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회과 교사의 정치성향에 따른 공공쟁점 중심토론학습에서의 균형 역할 지향성 분석

        오연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5 사회과교육연구 Vol.22 No.1

        As this study analyze the orientation of Korean social studies teachers’ ‘Balance role’ depended on their political preferences in order to research the myth that social studies teachers’ political preferences effect the teaching practice in publ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This study surveyed 201 social studies teachers in 89 secondary schools.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on analysis of questionnaire. The first, the social studies teachers’ political interest have no effect on their orientation of ‘Balance role’. This isn’t support the misgivings that social studies teachers group of higher political interest have a difficulty in keeping ‘Balance role’ in publ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The second, the higher social studies teachers’ progressive political preferences have more orientation of ‘Balance role’ in publ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As the social studies teachers’ have progressive political preferences about some public issues, they the have more orientation of ‘Balance role’ in publ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So it is possible that the progressive social studies teachers make a more impartial or neutral effort on jurisprudential approach. 사회과 교사의 정치성향에 따라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에서 균형 역할 지향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여 교사의 정치성향이 교수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실증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전국 총 89개교에 재직하고 있는 201명의 중등 사회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교사는 정치적 관심도에 따라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에서 교사의 균형 역할 지향성이 다르다고 할 수 없다. 정치적 관심도가 높은 사회과 교사는 그렇지 않은 사회과 교사에 비하여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에서 균형 역할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할 수 없다. 둘째, 특정 공공쟁점에 대하여 진보적인 사회과 교사일수록 이를 중심으로 하는 토론학습에서 개방적이며, 공정하게 혹은 중립적으로 다루려는 경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진보적 정치성향의 사회과 교사가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에서의 균형 역할 지향성이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 KCI등재

        중학생의 ‘토론할만한’ 공공쟁점 선정과 의미 : 쟁점 중심 교육의 학습자 적합성을 위한 질적 연구

        오연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6 사회과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토론할만한’ 사회과 교실토론 주제로서 다양한 공공쟁점에 대하여 중학생들이 어떠한준거로 선정하고 자신의 선정 준거를 어떻게 의미화 하는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학습자의 공공쟁점에대한 인식의 양상을 이해하고자 심층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공공쟁점 중심 교육의 학습자 적합성을 실현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중학생들의 공공쟁점 선정 준거와 그 의미는 다음의 6가지로 범주화된다. ① 학습자 관련성 : 자신과의 직접적 관련성뿐만 아니라현재 혹은 미래의 관련 가능성까지의 관련성으로 의미화하며, ② 사회 문제 혹은 정치 문제 : 사회적 조망이 가능한 사회 혹은 정치 문제를 교실토론 주제로 선정하며, ③ 친숙성 : 공공쟁점과 관련된 정보를 뉴스나 SNS와 같은 간접 경험을 통하여 친숙하게 인식한 쟁점을 교실토론 주제로 선정하며, ④ 논쟁성 : 논쟁적 공공쟁점을 선정하지만 그 논쟁성이 이성적 검토를 불가능하게 할 정도라면 교실토론 주제에서 배제하며, ⑤ 정치적 효능성 : 공공쟁점이 사회적 관심을 일으키고 이것의 토론이 사회 혹은 정치 변화에 대한 기여 가능성이 있어야 하며, ⑥ 특정 교사 역할 기대 : 교사가 정보의 원천과 제공자로서 기대되는 공공쟁점을 선정하나 교사의 개입과 강요가 예상되는 것은 교실토론 주제로서 배제한다. As this study researches on middle school students’ cognition of choosing standard on ‘debatable’ public issues in face-to-face classroom discussion. It was collected the data with in-depth interviews in order to explore students’ cognition of public issues. The goal of this study is serve the base in relevance of learners on issues-centered education. The conclusion could be summarized : ① Relation of learners : Students recognized relevance as the possibility of relation in comtemporary and future their lives, ② Social or Political problems : Students choose social or political problems proper theme through their social prospects, ③ Familiarity : The more encountered the issues on TV or SNS, the more familiar students feel, and familiar issues is recognized as relevant issues, ④ Controversy : Public issues could be chosen as controversial issues in learner inside, even it is social controversial already, but they were excluded in case of only conflict of participant without any their reasoning, ⑤ Political efficacy: The public issues arouse some social interest and possibility of change of society or political situation, ⑥ The expectation of teachers’ special role : In case teachers are expected to be an information source and a distributer about issues, students would choose them but public issues are excluded when teachers are expected to intervene or impose the position on students.

