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학과졸업생의 취업상황 및 대안 -연대대학교 한국어학과를 중심으로

        영란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06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4 No.-

        山東省的韓國語敎育, 于1992年中韓建交之后開始, 幷經過十余年的發展呈現前所未有的景象。 其主要原因在于韓國語專業百分之百的就業率。 目前, 全國高校畢業生均遇到就業難問題的時候, 韓國語專業的就業率達百分之百成爲該專業最大的優勢。 不過, 筆者以烟台大學等山東省的高校爲對象進行調査的結果, 韓國語專業雖然就業率高, 但出現就業質量和滿意度偏低等問題。 今后, 韓國語專業不應該僅滿足于就業率高的表面現象, 而努力提高就業質量, 幷爲此培養旣掌握韓國語又掌握其他專業知識的高水平人才。

      • KCI등재

        월경한 해항도시간 권역에서의 국제교류와 성공조건

        양호(禹良昊) 한국지방정부학회 2012 지방정부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최근 ‘부산과 후쿠오카의 초국경경제권 형성’을 사례로 월경한 해항도시간의 초국경 교류 수준과 현황을 점검하고, 그 성공조건을 분석해 보는 목적을 갖고 있다. 실제적으로 이 사례의 의미는 동북아지역에서 도시들의 자발적 네트워크를 통한 초국경적 권역형성의 첫 시도였다는데 있으며, 이제 교류가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성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직전단계에 서 있다. 먼저 사례에 대한 현황을 살펴본 결과, 도시차원의 교류를 통해 그 효과를 지역과 국가로 확대하는 상향식 사고로의 전환과 실천, 국가주도가 아닌 도시자치에 기반한 자발적 네트워크로 새로운 연계모델을 제시한 점, 민간저변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특징들이 의미 있게 나타났다. 반면에 통합된 경제권의 크지 않은 규모, 통합 후의 확실한 비전(시너지효과)과 상생방안의 미도출, 투자자원 및 교류여건의 제한, 문화/관행적 장벽의 상존 등이 극복되어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또한 양 도시의 초국경 교류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조사를 통해 알아본 이 사례에서의 현실적 성공요인들은 다양하였는데, 그것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점, 두 도시의 경제 및 산업구조가 비슷한 점, 시장이나 관료의 교류의지가 높은 점, 별도의 조직과 예산이 운영되고 있는 점, 민주주의와 자치의 수준이 비슷한 점, 상호호혜의 원칙과 존중감이 높은 점, 국가적 외교환경이 안정적인 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이 사례뿐만 아니라, 월경교류나 국제적 네트워크가 필요한 다른 비슷한 처지의 도시들에게 국경을 초월한 교류의 시도 및 활성화 방안에 중요한 시사점들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책임운영기관의 시장지향성의 고객만족과 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

        양호(禹良昊),홍미영(洪美英),문경주(文景柱) 한국지방자치학회 2005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17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service performance, and examines how employees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service performance in the Driving License Test Center(ROA: responsible operation agency).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 DLTC's market orientation efforts improve not only its service performance but also its customer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the authors developed a structural model which consists of several variab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eleven DLTC. Some employees and customers of each DLTC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eater the market orientation, the greater the employee satisfaction. Second, the greater the market orientation, the greater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service performance. Third, the greater the market orientation, the greater the service performance. Fourth, the greater the employee satisfaction, the greater the service quality. Fifth, the greater the service quality, the greater the customer satisfaction.

      • KCI등재

        The Effects of Exchange Rate Volatility on Korea-Germany Bilateral Trade - Industry Level Estimates

        타이 프라센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3

        The existing literature implies that the impact of exchange rate volatility on bilateral trade flows is inconclusive. It depends on specific industry and certain country. This article studies the impact of volatility of exchange rate on 62 importing industries and 47 exporting industries of Korea vis-à-vis Germany at disaggregated level of industry (SITC 3-digit product), using annually data during 1971-2014. The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ARDL) cointegration model is employed in empirical estima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shows an impact on bilateral trade between Korea and Germany in both short run and long run period. However, in the long run, the majority of industries are unaffected. Only 24 out of 62 importing industries and 21 from 47 exporting industries are affected by the volatility. Among the affected industries, 18 exporting industries (account for 27.44 per cent of total exports from Korea to Germany) respond negatively to exchange rate volatility, while 3 industries respond positively in the long run. Likewise, for imports, 17 industries (account for 31.56 per cent of total imports of Korea from Germany) show negative coefficients and 7 industries show positive ones.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the products with small trade shares are more likely to respond to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than the major industries in both export and import sides. In addition, the effects of income and real exchange rate on bilateral trade flows are mostly in line with the theoretical prediction.

