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캡슐내시경 검사의 전처치로 Sodium Phosphate의 경구 투여 효과

        위준환,김진오,정인섭,이지현,김현정,고봉민,조주영,이준성,이문성,심찬섭,김부성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6 Clinical Endoscopy Vol.32 No.3

        목적: 소장질환의 진단에 매우 유용한 검사로 인정받고 있는 캡슐내시경 검사는 전처치에 대한 표준화된 기준이 없는 실정으로 현재 각 병원에서 각기 다른 전처치를 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캡슐내시경 검사의 전처치에 따른 영상 판독의 적절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3월부터 2004년 9월까지 본원에서 캡슐내시경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전처치로 sennosides를 사용한 군 88명과 sodium phosphate를 사용한 군 41명을 대상으로 영상의 적절성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Sennosides군은 전날 저녁 10시에 sennosides 8 g과 물 1 L, 검사 당일 아침 5시에 sennosides 8 g과 물 1 L를 마시게 하였으며 sodium phosphate군은 전날 저녁 8시에 sodium phosphate 45 mL와 물 45 mL를 함께 투여 후 물 2 L를 마시게 하였으며 당일 아침 5시에 sodium phosphate 45 mL와 물 45 mL 투여 후 물 1 L를 마시게 하였다. 이들의 판독은 RAPID 워크스테이션 영상 시스템을 통해 음식물, 기포, 점액, 그리고 담즙 등 판독장애 요인이 소장 점막 25% 미만을 차지하는 경우를 청결한 영상으로, 25% 이상인 경우를 판독에 부적절한 영상으로 정의하였다. 전체 소장 통과 시간에 대한 부적절한 영상의 시간 비를 객관적 수치로 평가하였으며 객관적 수치가 10% 미만인 경우를 적절한 전처치로 평가하였다. 결과: 적절한 전처치를 보이는 경우가 sennosides군에서 35예(35/88, 40%), sodium phosphate군에서 26예(26/41, 63%)였으며 sodium phosphate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좋은 영상을 보였다(p<0.05). 결론: 캡슐내시경 검사의 전처치로 sodium phosphate의 전처치가 sennosides를 전처치로 사용한 경우보다 더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Capsule endoscopy is an effective diagnostic tool for detecting small bowel disease. However, the method of bowel preparation for capsule endoscopy has not been standardiz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oral sodium phosphate as a preparation for capsule endoscopy. Methods: A total of 129 cases who underwent capsule endoscopy from Mar. 2003 to Sep. 2004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Eighty- eight cases were prepared with sennosides (Alaxyl ) and 41 cases were prepared with sodium phosphate. The intestinal mucosa was defined as being unclean if the intestinal content, food materials, and bubbles covered more than 25% of the mucosal surface. Using a stopwatch, the exact time of the unclean image was recorded. The percentage of the unclean image for the small intestinal transit time (SITT) was calculated as an objective score. Small bowel cleansing was considered 'adequate' if the objective score was <10% and 'inadequate' if the objective score was 10% or greater. Results: 35 cases (40%) showed an adequate image in the sennosides and simethicone group and 26 cases (63%) showed an adequate image in the sodium phosphate and simethicone group. The adequacy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odium phosphate group than in the sennosides group (p<0.05). Conclusions: Capsule endoscopy prepared by sodium phosphate and simethicone produced a better visual image than sennosides and simethicone.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2:173-178)

      • SCOPUSKCI등재

        소장 질환에 있어 이중 풍선 소장 내시경 검사의 유용성

        위준환 ( Jun Hwan Wi ),김진오 ( Jin Oh Kim ),정인섭 ( In Seop Jung ),고봉민 ( Bong Min Ko ),조주영 ( Joo Young Cho ),이준성 ( Joon Seong Lee ),이문성 ( Moon Sung Lee ),심찬섭 ( Chan Sup Shim ),김부성 ( Boo Sung Kim )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2

