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북 섬진강 상류(임실, 순창)에 분포하는 식물상

        오현경,유주한 한국자연보호학회 2016 한국자연보호학회지 Vol.10 No.1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conservation of river ecosystem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in the upper reach of Seomjin River, Jeonbuk. The flora were summarized as 487 taxa including 105 families, 307 genera, 433 species, 3 subspecies, 45 varieties and 6 forms. The rare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Penthorum chinense, Chionanthus retusus and Tricyrtis macropoda.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7 taxa including Populus tomentiglandulosa, Philadelphus schrenkii, Forsythia koreana, Paulownia coreana, Weigela subsessilis, Aster koraiensis and Lycoris flavescen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5 taxa including Hypodematium glandulosa-pilosum, Wistaria floribunda, Selaginella tamariscina, Salix siuzevii, Monochoria korsakowii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63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Phytolacca americana, Brassica juncea, Astragalus sinicus, Helianthus tuberosus, Panicum dichotomiflorum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6 taxa including Rumex acetosella,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Hypochaeris radicata and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 KCI등재후보

        역동적 언어 훈련 프로그램이 알츠하이머형 치매 노인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오현경,강수균,이현혜,최경희,박선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communication ability in applying the dynamic language training program to elderly patients with Alzheimer's dementia. The subject were 3 patients whose Alzheimer's dementia of mild and moderate.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with pre-stage, treatment-stage, post-stage. The treatment-stage consisted of three parts: introduction, the dynamic language training program and conclusion. The therapy was delivered 24 times for 8 weeks. The communication ability is measured by the Holden Communication scal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rist, after applying the dynamic language training program, the communication ability was improved. Finally, the milder patient with Alzheimer's dementia was effective.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형 치매 노인에게 역동적 언어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의사소통능력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경상북도 포항에 있는 경도와 경중도의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 3명으로 의사소통능력은 Holden Communication척도로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사전 평가 단계, 치료 단계, 사후 평가단계로 설계되어 있다. 치료 단계는 도입, 역동적 언어 훈련 프로그램, 정리 단계로 설계되어 있다. 역동적 언어 훈련 프로그램은 색종이 붙이기, 종이 접기, 옛날 노래 부르기, 칼라 점토 만들기, 숫자 게임하기, 털실 그림그리기, 오색 주먹밥 만들기, 서예, 연중행사와 유명인에 대해 말하기, 소풍의 활동을 통해 환자와 환자, 환자와 연구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치료는 8주 동안 24회기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즉 역동적 언어 훈련 프로그램의 치료 후에,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었다. 이상과 같이 연구의 역동적 언어 훈련 프로그램은 알츠하이머형 치매 노인의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에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경도의 치매 환자 일수록 높은 향상을 보였다.

      • 관악산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식물상

        오현경,오충현,이호영,유주한 한국자연보호학회 2015 한국자연보호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conserving the biodiversity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distributed in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Mt. Kwanak. The flora of this site were summarized as 228 taxa including 72 families, 154 genera, 197 species, 3 subspecies, 21 varieties and 7 forms. The rare plant was Viola albida.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5 taxa including Populus tomentiglandulosa, Forsythia koreana, Weigela subsessilis, Aster koraiensis and Hosta minor.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1 taxa including Wisteria florinunda, Viola orientalis, Weigela florida, Buxus koreana and so forth. Especially, Buxus koreana is the reason for selection of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4 taxa including Chenopodium album, Malva neglecta, Physalis angulata, Erigeron annuus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Ambrosia artemisiifolia and Aster pilosus.

      • KCI등재

        사물탕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오현경,신말식,임현숙,Oh, Hyun-Kyung,Shin, Mal-Shick,Lim, Hyeon-Soo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5

        본 실험에서는 한방 재료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빵의 제조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우선 보혈제의 기본 처방인 사물탕을 첨가하는 경우 식빵의 품질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 검토고자 하였다. 사물탕은 당귀, 백작약, 숙지황 및 천궁을 각각 4.68 g씩 혼합하여 $120^{\circ}C$에서 3시간 동안 탕재하였다. 식빵 반죽 시 첨가하는 물의 25%(S-I), 50%(S-II), 75%(S-III) 또는 100%(S-IV)를 사물탕으로 대체하여 4종의 사물탕 첨가 식빵을 제조하였다. 본 실험 결과, 식빵 반죽의 pH는 사물탕 첨가로 유의하게 낮아졌는바, 식빵 반죽의 발효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 것으로 판단된다. 식빵 반죽의 젖은 글루텐 함량은 사물탕 첨가로 유의하게 높아져 역시 식빵 적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다. 식빵 반죽의 색도에 있어, 명도는 사물탕 첨가로 점차 유의하게 낮아진 반면에 적색도와 황색도는 유의하게 높아졌다. 식빵 반죽의 무게와 식빵의 무게는 사물탕 첨가에 따른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따라서 식빵의 굽기 손실율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식빵의 모양 및 부피와 비용적 등 식빵의 형태적 특성은 사물탕 첨가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빵의 수분함량은 사물탕 첨가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단백질과 회분함량은 유의하게 높아졌다. 사물탕 첨가는 반죽의 색도뿐만 아니라, 식빵의 속 색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즉, 사물탕 첨가로 식빵 속의 명도는 낮아졌고 황색도와 적색도는 높아졌다. 텍스쳐 측정 결과, 사물탕 첨가는 식빵의 경도를 증가시켰으나 부착성, 탄력성 및 응집성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저장 3일과 5일에 식빵의 수분함량은 유의성은 없었으나, 사물탕 첨가 식빵은 감소 정도가 작았다. 식빵의 X-선 회절도는 사물탕의 첨가에 따른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관능평가 결과 사물탕 첨가는 식빵의 대칭성, 맛, 경도 및 기공성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나, 식빵의 겉과 속의 색을 어둡게 하였고, 이취를 높였으며, 부피감과 점착성을 유의성있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부피감과 점착성의 향상은 물론 어두운 색과 이취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어 전체적인 기호도는 물의 50%를 사물탕으로 대체한 식빵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물 대신 사물탕을 사용해 식빵을 제조하는 경우 제빵 적성 및 식빵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고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혈액순환과 조혈기능을 촉진하는 건강 기능성 식빵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It has been known that Samultang has positive effects on blood circulation and erythrocyte formation. Samultang was composed of four ingredients, Angelica gigas Nikai, Rahmanniae Radix Preparata, Paeonia lactiflora Pallas, and Cnidium officinale Makino. Five types of bread were prepared by replacing water with Samultang for dough proportionally. Control (C) did not have Samultang and the other four experimental bread contained Samultang: S-I (25% of water was substituted by Samultang), S-II (50% substituted), S-III (75% substituted), and S-IV (100% substituted). Moisture, protein, and ash contents of Samultang were $97.34{\pm}0.11%,\;0.42{\pm}0.04%,\;and\;1.40{\pm}0.16%$, respectively. Replacing water with Samultang decreased pH and increased significantly wet gluten content of the dough. Substitution of Samultang for water incremented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dough and bread and increased hardness. It also raised the contents of ash and protein. Although it wa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moisture loss of the bread during storage seemed to be lessened by replacing water with Samultang. However, total volume and specific loaf volume of the bread, baking loss rate, and the other textural characteristics except hardness were not affected by substituting water with Samultang. Due to the above results, sensory evaluation of volume and gumminess of the bread were improved significantly by substituting Samultang for water. The bread replaced 25% of the water with Samultang was ranked as the best by the test of sensory evalu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adding Samultang instead of water to dough for bread might bring positive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out any adverse influences. Therefore, it might be worth developing functional bread using Samult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