      • KCI등재

        환율이 한·독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 산업차원의 분석

        타이우프라센 ( Utai Uprasen ),황호선 ( Hoseon Hwang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7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5 No.3

        환율의 무역수지에 역할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환율변화의 무역수지에 대한 효과에 대해 실증적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이런 불확실한 실증연구결과의 주된 원인에는 실증연구에서 교역품과 교역국을 함께 모으는 분석방식에서 유래하는 합산편향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유럽연합 23개국 가운데 한국의 최대교역국인 독일 간 무역수지에 대한 환율의 영향을 살펴보려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독 간 교역에 있어 SITC 3자리 개별산업 수준에서 97상품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ARDL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는 유로화에 대한 원화의 실질하락은 단기적으로, J곡선 효과보다는, 한국의 대독일 무역수지를 즉각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원화의 실질하락이 무역수지에 대한 긍정적 효과는 (97개 산업 중) 23개 산업에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실증적 결론이 한국의 무역에 대한 정책적 함의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율정책이 여전히 한·독 간 무역수지를 관리하는 주요 정책수단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12개 산업에서 원화의 실질하락이 단기적으로 무역수지를 악화시키는 J곡선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볼 때, 환율정책이 매우 조심스럽게 사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연구결과는 지적하고 있다. The existing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role of exchange rate on trade balance exhibits the mixed empirical results. A significant argument for the inconclusive findings is the aggregation bias from clustering of trading products and trading partners in the analysi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exchange rate on bilateral trade balance between Korea and Germany which is the largest trade partner of Korea among the 28 EU countries. The analysis is conducted at 3-digit level of 97 SITC industries, using annual data between 1971 and 2016 with ARDL model employed in the study. Our findings indicate that a real depreciation of Korean Won (KRW) against Euro (EUR) causes an instant improvement on Korea’s trade balance with Germany in general rather than creating a J-Curve effect in the short run although a J-Curve phenomenon is detected in a few industries. In the long run, a real depreciation of KRW will bring about a positive effect on trade balance in the long run at least in 23 industries which account for 18.57 per cent of Korea’s total trade share with Germany. In addition, the empirical results from the total trade balance support the argument on aggregation bias. The empirical results of our study are crucial for policy implication of Korea. Our findings indicate that exchange rate policy is still a significant tool to manage the trade balance between Korea and German. However it has to be pointed out that the policy needs to be implemented cautiously since a real depreciation will come together with a J-Curve effect in 12 industries which deteriorates the trade balance in the short run.

      • KCI등재

        제주 방언의 ‘-느-’에 대하여

        창현(禹昌炫,Woo, Chang-hyun) 형태론 2005 형태론 Vol.7 No.2

        이 글에서는 제주 방언의 ‘-느-’의 문법적 특성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논의의 전개를 위해 제주 방언의 ‘-느-’와 중앙어의 ‘-느-’의 상관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 과정을 통해 중앙어의 ‘-느-’와 제주 방언의 ‘-느-’가 문법적으로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느-’의 형태 분석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논의 과정을 통해 ‘-느-’가 ‘-ㄴ-’과 동일하게 ‘확신’의 문법 의미를 가지면서 ‘-ㄴ-’과 달리 ‘-냐’ 앞에서만 나타나는 배타적인 분포를 보인다는 점에서 ‘-ㄴ-’의 이형태로 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느-’의 문법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글에서는 기존 논의와 달리 ‘-느-’를 ‘화자의 확신’이라는 문법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을 구체적인 검증 과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the grammatical features of ‘-nɨ-’ in Ceycwu dialect and shows that ‘-nu-’ in Standard Korean and ‘-nɨ-’ in Ceycwu dialect show clear grammatical differences. In Ceycwu dialect, both ‘-nɨ-’ and ‘-n-’ have the grammatical function of ‘conviction’. Our analysis also shows that, unlike ‘-n-’, only ‘-nɨ-’ can appear before interrogative ‘-nya-’ and thus is in complementary distribution with it; hence, we must view these as allomorphs. Finally, with respect to the grammatical meaning of ‘-nɨ-’, and differently from previous analyses, we define the function of ‘-nɨ-’ as ‘speaker's conviction’. These conclusions are supported by concrete data and analysis.

      • KCI등재

        The EU-Korea FTA in the Viewpoints of the New Member States

        타이우프라센 ( Utai Uprasen ) 국제지역학회 2011 국제지역연구 Vol.15 No.1

        When the European Union countries (EU27) are viewed as the composition between the old member countries (EU15) and the new member states (NMS12), the statistics exhibit that the EU15 is the largest trade partner of the NMS12. According to the Korea-EU FTA agreement, the existing patterns of trade among the EU15, the NMS12, and Korea may create not only the increase in trade opportunity between the NMS12 and Korea, but also the higher rivalry threat on export from the NMS12 to the EU15 destination due to the potential increase in export from Korea to the EU15 market. This research examines in both potential impacts at the 3-digit level of SITC Rev.3 industry, in the point of view of the NMS12. Various conventional trade indices are employed in the study. However, the existing trade index exhibits the limitation for measuring the different degree of rivalry threat on exports of two different exporters in the same export destination. Hence, this study develops a new trade index, the so-called Rivalry Threat Index (RTI), to measure the export competition between the NMS12 and Korea in the EU15 destin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NMS12, the EU-Korea FTA agreement may cause Korea acts as a trade partner and as an export competitor simultaneously.