      • KCI등재

        공공쟁점 토론학습에서 논쟁성의 실천적 의미: 쟁점의 논쟁성과 사회과 교사의 역할 지향성 관계

        오연주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2

        It has been emphasized that controversy is critical attribute in definition of issues and a important criteria for selection of contents on issue-centered education. Considering that controversy is build up in social context, We should explore the degree of controversy of public issues. This study tries to comprehend about a practical meaning of controversy on publ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In order to comprehend about a practical meaning of controversy,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controversy on public issues and the orientation of social studies teacher's role. It was made an analysis data of questionnaire of 201 Korean social studies teachers' in 89 middle or high school.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s. The first, while the highest rate of social studies teachers' role type of 'Balance' about given all issues, it is revealed that Korean social studies teachers have the flexible orientation of role type in issues-centered discussion. The teacher's 'Balance' role try to openly introduce all perspectives on the issues. But the more 'Denial' role type social studies teacher come out, the less 'Balance' role type social studies teachers exist.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the 'Denial' role type social studies teacher between 'Balance' role type social studies teachers. The second, the more controversial issues are discussed, the less distorted practice of publ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is done. Because the higher rate of 'Privilege' teacher's role reveal when the lower controversial issues are discussed in the classroom. There is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controversy and rate of 'Privilege' teacher's role type social studies teacher. Even though there are some opposite position or anxiety on higher controversial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this study come to conclusion. The higher degree of controversial public issue were discussed, the more authentic classroom discussion. 쟁점 중심 교육에서 논쟁성은 쟁점의 정의에 내포된 핵심 속성으로 언급되거나, 내용선정 준거로서 강조된다. 논쟁성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상대적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공공쟁점 중심 교육의 실천과 관련하여 쟁점의 논쟁성의 정도, 즉 논쟁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쟁점 중심 토론수업 실천에서 공공쟁점의 논쟁도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탐구하고자, 사회과 교사 집단에 나타난 공공쟁점의 논쟁도와 이들의 역할 지향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총 89개교에 재직하는 201명의 중등 사회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쟁점을 둘러싼 다양한 관점을 학습자들에게 소개하고 공정하게 다루려는 이른바 ‘균형’ 역할 지향성 사회과 교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나, 사회과 교사의 역할 지향성은 각 쟁점에 따라 유연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공공쟁점에 대한 논쟁성을 수용하지 않는 ‘거부’ 역할 지향성 교사의 비중이 높은 쟁점일수록 ‘균형’ 역할 지향성 교사가 낮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둘째, 논쟁도가 낮은 쟁점을 다루는 사회과 수업일수록 왜곡된 토론학습 실천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논쟁도가 낮은 쟁점에 대하여 사회과 교사는 자신이 선호하는 입장과 관점을 학습자에게 수용하도록 하는 이른바, ‘특권’ 역할 지향성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사회과 교사 집단에서 나타난 공공쟁점의 논쟁도와 각 쟁점을 다루는 토론수업에서 사회과 교사의 ‘특권’ 역할 지향성 간에 높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논쟁도가 높은 공공쟁점으로 내용선정하는 것에 대한 우려와 반대가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논쟁도 높은 공공쟁점을 중심으로 한 토론수업일수록 진정성 있는 공공쟁점 중심 교육을 실천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 KCI등재

