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내 한국어교육의 질적 발전 연구-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을 중심으로-

        오문경,이경수,문희진 한국일본근대학회 2020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qualification syste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qualitatively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to the teachers in the ways to strengthen Japan’s uniqueness and localization.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is driv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 is positioned as a qualification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Japan and around the worl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requir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and requires localization based on Japan’s uniqueness.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focus on strengthening Korean teachers’ competency.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the Korean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and analyzed various data to derive the necessity of obtaining Korean teacher qualifications at Japanese universities. Also, based on this,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preliminary teachers residing in Japan to acquire qualification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hat is, measures to increase field expertise in Japan, methods to strengthen local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approaches to humanize existing Korean teachers are presented. In the future, we hope that prospective teachers residing abroad, including in Japan, will be able to provide prototype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obtaining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s. 본 논문은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을 질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한국어교원 자격제도를 살펴보고, 일본의 특수성과 현지화를 강화한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원 자격제도는 한국어교육의 양적, 질적 발전을 견인하고 있으며 일본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교원의 전문성을 담보하는 자격으로 자리하고 있다.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은 양적 발전과 더불어 질적 발전이 요구되고 있으며 일본의 특수성에 입각한 현지화가 필요하다. 한국어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국어 교사 역량 강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교원 자격제도에 주목하여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여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에 거주하는 예비 교원의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에 대한 발전방향 즉, 일본에서의 현장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교육 내용의 현지화 강화 방안, 기존 한국어 교사의 인적 자원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일본을 위시하여 국외에 거주하는 예비 교원들이 한국어교원 자격을 취득하는 데 있어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프로토타입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연구 −연극 기법을 중심으로−

        오문경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5 언어와 문화 Vol.1 No.2

        Oh, Moon-Kyoung. 2005. A Teaching Method of Korean Pronunciation for Foreign Learners. The Language and Culture 1-2: 219-248. This paper aims is to research one of the effective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s based on drama techniques designed by Wessles and Laroy for unnatural pronunciations. There are many teaching methods such as are relaxation & posture, breathing, voice exercises, the lip exercises, chanting, tongue-twister etc. and each are reformed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s for pauses and accents, mistakes which can occur while practicing speech have been exa! mines and the precautions were arranged and sorted out. The main reaso n for connecting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s and drama techniques is to increase the student’s understanding in pronunciation and methods to imitate sounds in order to be able to speak Korean fluently. Also, it is considered to be a very natural way to learn all the suprasegmental elements of the Korean language. It is expected to find that the process of practicing pronunciations is exciting and productive through newly developed drama techniques, which impose continuously and repetitively practice. (Sogang University)

      • KCI등재

        강의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모형과 활동 연구

        오문경,현원숙,류하라,홍은실,장민정,김경훤 반교어문학회 2017 泮橋語文硏究 Vol.0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effective listening Instructional Model and class activities to improve the Academic listening ability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to actively carry out academic activities in university. First,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listening to lectures and the subject core competence needed in University education, and considered the specificity of Academic listening lessons, cultivating academic purpose capacity, and learner's self-directness as a core competency based academic listening instruction model. In Section 3, we propose a instructional model for listening to lectures based on core competency, and in Chapter 4, we present examples of class activities needed to develop these competencies. 이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이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학업 활동을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강의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모형과 수업 활동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2장에서는 강의 듣기의 특징과 대학 교육에서 필요한 범교과적인 역량과 교과 역량을 검토하여 역량 기반 강의 듣기 수업 모형의 원리로서 강의 듣기의 특수성 고려, 강의 듣기 역량 함양,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3장에서는 역량 기반 강의 듣기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4장에서는 이들 역량을 키우기 위해 필요한 수업 활동의 예를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인과 유학생의 협동학습을 통한 발음교육 연구

        오문경 ( Moon Kyoung Oh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7 언어와 언어학 Vol.0 No.7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effective pronunciation education for university international students who possess over advanced Korean language ability. This study proposed a collaborative learning between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by apply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strategy in view of applied linguistics. International students were able to properly recognize their own pronunciation problems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with Koreans, and improved their pronunciation by participating in improving their incorrect pronunciations. As for Koreans, it became an opportunity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Korean pronunciation, and the ability to solve incorrect pronunciation was improved in the course of applying, revising and evaluating the pronunciation education theory of actual international students.

      • KCI등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연구-연극 기법을 중심으로-

        오문경 ( Oh Moon-kyoung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05 언어와 문화 Vol.1 No.2

        This paper aims is to research one of the effective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s based on drama techniques designed by Wessles and Laroy for unnatural pronunciations. There are many teaching methods such as are relaxation & posture, breathing, voice exercises, the lip exercises, chanting, tongue-twister etc. and each are reformed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s for pauses and accents, mistakes which can occur while practicing speech have been exa! mines and the precautions were arranged and sorted out. The main reaso n for connecting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s and drama techniques is to increase the student’s understanding in pronunciation and methods to imitate sounds in order to be able to speak Korean fluently. Also, it is considered to be a very natural way to learn all the suprasegmental elements of the Korean language. It is expected to find that the process of practicing pronunciations is exciting and productive through newly developed drama techniques, which impose continuously and repetitively practice. (Sogang University)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강의 듣기’ 활동 연구

        오문경(Oh, Moon-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능력 수준과 강의 듣기 교수·학습 활동에 대해 살펴, 한국어 능력에 따른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강의 듣기 학습 지원에 대한 일단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능력이 토픽 중급과 고급인 학습자 15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통해 중급과 고급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인식하는 교수·학습 활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A대학교 교양 필수 ‘한국어 듣기’ 과목을 수강하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1학기부터 2017년 2학기까지 2학기에 걸쳐 대학 강의 수강에 효과적인 듣기 교수·학습 활동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통해 중급과 고급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인식하는 교수·학습 활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급과 고급 학습자 모두 ‘받아쓰기’에 대해 가장 효과적 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중급 학습자는 특히 음성 자료를 활용한 활동을, 고급 학습자는 실제성이 높은 활동에 대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에 따라 학습 지원 부분이 달라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practical and effective supporting method for academic lecture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by examining the foreign university students’ Korean proficiency levels and studying activities for lecture comprehens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53 foreign students who had middle or high level proficiency for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analyzed the activities they consider effective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In the analysis results, the middle and high level students all perceived that “dictation” was most effective. The middle level students perceived the activities using audio materials were effective and the high level students perceived highly practical activities were effective. This implies that the support for studying must vary depending on the Korean proficiency of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