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시민성 및 글로벌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영어 수업운영 사례연구

        오은주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2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내용언어통합학습(Content Language Integrated Learning)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세계시민성 및 글로벌역량 함양과 영어학습을 통합하는 교양영어 수업모델을 운영한 사례연구이다. McTighe & Wiggins(1999)의 백워드 디자인을 활용하여 설계된 수업모델(오은주, 2021)은 교양영어 수업의 바라는 결과(세계화와 세계시민 이해하기, 글로벌역량 이해하기, 테크놀로지 도구 이해하기, 영어 의사소통 이해하기)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아태교육원 세계시민교육 온라인 캠퍼스의 GCED101자료를 활용하여 세계시민성 개발을 위한 학습경험을 제공하였고, PISA 글로벌역량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글로벌역량 함양을 위한 미디어 기사읽기를 수행하였다. 또한 어려운 영어자료의 접근성을 높여 원활한 내용습득을 돕기 위해 다양한 비계(e.g., 기계번역기, 한국어, 협력학습)를 제공하였다. 한 학기 동안 운영된 수업에 대한 바라는 결과 성취여부에 대한 학습자인식 조사에서 네 개의 바라는 결과는 모두 달성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PISA 글로벌역량의 사전사후 검사결과 수업과 연계된 다섯 개의 하위구인에서 모두 유의미한 진보를 보였고, 영어 자기효능감 검사의 사전사후 결과에서는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상승을 보였다. 연구 결과의 함의는 세계시민성 및 글로벌역량을 함양하는 교양영어 수업이 언어 학습의 본질적 기능 뿐 아니라 21세기 대학의 교양교육이 지향하는 가치 지향적 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초필수 교과목으로서의 잠재성을 탐색한 점이다.

      • KCI등재

        강의평가 실태조사를 통한 강의평가 개선 방향 연구

        오은주 한국교육방법학회 2009 교육방법연구 Vol.21 No.2

        Student feedback can facilitate teaching improvements. The most common form of student feedback is obtained from end of semester student evaluations. However, there are controversial issues regarding the cred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rofessors utilize course evaluation results to improve their courses and the course evaluation instrument is credible enough to be used as a personal evaluation criteria. The study subjects included course evaluation records from two different size universities. One university used one-type evaluation questionnaire for all the courses and the university used 13 different questionnaires based on teaching methods. For the ensuring the credibility, the study observed the number of responses that were marked in the same scale to find if there is any difference based on the instrument type used.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most professors were using course evaluation results as a good source to improve their courses for the next semester. They also were willing to use mid-term semester evaluation if school offers for better providing courses. When analyzing course evaluation, more than 50% of the responses were marked in the same scale regardless the type of evaluation instrument.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ourse evaluation instrument that is currently being used is not reliable enough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s.

      • KCI등재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오은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19 청소년시설환경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1 university students (127 male and 194 female students) in capital area. The data were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ng Model(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A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lso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 a research model and a competition model were establish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accident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model, in which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mediated partly, was appropr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a significant factor in university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bsequent research were suggested. 연구배경 및 목적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이 진로적응성의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연구하고자 한다. 대학생 시기는 직업인으로의 전환을 준비해야 하므로 직업선택뿐만 아니라 직업세계 적응에 준비해야 하는 시기이다. 현대사회는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만큼 대학생들도 이에 발맞춰 적응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게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해 직업 세계는 불안정하고 복잡해졌고 따라서 개인의 진로도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평생직장의 개념은 많이 희미해졌고 끊임없는 자기계발과 관리를 통해 불확실하고 다양화된 직업세계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부각되고 있다(황현덕 외, 2012). 실제로 불안정과 미래의 직업 세계에 적응을 위해서는 끊임없이 스스로 자신을 계발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진로적응성이란 미래 직업세계로의 원만한 전환하기 위해 예측 가능한 과제에 대한 준비뿐만 아니라 미래 직업 세계에서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선행연구들을 고찰해 본 결과,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 중 중요 변인 하나로 계획된 우연기술을 들 수 있다. 계획된 우연기술은 Krumboltz(1996)의 사회학습이론의 우연이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중요변인으로, 계획된 우연기술은 최근의 예측하기 어려운 현실의 사회변화와 직업 세계 변화에 따른 진로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관심을 받는 변인이다.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다른 하나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들 수 있는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란 Bandura(1977)의 자기효능감의 개념에 진로발달이론을 적용하여 Hackett& Betz(1981)가 진로결정과 관련된 과업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의미한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적응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연구방법 및 범위대상 : 수도권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설문지는 330부를 배포하였고 부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319부의 자료를 사용함방법 :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량 및 신뢰도 검증 및 상관분석 실시함.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함 - 연구결과첫째,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는 계획된 우연기술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후보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수역량 탐구