        서울시 중등 교사의 논쟁학습 실천 지향성에 따른 논쟁학습 장애에 대한 인식 분석

        오연주,정필운,양지훈,이경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敎員敎育 Vol.36 No.1

        The research intend to contribute to the base on the implementation of issues-centere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y exploring the teachers’ cognition about the practical barriers dependant on the implemental orientation of issues-centered education. As the practical principles of issues-centered education are in concordance with the ‘Beutelsbacher Consent’, this study made a secondary analysis from the precedent data by a stratification sampling of 412 secondary teachers in Seoul from the 2017 questionnaire of 「A study 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schoo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Beutelsbacher Consent」. The object of the investigation is to categorize their support or acceptance level of the Beutelsbacher Consent to classify their cognition into‘positive/ordinary/negative’ groups by level of implemental orientation of issues-centered education. The one-way ANOVA has shown the following: First, the more negative implemental orientation group has a more negative position regarding the accordance of the present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with the content being issues-centered education, and regard the implementation of issues-centered education as a violation of a teacher's obligatory duty concerning political neutrality. Second, the more positive the implemental orientation is, the more sensitive the cognition isregarding administrative sanction as their outer barrier and the teachers' unstable status on dealingwith controversial issues in the classroom. Although the object of investigation is limited to secondaryteachers in Seoul, this study has shown that teachers have different cognition depending on theirimplemental orientation concerning issues-centered education. The finding suggest that differentiated actions for teachers’ different cognition orientation are required for the spread of issues-centered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논쟁학습 실천 지향성에 따른 논쟁학습 실천 장애 인식이 어떠한지를 탐구하여 논쟁학습 중심 민주시민교육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내용이 논쟁학습의 실천 원리와 정합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과 서울교육정책연구소(2017)에서 위탁받아 시행된 보이텔스바흐 합의 정신에 기반한 학교 시민교육 현장 적용 방안 연구 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차분석(secondary analysis)하였다.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핵심 내용에 대한 지지 정도에 기반한 논쟁학습 실천 지향성을 분류하여, 조사대상자는 ‘적극적/보통/소극적’ 논쟁학습 실천 지향성 집단으로 범주화되었다. 일원분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극적 실천 지향성 집단일수록 논쟁학습 내용이 교육과정과 교재 내용과의 부합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며 논쟁학습의 실천을 교사의 정치적 중립 의무 위배 가능성으로 인식하는 경향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둘째, 적극적 실천 지향성 집단일수록 논쟁학습 실행에 대한 제도적 제한뿐만 아니라 교사 신변의 불안정성을 뚜렷하게 인식하고 있는데, 이는 외적 장애에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적극적 실천 지향성 집단이 논쟁학습에 대하여 부분적인 교수효능감을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이 서울시 중등 교사에 한정되어 있으나 논쟁학습의 실행지향성 수준에 따른 논쟁학습 장애에 대한 교사의 인식 양태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므로 향후 민주시민교육 실천 확대를 위한 방안도 이에 따라 서로 차별화될 필요가 있다.

      • 공간적 자기상관관계분석을 통한 서울시 자치구별 사회복지정책 비교연구 : 한부모가정 지원 시스템을 사례로

        오연주,유혜연,윤정수,이동현,신현우,홍석호,천세학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23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10

