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 가능한 발전’(SDGs)과 융합 생태디자인 공모전 출품작 분석 연구 -「SDGs 디자인 국제공모전」 수상작품을 중심으로 -

        우치,우동구,송만용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5

        본 연구는 「SDGs 디자인 국제공모전」의 지난 3 년간 수상작의 디자인 특징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발전과 융합 생태계 디자인 전략을 고찰하고자 하는것이다. 이을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지속 가능한 개발SDGs의 지향점을 고찰하였다. 그런데 SDGs의 목표는 다양할 뿐만 아니라 제도적이고 정책적인 요소가 많다. 그래서 효과적인 SDGs 적 목표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나아가 생태디자인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왜냐하면 생태디자인은미래 환경에 대한 치유적 관점과 현재의 디자인적 문제해결 방안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 청년들의 수상작을 총체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수상작이 가장 많은 생태디자인 시스템적특징은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상호관계 시스템을중시하고, 그 다음으로는 지역 중심의 현장 시스템을꼽을 수 있다. 즉 생태 환경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융합적 시스템적 사고가 적용될 때 효과적임을 알게되었다. 왜냐하면 수상작들은 관찰을 통해 물질적 설계에서시스템으로의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와 행동양식을 변경하는 디자인을 제안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융합 생태디자인 시스템은 자연과 인간의 공존과 융합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의 비전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수 있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융합디자인 재료에 관한 연구 - 대나무를 중심으로 -

        우치,우이샹,송만용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4

        지속가능한 발전이 갈수록 중요시되면서 디자인 분야에서도 환경 친화적인 재료의 사용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우리 생활 속에는 다양한 물질이 존재하며, 디자인의 재료는 생분해 가능한 재료와 생분해가 불가능한 재료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생분해 가능한 대나무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특성을 재인식 하기 위해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을 활용하여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인 대나무 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본 문은 EKOBO(프랑스), Bambu(미국), 그리고 오렌지 하우스(중국)와 같이 대나무를 주요 재료로 사용하는 세 브랜드를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통해 평가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대나무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순환성, 라이프사이클 프로세스에서 제품은 생분해 가능성을 가진다. 둘째, 디자인 활용성, 색상, 형태 및기술의 활용은 대나무에 더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부여한다. 셋째, 문화성, 대나무는 문화적 상징의 연속이다. 넷째, 분해하기 어려운 재료 대신 대나무를 사용함으로써 대나무의 재료 사용을 풍부하게 하고 재료는 대체 가능성을 가진다.

      • KCI등재

        한·중·일 지속가능한 디자인 공모전 수상작의 융합 디자인 재료에 관한 연구

        우치,송만용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1

        This study starts with the examination of the design materials utilized in the award-winning works of Seoul Design Awards, China Eco Design Awards, and Japan SDGs International Award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think the complexity of materials through the winning works of the collection exhibition with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 explore more possibilities of using method of materials. Therefore, this paper conduct evaluation analysis through C2C(Cradle to Cradle) and Nature Inspired Design as evaluation indicators. The finding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obvious that minimizing the influence on the environment and the efficient use of resources is the most concern of award-winning works. Design should take into account no longer only the material needs of human beings, but also the impact of the environment. Second, some of the winning entries made spaces with local residents using waste materials as a medium. There are winning entries that improve the environment through plants and use natural wood materials. Composite steel materials are also mostly chosen in many of the works. Third, the designers consider to integrate new technologies into common materials of life. Various design solutions will bring different values to a sustainable society. These findings suggest a shift from material-based expectation to small actions and perceptions and the promotion of stable, equitable and harmonious sustainable society through “people and people” and “people and material”. 본 연구는 「서울디자인어워드」, 「중국에코디자인어워드」, 「일본 SDGs디자인 국제공모전」 과거 공모전 수상작에 사용된 디자인 재료에 대한 분석부터 시작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컨셉으로 한 공모전 수상작을 통해 소재의 복잡성을 재고하고 소재의 활용방법에 대한 보다 많은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C2C(Cradle to Cradle)와 자연모사 디자인(nature inspired design)이 평가지표로 사용하여 평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명한 것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 최소화와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수상작의 가장 큰 관심사이다. 디자인은 더 이상 인간의 물질적 요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일부 수상작은 폐자재를 매개로 지역 주민들과 공간을 만들었다. 식물을 통해 환경을 개선하고 천연목재를 사용하는 수상작들도 있다. 복합강재도 대부분 수상작들이 선택한 재료이다. 셋째, 디자이너들은 새로운 기술을 생활 재료에 사용하는 것도 고려하여 다양한 디자인 솔루션이 지속가능한 사회에 다양한 가치를 가져다 줄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물질’을 통해 물질에 대한 기대에서 작은 행동과 인지로의 전환과 안정적이고 공정하며 조화로운 지속가능한 사회의 촉진을 시사하는 바이다.

      • KCI등재

        한(漢)화상석 문화의 지속가능 발전 가치에 관한 연구

        우치,송만용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3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는 인류의 보편적인 발전 가치이지만,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모순도 존재한다. 이에 이러한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문화의 포용성과 보편성에 주목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고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화상석의 가치를 문화의 지속가능한 관점에서 재인식하는 것이다. 문화는 기호 시스템을 통해 전승되며, 한화상석은 기호 운반체로서중국의 전통 사상을 집중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유교 사상인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생태적 추구와 한나라의 생사관은 여전히 후세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문은 먼저 문헌을 통해 조사한 후 유리 로트만의 문화 기호학 관점에서 한화상석의 장식, 표현형식, 구도 등을 분석한다. 한화상석의 문화적 지속가능한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 문화상징가치. 한화상석은 일종의 생명 정신을 구현한다. 둘째, 생태적 가치, 즉 사람, 하늘, 땅, 자연 만물의 상호 연결 및 통일을 나타낸다. 셋째, 디자인적 혁신 가치. 한화상석의 발전은 시대기술과 관련이 있으며 문화의계승은 문화통합의 혁신과 창조를 필요로 한다.

