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분과 발표 : 비판적 수학교육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수학적 분석에 대한 연구

        오국환,권오남 한국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 학술지 Vol.2013 No.2

        수학교육 공동체에서 공정성에 대한 논의는 점차 중심적인 위치로 이동하고 있다(Gutierrez, 2013). 이러한 가운데 수학교육에서의 공정성을 평등한 교육기회의 제공으로 해석하는 것에서 나아가 수학교육을 통해 공정한 사회를 이루어가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비판적 수학교육`` 혹은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이라 불리는 연구가 점점 많이 나타나고 있다(Turner, 2003; Wager & Stinson, 2012). 해외에서는 이미 비판적 수학교육에 관련된 연구가 현장연구, 교사교육, 철학적 논의 등으로 다양하게 진행되었다(권오남, 박정숙, 오국환, 2013). 우리의 사회적 맥락에서도 공정성과 사회정의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지만 아직 수학교육을 통해 공정성과 사회정의를 직접적으로 구현하려는 목적을 가진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고, 사회적 배경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연구 특성상 해외의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비판적 수학교육 연구로 우리의 요구에 대응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른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적 맥락에서 실시된 비판적 수학교육의 수업 사례를 연구한다. Gutstein(2003)은 Freire & Macedo(1987)가 논한 세계를 읽는 것(reading the world)과 기록하는 것(writing the world)의 구조를 발달시켜 비판적 수학교육의 목표를 제시하였다. 그는 비판적 교육의 목표로 사회정치적 의식의 발달, 사회적 주체로서의 감각 발달, 긍정적인 사회적, 문화적 정체성의 발달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수학과의 목표로는 수학을 사용해서 세계를 분석하는 것, 수학적 힘을 발달시키는 것, 수학에 대한 태도를 바꾸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비판적 수학교육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수학을 통한 사회상황의 분석에 초점을 맞춘다. 과제에 의해 제시된 사회적 상황을 분석하는 활동 속에서 학생들은 어떤 식으로 상황을 수학적으로 분석하는지, 이러한 분석을 통해 무엇을 새롭게 알게 되는지, 이렇게 알게 된 현상은 학생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이 연구는 국내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비판적 수학교육 수업의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 그 구체적인 장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비판적 수학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는 함의를 가진다.

      • KCI등재

        Outcome of Early Initiation of Peritoneal Dialysis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Failure

        오국환,황영환,조정화,김미라,주경돈,주권욱,김동기,김연수,안규리,오윤규 대한의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7 No.2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early initiation of hemodialysis may increase mortality. However, studies that assessed the influence of early initiation of peritoneal dialysis (PD)yielded controversial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prognosis of early initiation of PD on the various outcomes of end stage renal failure patients by using propensity-score matching methods. Incident PD patients (n = 491) who started PD at SNU Hospital were enroll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early starters (n = 244)’ and ‘late starters (n = 247)’ on the basis of the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at the start of dialysis. The calculated propensity-score was used for one-to-one matching. After propensity-score-based matching (n = 136, for each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erms of all-cause mortality (P = 0.17), technique failure (P = 0.62),cardiovascular event (P = 0.96) and composite event (P = 0.86) between the early and late starters. Stratification analysis in the propensity-score quartiles (n = 491) exhibited no trend toward better or poorer survival in terms of all-cause mortality. In conclusion, early commencement of PD does not reduce the mortality risk and other outcomes. Although the recent guidelines suggest that initiation of dialysis at higher eGFR, physicians should not determine the time to initiate PD therapy simply rely on the eGFR alone.

      • KCI등재후보

        복막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진균성 복막염의 임상적 특징

        오국환,안규리,오윤규,김현리,정우경,김연수,한진석,김진석,김성권,이정상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2

        목 적: 진균성 복막염은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 환자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질환이다. 저자들은 복막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진균성 복막염의 원인 진균과 임상상, 치료 방법 및 결과 등을 살펴보고 동일한 기간에 발생한 세균성 복막염의 임상상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진균성 복막염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방 법: 1991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복막투석을 시작한 환자 총376명 중 이 기간 동안에 진균성 복막염으로 진단 받은 환자 14명(총 15예)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3.7±11.6세(이하 평균±표준편차)이었으며, 남·녀비는12 : 3이었다. 진균성 복막염을 진단 받은 당시까지의 복막투석 기간은 29.2±27.7개월이었다. 원인균은 Candida species가 10예(62.5%)로 가장 많았으며, Aspergillus 2예, Cryptococcus 1예, Penicillium 1예, Torulopsis 1예, Trichosporon beigelii 1예 등이었다. 5예에서 진균과 아울러 세균의 중복 감염이 확인되었다. 발병 당시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세균성 복막염의증상과 유사하였다. 진균성 복막염 환자에서 복막투석 도관은 모두 제거하였으며, amphotericin B, fluconazole, flucytosine 등을 단독 혹은 병합 투여하였다. 질병의 경과 중에 4예(26.7%)에서 장폐색 또는 복막 유착이 합병되었다. 치료 결과로는, 완치 후 도관 재삽입 후 복막 투석을 지속한 경우가 3예(20%), 혈액투석으로 전환한 경우가 9예(60%)이었고, 3예(20%)는 진균성 복막염으로 인하여 사망하였다. 원인 진균이 Candida species인 환자군과 나머지 군에 있어서 사망률에 차이가 있었으나(33.3% vs 0%)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11). 투여한 항진균제의 종류에 따른 사망률의 차이는 없었다. 동일한 기간에 발생한 세균성 복막염과 진균성 복막염 환자들의 특성을 비교해 볼 때 도관 제거율과 기술적 실패율은 진균성 복막염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 론 : 진균성 복막염은 드물게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알려진 세균성 복막염의 사망률보다 더 높은 사망률과 복막투석 중단의 원인이 되는 심각한 질환으로서, Candida species가 가장 흔한 원인균이었다. Purpose : Fungal peritonitis is a fatal disease with a high mortality and morbidity to the peritoneal dialysis(PD) patients.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provide a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fungal peritonitis in PD patients by analyzing the clinical and microbiologic features of fungal peritonitis cases. Methods : We analyzed retrospectively into the 15 cases(14 patients) of fungal peritonitis among 376 end stage renal disease(ESRD) patients who newly started PD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1991 to Dec. 1999. Results : The patients' age was 53.6±11.6 years (mean±standard deviation) and their male to female ratio was 12:3. They have been on PD for 29.2±27.7 months before the fungal peritonitis developed. Candida species was the most common etiologic agent, accounting for 10(62.5%) out of the 16 fungal organisms isolated from our patients. Among others were two Aspergillus, one Cryptococcus, one Penicillium, one Torulopsis, and one Trichosporon beigelii cases. Bacterial agents were isolated simultaneously in five fungal peritonitis cases. Peritoneal catheters were all removed no later than 72 hours after the diagnosis was made. Patients were given a single or combined therapy with amphotericin B, fluconazole, or flucytosine on the physician's choice. The outcomes of fungal peritonitis were as follows; 20% continued PD, 60% converted to HD and 20% died of fungal peritonitis. We made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fungal and bacterial peritonitis cases which developed in the same 5-year period, whic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atheter removal and technique failure rates in the fungal cases. Conclusion : Fungal peritonitis is a rare but a fatal disease with a high mortality and a technique failure rate. Candida species was the most prevalent microorganism in our study. (Korean J Nephrol 2002;21(2):303-31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