      • KCI등재

        Role of Exchange Rate on the UK-Germany Trade Balance: An Analysis at Industry Level

        타이 프라센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8 EU연구 Vol.- No.48

        The existing literature regarding the effect of exchange rate on trade balance shows the inconclusive empirical results. The current arguments for the mixed findings rest on the aggregation bias from aggregating of trading products and the exclusion of asymmetric effect in the analysis. This article examines the effect of exchange rate on the UK-Germany bilateral trade balance. The study is conducted at 2-digit level of 38 SITC industries, using monthly data during January 1999 to May 2017. The asymmetric effect is included by employing the nonlinear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 (NARDL) in the estimations. The empirical findings confirm the existence of asymmetric effect. In the short run, a real depreciation of the British Pound (GBP) against Euro (EUR) improves the British trade balance in 17 industries, while a real appreciation of GBP deteriorates the trade balance in 10 industries. In the long run, the UK trade balance is improved from a real depreciation of GBP in 15 industries which constitute 38.12 per cent of the UK’s total trade share with Germany. On the other hand, it is aggravated by a real appreciation of GBP in 11 industries which hold 25.63 per cent of total trade. The J-curve effect is found in only 3 industrie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exchange rate policy is still a valid tool to manage the Britain’s chronic trade deficit vis-à-vis Germany. The existence of asymmetric effect implies that the UK trade balance is affected by a depreciation rather than an appreciation of GBP.

      • KCI등재

        김대중 정부 이후 한반도에서의 통일노력

        평균(禹坪均,WOO Pyung Kyun)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0 신아세아 Vol.17 No.2

        한반도에서 분단 이후 남과 북의 정부는 각기 다른 관점에서 서로 다른 내용을 포함하는통일방안을 표방하여 왔으나, 1998년 김대중 정부 집권 이후 한국에서는 통일정책보다 대북정책을 우선시하여 통일방안에 대한 강조가 상대적으로 덜 하였다. 현 단계에서 남과 북의체제경쟁과 마찬가지로 통일정책과 통일방안을 통한 경쟁은 소모적이며 비생산적임이 입증되었다. 한반도에서의 통일환경은 독일과 마찬가지로 특수하게 주어지는 것이기에 통일정책의 결과로 통일이 이루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다. 독일은 상황을 판단하는 지도자의 안목과 추진력 및 열강을 설득하는 외교적 능력의 총합으로 통일의 위업을 달성할 수 있었고, 이는 한반도 상황에서도 마찬가지가 될 것이다. 그러나 한국이 서독처럼 되기 위해서는 경제력과 군사력 및 외교력을 배양해야 하는 과제가 중차대하며, 비현실적인 통일방안을 주창하기보다큰 통일원칙만 마련하고 유사시 행동계획과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시급하다. 또한 통일의 목표에 있어서도 민족공동체 복원과 완성의 단계를 뛰어넘어 민주적 소양을 지닌 세계시민으로 글로벌 공동체를 선도하는데 목적을 두며, 이를 위해 통일의 전제로서 한국정부는 북한정부에 공식적으로 기본적 인권과 정치적 의사표현의 자유를 확대할 것을 촉구하는 정책적 전환이 요구된다. The South and North Korea have been demanded their own device for unification in Korean Peninsula after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in 1948, but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efforts for the Unification after Kim Dae Jung’s government’s launch in 1998 has relatively weak, for they stressed on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than Unification policy. Throughout the periods of the past governments in Korean peninsula, competition for unification policy and unification devices in both Koreas is proved to be nonproductive one like the competition for the superiority of the system between the two Koreas. Thus it is evident that the achieving the unification in Korean peninsula will not through the unification policy than the accident outcome like the Germany. Germany had done her assignment with coordination of a couple of elements, leadership, and capability of diplomacy, and this trend will be likely to happen in Korean Peninsula. However Korea needs to enlarge her economic, military, and diplomatic capacities for becoming like the West germany, and needs to establish grand strategy for unification and emergency plan. With these general principle, the goals of unification will also concentrate to guide to people as a global citizen who has democratic mind yielding to national identity and revitalization of national community. For this, it is needed that Korean government will be asked to demand basic human right and the freedom of political expression to North Korean government as the precondition for the unification in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