        목적: 소장은 그동안 베일에 가려진 미지의 장기로, 기존의 소장 검사법은 전체 소장을 검사하는 데 있어 검사 자체의 어려움이 크고 많은 검사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단에 있어서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최근 캡슐 내시경이 개발되어 소장질환 진단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으나 영상 촬영의 조절이 불가능하고 상당한 예에서는 소장 일부만을 관찰하는 불완전 검사로 그 제한점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중 풍선 소장 내시경 검사는 전체 소장을 관찰하는 데 기존의 소장 검사보다 높은 진단율을 보여주고 있다. 저자들은 이중 풍선 소장 내시경 검사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상부위장관 내시경, 대장 내시경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없어 소장 질환이 의심되어 이중 풍선 소장 내시경 검사를 시행한 24명의 환자 3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24명 환자의 적응증은 위장관 출혈 16예, 만성 복통 및 설사가 4예, 크론병이 2예,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이 1예였다. 24명의 대상 환자에서 총 38예의 소장내시경이 시행되어졌으며 구강 접근법이 22예, 항문 접근법이 16예였으며 둘 다 시행한 경우는 13예였다. 이들 중 11예에서 전체 소장을 관찰할 수 있었고 그 평균 검사 시간은 75.5분이었다. 24 환자 중 20예에서(83%) 원인을 찾을 수 있었으며 위장관 출혈을 보였던 16예 중 소장궤양이 7예로 가장 흔한 원인이었으며, 혈관이형성증(4예), 크론병(3예), 그리고 멕켈씨 게실(1예)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성 복통, 설사를 보였던 환자 4명 중 1예에서 호산성 위장염이 진단되었다. 크론병 2예 중 1예는 협착에 의한 폐쇄가 심하여 수술적 치료를 받았으며 다른 한 예에서는 광범위한 공장 침범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중 풍선 소장 내시경 검사와 관련하여 특별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소장 질환이 의심되어 시행한 이중 풍선 소장 내시경 검사는 소장 질환 진단에 있어 24명 중 20명에서 원인을 발견하는 높은 진단율을 보였다. Background/Aims: Conventional studies for small bowel such as small bowel series, enteroscopy with Push, Sonde and Ropeway method had some limitations such as high missing rate, incomplete study, long procedure time and patient inconvenience. Double balloon enteroscopy is a promising metho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ur aim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double balloon enteroscopy. Methods: Between Nov. 2004 and Feb. 2005, 24 patients with suspected small bowel disease underwent double balloon enteroscopy. Results: Indications for double balloon enteroscopy were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chronic abdominal pain and Crohn`s disease etc. Thirty eight cases of double balloon enteroscopy in 24 patients were performed. We could identify positive diagnostic findings in 20 of the 24 patients. In 16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patients, the causes of bleeding were 7 small bowel ulcers, 4 angiodysplasias, 3 Crohn`s diseases etc.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were not observed in any patients. Conclusions: Double balloon enteroscopy is a useful and safe diagnostic tools in small bowel disease with high diagnostic accuracy (83%). (Intestinal Research 2005;3:140-144)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원인 불명의 위장관 출혈에서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의 유용성

        정현구 ( Hyun Ku Jung ),위준환 ( Jun Hwan Wi ),김진오 ( Jin Oh Kim ),정인섭 ( In Seop Jung ),고봉민 ( Bong Min Ko ),조주영 ( Joo Young Cho ),이준성 ( Joon Seong Lee ),이문성 ( Moon Sung Lee ),심찬섭 ( Chan Sup Shim ),김부성 ( Boo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3