        본 논문은 행정안전부의 지방재정통합공개시스템을 서울시 자치구별 예산세입세출정보,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국가통계포털(KOSIS), 복지로의 한부모 관련 공공데이터, 국민신문고의 10년간 한부모 관련 민원 데이터를 수집하여 서울시 자치구별 한부모 가정 부문별 복지점수를 파악하고, 자치구별 한부모가정 복지현황을 비교한다. 기존 연구의 경우 한부모 전반이나 특수한 유형만을 대상으로 했다면, 본 연구에서는 자치구별 비교분석을 통해서 특화된 정책을 제안했다는점에서 보다 실효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한부모가정의 복지정책과 관련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folium을 통해 시각화하고, 한부모의 특성이 유사한 지역구를 그룹화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과 k-means를 통하여 3가지 변수를 기반으로 묶은 후 자치구별 한부모 가족의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후 ESDA(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취약 권역과 이례 권역을 선정했다. 광역적 공간 자기상관의 유의성은 Morans I을, 지역적 공간 자기상관은 LiSA를 사용하여 유사한 특성을 가진 자치구를 도출해 내 최종적으로 취약권역을 강북구, 노원구, 도봉구, 용산구로 선정하였으며, 이례 지역을 은평구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강북구, 노원구, 도봉구, 용산구와 같은 지역이 취약 권역으로, 은평구는 이례 지역으로 도출되었다. 취약 권역은 두 종류의 복지 시설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 이례 지역은 전반적인 한부모 가정 복지 시설의 충당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례 지역과 취약 권역을 포함한 취약 자치구에서 모든 조손 한부모가족이 중위소득 30% 이하 가구로 매우 열악한 환경에 놓여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조손 한부모 가정이 가지는 금전적 어려움과 복지사각지대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또한, 전반적인 사회복지시설의 확대도 중요하겠지만, 자치구별로 특화된 한부모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취약 계층 한부모대상으로 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확률 모델을 이용한 FEC 기반의 적응적 오류 복구 알고리즘

        오연주,백낙훈,이형호,임경식 에스케이텔레콤 (주) 2000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10 No.6

        본 논문에서는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시에 발생하는 패킷의 손실을 복구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최근 들어 인터넷 뿐만 아니라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도 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증가하고 있으나, 이동 컴퓨팅 환경은 기존 인터넷에 비해 높은 손실률을 가진다. 따라서,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는, 급격한 트래픽 변화 및 비교적 높은 패킷 손실률에 적응성을 가지면서도 손실된패킷들을 효과적으로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패킷 레벨의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스킴을 이용하여, 피드백된 패킷 손실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FEC 패킷의 개수를 조절하여 전송하는복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복구 방법에서는, 길버트 모델과 베르누이 모델과 같은 확률 모델을 이용하여,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서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FEC 패킷 개수를 계산한 후, 계산된 FEC 패킷 개수만큼을 추가 전송한다. 그리고, 추가 전송하는 FEC 패킷 개수를 패킷 손실 특성 및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네트웍 대역폭 요구를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최소한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FEC 패킷 개수 계산 시, 길버트 모델을 이용한 경우와 베르누이 모델을이용한 경우 각각에 대해 시뮬레이션하고 그 결과를 비교해 봄으로써, 네트웍 특성 반영을 위한 확률 모델로 길버트 모델이 좀 더 적합하다는 것을 보인다.

      • KCI등재

        유아의 행복권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분석: 유아의 연령, 성별, 모자애착관계, 자아탄력성, 또래유능성을 중심으로

        오연주,김현지,이정수 한국아동권리학회 2015 아동과 권리 Vol.19 No.2

        Based up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is research explores the right of young children to be happy and looked at the variables of age, sex, mother-child attachment relationship, resilience and peer-competence. To this end, we adapted and utili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method by using the AMOS 19.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go-resilience of young children directly affects their ability of emotion regulation. Secondly, children’s sex and age affects indirectly affects their emotional regulation through their ego-resilience. In the case of a mother-child attachment relationship, it indirectly affects the child’s ability of emotion regulation through the child’s peer-competence. 본 연구는 유아의 행복할 권리, 행복권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유아의 행복권과 관련 변인 간의 관계는 어떠한 구조를 나타내는지 밝히는 동시에 유아의 정서 조절 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경기도 Y시의 유치원 만 3,4,5세 유아 289명을 대상으로 연구 변인 간의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또래유능성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성별은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거쳐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연령은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거쳐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자녀 애착관계는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거쳐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