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부문 고위직 여성의 공적관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

        우양호(禹良昊) 한국지방정부학회 2011 지방정부연구 Vol.14 No.4

        이 연구의 주제는 고위직 여성의 공적관계 있어 토큰여성과 여왕벌신드롬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를 우리 나라 공공부문에서 탐색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질문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큰여성 및 여왕벌신드롬은 우리나라 고위 공직여성에게도 해당될 수 있는가? 그렇다. 토큰여성은 어떤 조직이 사회적인 비판을 피하기 위해 소수집단의 상징적 인물을 고용, 임명하는 관행으로 희소성, 제한된 권력, 남성화로 특징화되었다. 여왕벌신드롬은 고위직 여성이 조직 안에서 인정받는 여성은 자기 하나만으로 충분하다고 보고 다른 여성에 대해 도움을 잘 주지 않는 개념으로 자기방어기제, 권력 중심적 리더십, 비공 식성의 거부로 특징화되었다. 둘째, 여성상사를 둔 부하가 평가하는 토큰 및 여왕벌신드롬의 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남녀의 차이가 있는가? 개념들이 실제 존재했고 성별 차이도 있었다. 토큰여성은 주로 남성부하 에게, 여왕벌신드롬은 여성부하에게 관찰되었다. 셋째, 토큰 및 여왕벌신드롬이 고위직 여성에 대한 부하의 부정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며 성별차이가 있는가? 역시 그렇다. 여성상사를 다소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가운데 그 원인은 남성의 경우 토큰여성의 특징변수였고, 여성의 경우 여왕벌신드롬의 변수와 관계되었다. 이러한 발견은 향후 공직여성연구 및 현행 인사제도에 의미 있는 쟁점들을 던져 주었다.

      • KCI등재

        책임운영기관의 시장지향성의 고객만족과 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

        우양호(禹良昊),홍미영(洪美英),문경주(文景柱) 한국지방자치학회 2005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17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service performance, and examines how employees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service performance in the Driving License Test Center(ROA: responsible operation agency).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 DLTC's market orientation efforts improve not only its service performance but also its customer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the authors developed a structural model which consists of several variab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eleven DLTC. Some employees and customers of each DLTC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eater the market orientation, the greater the employee satisfaction. Second, the greater the market orientation, the greater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service performance. Third, the greater the market orientation, the greater the service performance. Fourth, the greater the employee satisfaction, the greater the service quality. Fifth, the greater the service quality, the greater the customer satisfaction.

      • KCI등재

        행정서비스 품질 평가척도의 적합성 비교에 관한 연구 - 민원행정서비스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우양호(禹良昊),김인(金仁) 한국지방정부학회 2006 지방정부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서비스 품질 연구의 현황, 측정 도구 및 방식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서비스 품질 연구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개별적인 측정도구의 적합성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가장 최적의 품질측정도구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형화된 서비스 품질 평가모형인 ‘SERVQUAL 방식’, ‘SERVPERF 방식’, ‘비차감방식’의 설문지를 동시에 이용하여 각 모형의 타당성을 경험적으로 비교ㆍ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ERVQUAL 방식, SERVPERF 방식, 비차감 방식의 서비스 품질 평가척도는 각각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통해 세 가지 모두 나름대로 행정서비스 품질을 측정하는 유용한 척도임을 발견하였다. 둘째, 적합성 비교의 경우,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지각 및 고객만족의 수준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SERVQUAL 방식보다는 SERVPERF 방식의 적합성이 높았으며, SERVPERF 방식보다는 비차감 방식이 보다 타당한 것으로 나타나 결국 전체적으로 가장 적합성이 높은 방식은 비차감 방식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 가지 서비스 품질 평가척도에 의해 규명된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각은 각각 모두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종합적으로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지각의 수준을 측정한 세 가지 척도 모두 인과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행정서비스 부문에서 고객만족을 위한 서비스 품질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금 상기시켜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validity of three alternative service quality models developed so far. Specifically, the SERVQUAL model suggested by PZB(1988; 1991), the SERVPERF model developed by Cronin and Taylor(1992), and the Non-Difference Score model proposed by Brown, Churchill and Peter(1993) are evaluated for its relevance. Above all, this researcher made an empirical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total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researcher made a questionnaire survey of people visiting civil affairs offices established at 58 public institutions in Busan Metropolitan City.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three models were tested to find that SERVQUAL model, SERVPERF model and Non-Difference Score model had positive effects on total service quality. In addition, each of the three models showed differences in its significance according to its dimension of service quality. Second, the three models were verified to show that SERVQUAL model SERVPERF model and Non-Difference Score model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ach of the three models showed differences in its significance according to its dimension of service satisfaction. Third, that total service quality influences customer satisfaction was demonstrated true. Finally, that Non-Difference Score model is more effective in measuring the quality of Civil administrative service than SERVQUAL and SERVPERF model was tested by way of comparing the three models in validity and reliability, correlation coefficient, predictive feasibility.