      • 녹차미로부터 phenolic acid glycoside 의 분리

        송나영,조진경,박희정,우치엔,우영민,이기환,박동수,백남인 慶熙大學校 食糧資源開發硏究所 2010 硏究論文集 Vol.29 No.-

        분쇄한 녹차미를 80% MeOH로 추출하였고, 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EtOAc, n-BuOH 및 H20로 분배 추출하여 3 개의 분획을 얻었다. 이 중 n-BuOH 분획으로부터 sillica gel, ODS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2종의 phenolic acid glycoside를 분리 하였다. 이 들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IR과 NM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arillatose B와 arillanin C로 구조동정 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녹차미에서는 처음 분리 동정되었다.

      • 벼 (Oryza sativa L.)의 지상부로부터 u-tocopherol 의 분리

        정낙훈,박희정,조진경,이대영,우치엔,정태숙,김세영,노영덕,백남인 慶熙大學校 食糧資源開發硏究所 2009 硏究論文集 Vol.28 No.-

        벼 지상부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n-hexane, EtOAc, n-BuOH 및 물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중 n-hexane 분획을 silica gel 및 octadecyl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a-tocopherol을 분리하였다. 이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은 벼 지상부에서는 처음 분리되었다. 또한 hACAT-l 에 대하여 50μg/ml로 처리하였을 때, 42.9土0.2%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로부터 분리된 flavonoid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박지해 ( Ji Hae Park ),우치엔 ( Qian Wu ),유기현 ( Ki Hyun Yoo ),용혜임 ( Hye Im Yong ),조승목 ( Sueng Mock Cho ),정인식 ( In Sik Chung ),백남인 ( Nam In Baek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11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4 No.1

        The roots of Glycyrrhiza uralensis Fisch. were extracted with 30% aqueous ethanol (Et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n-hexane, chloroform (CHCl3),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n-BuOH), and H2O, successively. From the CHCl3 fraction, four flavonoids were isolated through the repeated silica gel (SiO2), octadecyl silica gel (ODS),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ies (c.c.).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pectroscopic data includ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ry (NMR), electron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EI/MS), and infrared spectroscopy (IR),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determined as glabrol (1), abyssinone II (2), glabridin (3), and isoliquiritigenin (4). The flavonoids were evaluated for cytotoxic effect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HCT-116, HepG2, HeLa, SK-OV-3, SK-BR-3, MCF-7, and SK-MEL-5. Especially, glabrol (1) and glabridin (2) showed IC50 values of lower than 25 μM.

      • KCI등재

        쉬저우박물관의 한(漢)화상석 문화상품 디자인 융합 개발 전략

        우치(Wu, Qi),송만용(Song, Man Y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5

        쉬저우는 중국 한(漢)문화의 발원지 중의 하나이며, 한(漢)화상석은 당시 특색성을 지닌 역사 문물이다. 한(漢)화상석은 본래 망자를 기리는 제사용 예술품이었다. 한(漢)화상석과 화상전(畵像砖)은 당시 매장용 건축의 일부로서, 한대(漢代)의 장례 의식과 민간 신앙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유쾌했던 현실의 삶도 사후세계로 가져가고 싶어하는 다양한 소재를 담고 있지만 한(漢)화상석을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 사례는 드물다. 그래서 여전히 연구의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漢)화상석을 활용한 쉬저우박물관의 문화상품을 개발 하는데에 있어 무엇이 필요하며 어떤 부분을 고려 및 강조하여야만 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또 한(漢)화상석과 박물관 문화상품에 대한 문헌고찰과 한(漢)화상석 주제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세 가지 문제를 연구하였다. 첫째, 한(漢)화상석 문화상품을 선택할 경우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 것이다. 둘째, 한(漢)화상석 문양에서 동물문양을 선호할 것이다. 셋째, 한(漢)화상석을 활용한 문화상품 중 패키지 제품을 선호할 것이다. 결과 전통문화를 이용한 문화상품을 제작하려면 과거의 양식에서 벗어나 현재적 가치 혹은 스토리텔링을 만들어야만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Xuzhou is the birthplace of Chinese Han culture, and The Han relief stones was characteristic historical relics at that time. The Han relief stones was originally a sacrificial art to commemorate the dead. The exhibition of stone portraits and portraits of the Han Dynasty was part of the burial building at that time, specifically showing the funeral rituals and folk beliefs of the Han Dynasty. Although the book contains a variety of materials to bring a pleasant real life into the afterlife, but there are few cases of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using images of Han relief stones. Therefore, the research is still meaningfu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what is needed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in Xuzhou Museum by using Han relief stones carvings, and which aspects need to be considered and emphasized. In addition,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Han relief stones and museum cultural developing and the investigation of the preference of the theme of the Han relief stones were studied 3 questions. First, if you choose Han relief stones carving cultural products, you will be very fond of design. The second is the pattern of Han relief stones, which prefers animal patterns. Third, among the cultural products that use Han relief stones, they will choose a package. In the end, it was discovered that if we want to use traditional culture to make cultural products, we must get rid of past models and create current values or st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