下のようである. 1) 「動作主體·相手·起点」を表す「に」格と「から」格は, 同樣の性格であり, 交換が可能であると考えられるが, 心理的동きかけを表す動詞を用いた場合は, 同樣の動詞であっても「から」格の方は意味のずれ (比喩的な轉移) がみられる. 2) 「原因」を表す「に」格と「によって」格の中で, 主語が無情物の場合はお互い, 關係が離れていると考えられ, 「によって」が用いられる. 3) 「動作主體」を表す「に」格と「によって」格は, 「に」格が用いられる場合は對象に變化を起こす動詞が多い. 4) 「自然現象」「道具·材料」を表す受動文は動詞の表す동きかけが對象語と主語とが接觸しながら行われるため, 「に」格が用いられたと思われる. それ以外にも, この「自然現象」には「原因」の性質もみられる.

      • 목덜미 투명대 증가소견을 보이는 태아의 초음파적 이상소견의 유형분석

        유민아,김연민,지현자,한정환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10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지 Vol.1 No.1

        목적 : 1990년대 이후 임신 초기 초음파 검사를 이용한 태아 목덜미 투명대(fetal Nuchal Translucency; NT)의 측정을 이용한 선별 검사가 도입된 이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염색체 이상의 선별검사로써 인정받고 있으며, 점차 염색체 이상을 동반하지 않는 기형의 선별검사로써의 역할도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T 두께 증가 소견을 보이는 태아의 초음파적 이상소견의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7년 1월까지 13개월간 임신 11주 ~ 13주 사이에 NT를 측정하여 CRL에 따른 NT의 두께가 95<SUP>th</SUP> percentile 이상을 나타내어 양수검사와 정밀 초음파 검사를 모두 시행한 산모 52명을 대상으로, 분만 후 태아의 상태와 비교, 대조 하였다. 이 중 타 병원으로 전원하여 예후를 알 수 없는 경우 4건을 제외한 48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정밀 초음파는 19주에서 21주 사이에 시행되었으며 VSD, DORV등 심장기형을 나타내는 경우가 7건(14.6%)으로 가장 많았고, Ascites, Hydrops 뿐만 아니라 심장기형등 multiple 이상소견을 나타내는 경우 2건(4.2%), Hydronephrosis 2건(4.2%), IUGR 2건(4.2%), Cleft lip & Palate, Arthrogrophosis, Cloacal extrophy, Mild ventriculomegaly 가 각 1건(2.1%)씩 발견되었다. 양수 검사는 16주에서 18주 사이에 시행하였고 이 중 염색체 이상은 Trisomy-18 1명, Trisomy-21 1명으로 단, 2명(4.2%) 뿐이었다. 이 중 Perimembranous VSD 소견을 보인 1건은 출산 이후 확인한 검사에서 정상으로 나타났고, 나머지는 산전 초음파 소견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Case가 적다는 제한 점이 있지만 약 35.4%에서 이상소견을 보였고 출산 후 확인 검사에서도 97.9%의 일치를 보였다는 것은 임신초기의 NT의 증가 소견이 단순히 염색체 이상뿐만이 아니라 염색체 이상을 동반하지 않는 태아의 기형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NT 증가소견을 보이는 태아는 염색체 이상이 없다 하여 안심하지 말고 반드시 정밀하게 초음파를 실시하여 태아의 기형을 보다 빠르게 진단하여 임신의 지속여부, 자궁 내에서 태아의 치료, 분만 방법, 출생 후 치료 방법 emd을 빠르게 결정하여 태아와 산모 모두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유민아,황혜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on childhood's self-efficac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413 3-years-old, 4-years-old, and 5-years-old children and 40 teachers in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The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childhood's self-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ools were evaluated by the child's teacher.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s three-stage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then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Sobel test. Results First, there wa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childhood's self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lay comprehension competency mediate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cognitive, physical, and social emotional efficacy of childre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lay observation and analysis competenc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social and emotional efficacy of children by full mediati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lay operation competenc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cognitive and social emotional efficacy of children by full or partial mediati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Fifth,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lay response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cognitive, physical, and social emotional efficacy of children by full mediati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and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order to improve childhood's self-efficacy.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서울과 천안 소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 413명과 유아의 담임교사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교사의 놀이지원역량과 유아의 자기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도구를 유아의 담임 교사가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의 놀이지원역량과 유아의 자기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놀이이해역량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완전 매개하여 유아의 인지적, 신체적, 사회⋅정서적 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놀이관찰⋅분석역량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완전 매개하여 유아의 사회⋅정서적 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놀이운영역량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완전 또는 부분 매개하여 유아의 인지적, 사회⋅정서적 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의 놀이반응⋅소통역량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완전 매개하여 유아의 인지적, 신체적, 사회⋅정서적 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해서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개발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 향상이 중요함을시사한다.

      • KCI등재

        층간소음문제 해결과정의 메타거버넌스

        유민이(劉敏利),이명석(李明奭),이숙종(李淑鍾) 한국지방자치학회 2014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6 No.3

        Defining residential disputes surrounding noise between apartment or townhouse floors as a ‘wicked problem’, this study analyzed the meta-governance of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the Eunpyeong-gu of Seoul City. This local area has introduced the Residents’ Voluntary Adjustment Mechanism in order to solve noise disputes among residents. This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is differentiated from hierarchical methods that are handling civil affair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mandatory control. Despite much expectation, this voluntary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alone cannot provide a satisfactory solution due to the insufficient inputs of budget and human resource and its ex post nature of arrangement. The case of Eunpyeong-gu is distinctive for experimenting a combined approach mixing various governance modes using the Residents’ Voluntary Adjustment Committee. Our analysis shows that a particular form of governance- hierarchical adjustment, government-led governance, civic organization-led governance, residents-voluntary adjustment-tends to be salient depending on each timing stage--emergence of a problem, public-private cooperation, resident engagement, and resident autonomy adjustment. This case provides a good model for the Seoul City Government that has tried to utilize the various meta-governance tools such as network designs, network participation, network management, and network framing.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existing studies arguing wicked problems cannot be solved due to their complexity and diversity of engaging stakeholders ill founded. Metagovernance works for resolving wicked problems if the carefully selected forms of governance are wisely mixed.

      • KCI등재

        유아-어머니의 조화적합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민아,황혜신 한국보육지원학회 2017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3 No.1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child care center adjustment depending on child-mother's goodness of fit. Methods: A total of 478 subjects, 239 dyads of 3 and 4 year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16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DOTS-R, EAS Scale and PAQ.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ova, and regression with the SPSS. Results: First, mother's dem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with regard to the income level. Second, mother's temperament and mother's demand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the mother's demand was influenced by the mother's temperament. Third, mother's demand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was indicated to differ significantly. Fourth,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demand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mother's demand was influenced by children's temperament. Finally, ego strength according to active and adoptive temperaments in child-mother's goodness of fi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regular temperament of child-mother's goodness of fit was indicate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for mothers to understand and appropriately demand the temperament of the children in the adaptation of the child care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