      • KCI등재

        공공서비스 관리이론의 한국적 적실성에 관한 비교연구 - 신공공관리론과 신공공서비스론을 중심으로

        우양호(禹良昊) 한국지방정부학회 2008 지방정부연구 Vol.12 No.2

          The prim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New Public Management theory and the New Public Service theory for public management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s of the two models, the New Public Management and the New Public Service, on the service outcomes of public service deliveries of 30 city governments in Korea.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civil administration service, the public health service,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service and the consumer protection service. In the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some different aspects between the two models in public management among service types. Moreover, both models were hav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public service outcome. In conclusion, we know that the current New Public Management and the New Public Service for public management models have several problems on their acceptance and application as public service delivery systems in Korean government. It is necessary to accept after that to make a thorough comparative study and a verification of each model.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공공서비스 분야에서 신공공관리론과 신공공서비스론의 적실성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비교하여 규명하는 논문이다. 연구를 위해 전국 30개 도시에서 4가지 서비스분야의 관료와 시민 121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으며, 신공공관리론과 신공공서비스론의 특성 및 통제변수가 주관적 측정치를 통한 서비스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서비스 유형에서 지금의 신공공관리론적 특성이 적실성이 높고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었다. 어떤 서비스에서는 신공공관리론의 적실성이 높고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어떤 서비스에서는 신공공서비스론의 적실성이 높고 좋은 결과를 가져 왔다. 둘째, 서비스 유형에 따라 두 이론의 적실성은 상대적인 차이가 있었다. 민원과 보건소서비스와 같은 배분적 분야에서는 신공공관리론의 특성이 강할수록 좋은 결과가 나타나지만 환경보호와 소비자보호서비스와 같은 규제적 분야에서는 신공공서비스론의 특성이 강할수록 좋은 서비스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공공서비스 관리에 있어서 좋은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두 이론의 특성과 서비스 유형에 따라 그 관리방식을 달리해야 한다는 상황이론이 적합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모든 공공서비스 관리에 신공공관리론을 획일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하며, 신공공서비스론도 신공공관리론에 대해 완전한 대안적 처방은 될 수 없음을 시사했다.

      • KCI등재

        지방정부간 생산적 협력관계 구축의 성공조건

        우양호(禹良昊),강성철(姜成哲) 한국지방자치학회 2006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18 No.3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and arguments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some questions have been raised; what undermined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them, and why? That is, what are the main factors that support their mutual cooperation? Starting from the above recogn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auses and factors that facilitate the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So, we categorized the decisive four Conditions - ⓐeconomic benefits and costs of cooperation, ⓑ reconciliation of group culture or interest, ⓒbehavior of chief executives and Bureaucrats, ⓓinstitutional control and discussion organs - into the aspects based on theories that explain the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Through this analysis we would like to find out the decisive four conditions that affect the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In other wor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that the most encouraging factor is the economic benefits and costs in the cooperation and need to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cooperative systems.