        목적: 위내시경 및 대장내시경검사에서 출혈부위를 확인할 수 없는 원인 불명의 위장관 출혈 환자에 있어서 소장검사는 필수이며 현재 캡슐내시경과 소장내시경의 발달로 소장 병변을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이번 연구는 원인 불명의 위장관 출혈 환자에게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을 시술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2004년 11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순천향대학교병원 소화기병센터에서 혈변, 흑색변과 토혈로 위내시경 및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으나 출혈 병소를 찾지 못했던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1) 대상 환자 24명의 평균연령은 48세(범위 21-81세)였고, 남자는14명, 여자 10명이었으며 내원 당시 환자의 평균혈색소(Hb)는 9.0 g/dL (범위 5.9-11.9 g/dL)이었다. (2)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 검사의 접근방법으로는 구강 7예, 항문 3예, 구강, 항문 양쪽 모두에서 접근한 경우가 14예에서 시행이 되었으며 검사에 관련된 합병증은 발생되지 않았다. (3) 24명의 환자 중 22명에서 출혈 병소가 관찰되었으며 출혈 원인으로는 소장궤양 9예, 혈관이형성증 6예, 크론병이 3예, 위장관 간질종양 2예, 메켈 게실 1예, 소장 외 병소 1예가 관찰되었다. (4) 출혈 병소의 위치는 근위부 공장이 가장 흔하였으며 2곳 이상의 병변이 10예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 검사는 기술을 요하는 검사이기는 하나 안전한 검사이며 소장의 병변은 물론 특히 원인 불명의 위장관 출혈에서 출혈 병소를 찾는데 유용한 검사로 생각한다. Background: Double balloon enteroscopy was developed to improve access to the small intesti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double balloon enteroscopy in patients with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Methods: From November 2004 through August 2005, 24 consecutuve patients (14 males, 10 females; mean age 48±15.1 years, range 2181 years) with gastrointestinal bleeding of an obscure origi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underwent enteroscopy using the double balloon technique for the following indications: (1) clinical evidence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such as melena and hematochezia (the Hb levels ranged from 5.9 g/dL to 11.9 g/dL, mean 9.0±2.3 g/dL) (2) no site and cause of blood loss detected by upper endoscopy and colonoscopy. Results: Of 24 patients that underwent a double balloon enteroscopy, bleeding points were identified in 22 patients. The causes of bleeding were nine small bowel ulcera, six angiodysplasiaa, three cases of Crohn`s disease, two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one Meckel`s diverticulum and one cecal diverticular ulcer. However, two cases showed negative findings. No patient suffered from procedure related complication. Conclusions: Double balloon enteroscopy is a safe and useful diagnostic tool for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Korean J Med 73:267-273, 2007)

      • SCOPUSKCI등재

        당뇨병 교육 방법이 당뇨병 환자의 식사요법 수행과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영향

        김을상,문현경,이영남,이태훈,김성곤,고재민,손진희,유형준,송오금,남흥우,정성오,위준환,염주협,조대경 대한당뇨병학회 2000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5

        Background: Diet control plays an important role in diabetic management, but it is often hard for diabetic patients to follow the dietary control program. Poor dietary compliance leads to metabolic derangements in patients with diabetes and it may derive mainly from defects in dietary education program rather than from patients themselves. Therefore, we performed a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to compare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teaching methods for diet control. Methods: Forty eight diabetic patients with poor glycemic control (mean HbA1c 11.4±1.5%) were enrolled during hospitalization and allocated at random to three different teaching methods i.e. Conventional diet sheet instruction (Group 1), Food recording on every meal (Group 2), and Meal time demonstration (Group 3). For evaluation, knowledge about DM diet and barriers to diet control were assessed by a questionnaire. Consistency in carbohydrate intake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serial HbA1C measurements were used for the estimation of dietary compliance and glycemic control respectively. Results: During five months' follow-up period, there was no remarkable improvement in knowledge about diabetic diet control, dietary compliance and glycemic control in Group 1 patients. But both dietary compliance and glycemic control improved in Group 2 and 3 patients during follow-up period. In Group 2 CV (Coefficient of Variation) fell from 36.4±15.2% to 27.7±17.3% and in Group 3 from 32.1±9.6% to 23.2±10.5% (p$lt;0.05). In Group 2 HbA_(1c) fell from 12±2.2% to 8.3±2.0% and in Group 3 from 11.5±2.0% to 7.5±1.9%(p$lt;0.01). The change of HbA1c level showed an appreciable correlation with dietary compliance (r= 0.75). Among the perceived barriers to dietary practice in patients of Group 2 and Group 3, extrinsic factors related to knowledge lowered during the intervention (p$lt;0.05). Even though Group 3 patients had good dietary compliance, they still felt that intrinsic factors related to motive and attitude were the major barriers at the end of the study (p$lt;0.05). Conclusion: We found that meal time demonstration teaching method may improve dietary compliance and glycemic control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iet sheet instruction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