        오은주 대한사고개발학회 2009 사고개발 Vol.5 No.2

        Today's universities increasing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ffective instruction and teaching competencies of professors in order to compete with other universities. Over the years, the meanings of good instruction have been defined in many different ways, and studie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have been conducted by many researchers. For delivering good instruction, professors have to posses proper teaching competencies. However, there is not any study that complies the meaning of good instruction and teaching competencies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core teaching competencies constructing good instruction based on the definition of good instruction. In order to collect data about good instruction, open-ended question survey was conducted with 80 students and the teaching competency test instrument was administered with 100 professors in one of the Universities in Korea. Students' responses were analyzed by the theme and compared with the items in the teaching competency instrument. Based on the data analysis, the core teaching competencies were instructional design and facilitating competencies. Particularly, this study revealed that attitudes related skills such as communication with students, understanding the students, and creative, and student-centered instruction are really important for professors to motivate students' learning.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과 선호하는 수업방법을 교수자들이 가지고 있는 교수역량과 비교하여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해 강조되는 핵심 교수역량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의미를 알아보고 선호하는 수업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A대학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우세한 교수역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A대학교 100명의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교수역량 진단을 실시하였다. 좋은 수업에 대한 설문은 80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고 선호하는 수업진행 방식에 대한 설문 조사는 463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학습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좋은 수업은 참여를 유도하고 의사소통이 원만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학습자들의 이해를 촉진시키는 수업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선호하는 수업진행 방식으로는 강의식, 사례중심, 세미나식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좋은 수업을 위해 교수자들에게 강조되어야 하는 핵심 교수역량은 학습자와 수업에 대한 열정과 수업내용을 창의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직하는 역량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수업방법과 전략을 사용하여 학습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역량 역시 핵심 역량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교수자들은 학습자 중심의 수업 설계를 할 수 있는 수업설계역량과 다양한 자료와 전략으로 학습내용의 이해를 촉진 시키는 학습촉진역량이 현저하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자로서의 학습평가역량은 상대적으로 우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의 좋은 수업을 위한 핵심교수역량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지식기반 창의적문제해결역량 증진 방안 연구

        오은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1

        In this study, the study ways of strengthening cre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of the college students were suggested by analyzing the project-based classes and the academic-self efficacy test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goa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academic-self efficacies were examined and how the project-based classes affect to promote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study abilities. For the study, the academic self efficacy test were conducted and the TTCT were conducted with 69 students and three professors teaching the project-based classes were interviewed. The study result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to find out if ther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self efficacies and creative abilities. Even though there was not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the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ies and high study abilities tended to be more attentive and creative, and successful in completing the project. Based on the study results,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the project area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producing creative ideas during the problem solving activities. Knowledge-based creative problem solving was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창의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진단하고 프로젝트기반 수업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창의적문제해결 역량을 향상시키는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의적 역량과 학습적 자기효능감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고, 프로젝트기반 수업이 어떻게 학습자들의 창의적문제해결력과 학습역량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먼저 프로젝트기반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정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프로젝트기반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이러한 수업이 학생들의 학습역량 및 창의적 역량 향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에는 K대학 공학대학 학생 중 창의적사고와 문제해결을 수강한 공과대학 학생 69명이 참여하였고 프로젝트기반 수업을 지도한 3명의 교수자가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역량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직접적으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습이 기반이 되는 전문분야에 관한 지식이 창의적 역량의 증진과 활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식기반 창의적문제해결 교수․학습 방법이 제안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