      • KCI등재

        월경한 해항도시간 권역에서의 국제교류와 성공조건

        우양호(禹良昊) 한국지방정부학회 2012 지방정부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최근 ‘부산과 후쿠오카의 초국경경제권 형성’을 사례로 월경한 해항도시간의 초국경 교류 수준과 현황을 점검하고, 그 성공조건을 분석해 보는 목적을 갖고 있다. 실제적으로 이 사례의 의미는 동북아지역에서 도시들의 자발적 네트워크를 통한 초국경적 권역형성의 첫 시도였다는데 있으며, 이제 교류가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성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직전단계에 서 있다. 먼저 사례에 대한 현황을 살펴본 결과, 도시차원의 교류를 통해 그 효과를 지역과 국가로 확대하는 상향식 사고로의 전환과 실천, 국가주도가 아닌 도시자치에 기반한 자발적 네트워크로 새로운 연계모델을 제시한 점, 민간저변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특징들이 의미 있게 나타났다. 반면에 통합된 경제권의 크지 않은 규모, 통합 후의 확실한 비전(시너지효과)과 상생방안의 미도출, 투자자원 및 교류여건의 제한, 문화/관행적 장벽의 상존 등이 극복되어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또한 양 도시의 초국경 교류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조사를 통해 알아본 이 사례에서의 현실적 성공요인들은 다양하였는데, 그것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점, 두 도시의 경제 및 산업구조가 비슷한 점, 시장이나 관료의 교류의지가 높은 점, 별도의 조직과 예산이 운영되고 있는 점, 민주주의와 자치의 수준이 비슷한 점, 상호호혜의 원칙과 존중감이 높은 점, 국가적 외교환경이 안정적인 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이 사례뿐만 아니라, 월경교류나 국제적 네트워크가 필요한 다른 비슷한 처지의 도시들에게 국경을 초월한 교류의 시도 및 활성화 방안에 중요한 시사점들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연안정부간 새로운 월경협력과 파트너십의 형성 - 동남아시아 초국경 성장삼각지대의 사례 -

        우양호,김상구 한국거버넌스학회 2014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1 No.2

        The growth triangle is primarily an economic concept in Southeast Asia, although it is underpinned by strong political motivations. The model involves linking adjacent areas of separate countries with different endowments of factors of production - such as land, labour and capital - and different sources of comparative advantage, to form a subregion of economic growth. The SIJORI Growth Triangle is a partnership arrangement between Singapore, Johor in Malaysia, and Riau Islands in Indonesia that combines the competitive strengths of the three cross border areas to make the subregion more attractive to regional and international investors. The SIJORI Growth Triangle is the pioneer of transnational sub-regional cooperation in the East Asia Pacific,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it was shaped. More specifically, it links the infrastructure, capital and expertise of Singapore with the natural and labour resources and the abundance of land of Johor and Riau. The SIJORI Growth Triangle was first publicly announced in 1989 by Singapore Deputy Prime Minister Goh Chok Tong. The objective was to strengthen the economic links in the region and to optimize the complementarity between the three adjacent areas The pact would combine the management expertise, rich capital, technology and infrastructure of Singapore with the abundant labour, land and natural resources of neighbouring Johor State in Malaysia and the Riau Provice in Indonesia. The triangle of growth was envisioned to be a key component of the Singapore regionalization scheme of the 1980s and 1990s, relocating labor intensive industries to neighbouring places such as the Malaysian state of Johor(known as the Iskandar Development Region) and the island of Batam in the nearby Indonesian province of Riau Islands. As more Malaysian and Indonesian states joined the grouping, the Indonesia-Malaysia-Singapore Growth Triangle(IMS-GT) was formed to formalize the new grouping. Now, The SIJORI Growth Triangle is a very recent exciting experiment in economic integration in Southeast Asia. The SIJORI Growth Triangle encompasses various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components. There are significant political and social implications deriving from their emergence, and their future development will be affected by domestic politics within and the broader state of relations between the participating countries. The article also explores the question of whether growth triangles have been driven mainly by business or government initiative. 오늘날 연안과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정부간 새로운 초국경 네트워크 및 월경협력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유럽과 아시아에서는 오래 전부터 국제적 협력과 소통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동남아시아의 경우, 다소 복잡한 시대적 배경과 상황 하에서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하여 말레이시아 연안과 인도네시아의 섬 지역에 걸쳐 구축된 초국적 접경성장지대의 출현을 우리는 동남아시아의 새로운 월경지역 협력모델로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동남아시아 연안의 접경지역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난 소규모 협력 이니셔티브로서, 국가 최고지도자들의 정치적 제안과 수용을 통해 다소 소박하게 출발을 하였다. 그리고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조호르, 인도네시아의 리아우 사이에 형성된 접경된 성장삼각지대(Singapore-Johor-Riau Growth Triangle)가 가진 초기 목적은 각기 서로 다른 접경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인구, 자원, 기술, 자본 등의 상호보완성을 이용․결합해 보기 위해 형성이 되었다. 그러나 이 사례는 해역과 육역 간의 결절점으로 기능함으로써 갖게 되는 연안정부 및 해항도시의 본질적 네트워크성과 혼종성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바다와 연안이 단순한 국가 사이의 접촉지대, 경계지대가 아닌 새로운 역동성과 그것이 발현되는 기제를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동아시아의 해상관문인 싱가포르를 주축으로 한 초국적 접경지대의 형성사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그 배경과 과정, 특성, 논리를 이해하는 동시에, 우리나라가 속한 동북아시아 연안과 월경네트워크의 향후 청사진에 대한 시사점까지도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갖는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주민의 정보격차가 행정정보서비스 만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초자치단체 전자민원서비스를 중심으로

        우양호,정명주 한국거버넌스학회 2007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digital divide typ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ervice. Digital divide widens as the information society matures. It has been generally argued that digital divide is caus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gender, generation, education, income, labor force status, class, region and etc. But digital divide is created, reproduced and aggravated through a very complex process. Given the assumption that digital divide is not a comprehensive concept converging into a single dimension, digital divide are articulated into the following four aspects: digital consciousness, digital accessibility, digital ability, digital usage. The empirical result indicates that (1)digital gap among residents were varied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and digital divide type; (2)the result of the path analysis shows that digital ability and digital usage in digital divide factors affected significantly service quality and subjective performance; (3)digital consciousness, digital accessibility, digital ability, digital usage in digital divide factors were significant factor; (4)digital ability and digital usag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ereas digital consciousness is the least important factor 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ervice. Finally, The prior conditions for the solution of digital divide are to draw upon a social consensus in order to provide more people with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ise relevant digital education content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and policy measures need to be taken to not simply enhance digital availability but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기초자치단체 수준에서 비교적 동질적인 지역특성과 생활여건을 가진 주민들간에 나타날 수 있는 정보격차의 유형이 온라인 행정정보서비스에 대한 주민들의 주관적 만족과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밝혀보는 것이다. 이에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자치단체 수준에서 지역주민간 정보격차의 경우 정보인식격차와 정보접근격차의 차원보다 정보활용능력격차와 정보활용정도격차 통계적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모형을 통한 경로분석에서 정보인식격차, 정보접근격차가 행정정보서비스의 만족과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활용능력과 정보활용정도의 격차도 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행정정보서비스 품질이 만족과 성과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이 연구는 공공부문 오프라인과 다른 온라인 행정정보서비스 부문에서도 독립변수인 정보격차 및 서비스 품질, 만족, 성과개념의 인과관계가 성립된다는 점을 밝혔고 종합적으로 관련개념들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적으로 규명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동아시아 해양환경 거버넌스와 지방정부 네트워크: 펨시(PEMSEA)의 사례

        우양호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2023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JGA)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동아시아 국제 해양환경 협력기구인 ‘펨시(PEMSEA)’를 사례로 다중심적 해양환경 거버넌스와 지방정부간 초국경 네트워크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는 것이다. 광범위한 동아시아 해역은 5개의 지역해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지리적 구조이며, 해양환경관리와 해양생태보호에는 다수 연안국과 지방정부들의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래서 해양환경 부문의 유일한 동아시아 국제기구인 펨시는 해양환경 개선을 위한 국가와 도시, 외부기관과 민간단체간 다중심적 협력체계와 초국경적 거버넌스를 구축해 왔다. 이론적 쟁점과틀로서는 해양환경 국제협력 분야에서 국가나 정부 단위 노력의 한계와 새로운 협력기구의필요성, 지방정부와 지역차원의 협력과 연계성 강화 문제, 연안국가들 사이의 복잡한 이해관계와 조정의 문제, 국내적 실행 확보의 문제, 부족한 재원과 재정문제가 논의되었다. 그리고펨시는 이런 문제를 동아시아 해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SDS-SEA), 연안통합관리(ICM)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해결하였다. 그리고 회원국 이사회와 총회(EAS), 지방정부 네트워크(PNLG), 유엔기금의 공조와 재정 지원, 외부 전문협력기관과 민간단체와의 협업 등으로 이루어진 다중심 거버넌스 구조를 통해 여러 한계를 극복했다. 특히 펨시의 지방정부 네트워크(PNLG) 활성화 사례는 국가적 협력과 별도로 해양환경의 지방교류와 도시네트워크의 모범을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기존 협력레짐과 차별화된 펨시와 지방정부 네트워크는 동아시아 해양협력의 실효성과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였다. 나아가 지방정부간 자생적 네트워크를 장려하고, 아래로부터 해양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는 향후 남북 해양환경 협력의 가능성도엿볼 수 있게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