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해외에서 유입된 유비저 골관절염 1례

        여승엽,최성호,정진원,이미경,임용관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5 No.1

        서론: 해외 여행, 이민 등이 흔해지면서 내국인이 외국의 감염병에 걸려 귀국하는 일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유비저(melioidosis)는 주로 동남아시아 및 호주의 토양에 존재하는 Burkholderia pseudomallei가 당뇨병 등 만성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피부의 상처를 통해 또는 호흡기로의 흡인을 통해 침입하여 폐, 간, 비장등 다양한 부위에 농양을 형성하고 치명적인 패혈증까지 유발할 수 있는 감염병이다. 골관절을 침범하는 유비저는 외국에서도 보고가 드물고, 치료 후 재발이 흔해 장기간의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자들은 당뇨병을 앓고 있던 50세 남성이 베트남 이민 중 유비저에 의한 골관절염이 발생하여 국내에서 진단, 치료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베트남으로 이민하여 거주하던 50세 남성은 당뇨병 및 만성 B형 간염보균자로 증상 발생 7일 전 베트남에서 야외 활동 후 발열과 우측 어깨 통증이 발생하였고, 이후 현지 병원을 방문하였으나 증상이 점차 심해져 귀국 후 병원을 방문하였다. 내원 4일째 시행한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우측 견관절의 패혈성 관절염 및 우측 상완골의 골수염 소견, 주위 근육으로도 감염이 파급되는 양상을 보였고, 방문일 시행한 혈액배양 검사에서는 안전핀 모양의 그람음성균이 자랐으며, B. pseudomallei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균주는 ampicillin-sulbactam,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ceftazidime, piperacillin-tazobactam, meropenem에 감수성이 있었고, cefotaxime, cefepime, amikacin, aztreonam에는 내성을 보였다. 내원 5일째 시행한 흉부 CT에서는 양측 폐에 다발성의 결절 소견이 동반되어 있었다. 내원 4일부터 ceftazidime을 사용하였으나 우측 어깨의 통증이 더 증가하여 내원 6일부터 meropenem을, 내원 11일부터는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을 사용하였고, 이후 meropenem 3주 사용 후 증상의 호전을 보여 퇴원하였고, trimethoprim-sufamethoxazole을 1개월 이상 더 사용하던 중 간 효소 수치의 증가로 약제를 조기 중단하고 경과 관찰 중이다. 결론: 유비저는 다양한 장기를 침범할 수 있으며, 특히 골관절을 침범하는 형태로 발생할 수도 있으며 광범위 항생제 치료를 필요로 한다. 환자가 경유한 국가를 고려하여 가능한 감염병을 의심하고, 적절한 미생물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겠다.

      • 복수내 Fibronectin, Adenosine Deaminase, Sialic Acid 및 지질의 감별진단적 의의

        여승엽,박낭운,조준승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0 慶北醫大誌 Vol.31 No.3

        복수를 일으키는 질환의 감별진단에 사용하기 위하여, 복수액에서 몇가지 생화학적 지표를 측정하고, 각 지표들의 감별진단적 의의를 검정하여 보았다. 총 39명의 환자로부터 복수액을 채취하였는데, 그 중 16명이 악성종양, 5명이 결핵 그리고 18명이 간경변증 환자였다. Fibronectin과 sialic acid치는, 악성종양성 및 결핵성복수에서 간경변성복수에 비해 각각 유의한(p<0.01)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악성종양과 결핵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denosine deaminase치는 악성종양성, 결핵성 및 간경변성복수 모두에서 서로간에 유의한(p<0.01)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복수내 백혈구수, 단백질농도, 포도당농도, lactate dehydrogenase, 지질농도등 기존 생화학적 지표들이 측정치의 분포에 있어 이들 세군 사이에 상당한 중복을 나타낸 반면에 fibronectin, sialic acid, 그리고 adenosine deaminase측정치의 분포는 각각 세군 사이에 명확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복수액에서 fibronectin, sialic acid 및 adenosine deaminase를 측정함으로써 원인질환의 감별진단이 더욱 용이하고 정확하게 되리라 사료된다. Trying to find accurate markers to differentiate ascites, several biochem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in ascitic fluids. Ascitic fluid samples from 16 patients with maligancy, 5 patients with tuberculosis and 18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were investigated. The levels of fibronectin and sialic aci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alignant and tuberculous ascites than cirrhotic ascites(p<0.01)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ignant and tuberculous ascites. The activities of adenosine deaminase in malignant, tuberculous and cirrhotic asci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ne another(p<0.01). Fibronectin, sialic acid and adenosine deaminase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overlaps among 3 groups while several other parameters-leukocyte, protein, glucose, LDH and lipids analyzed simultaneously in theses samples showed the considerable overla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terminations of fibronectin, sialic acid and adenosine deaminase in ascites may improve the accuracy of differential diagnosis of ascites.

      • KCI등재

        Spontaneous Femoral Capital Physeal Fracture with Proximal Tibial Epiphyseal Dysplasia in a Cat

        유세종,김대현,이윤섭,여승엽,김휘율 한국임상수의학회 2019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36 No.2

        An 11-month-old, 5.6 kg, grade 4 on a 5-point scale body condition score, castrated male Korean short hair cat was presented with right hindlimb lameness for 3 days without trauma. On physical examination, severe pain with crepitation was elicited at the hip region but not at the stifle. Radiographic examination and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Salter-Harris type 1 fracture of the femoral capital physis and dysplasia of the proximal tibial epiphysis. Spontaneous femoral capital physeal fracture was suspected and femoral head and neck osteotomy was performed. Treatment for proximal tibial dysplasia was not performed. On histopathologic examination of femoral head, a cluster of chondrocytes in a proliferative zone at the epiphyseal plate was observed. Therefore, spontaneous femoral capital physeal fracture was diagnosed. The patient recovered his gait, and no related clinical signs were observed during 6 months of follow-up.

      • 쯔쯔가무시(Tsutusgamushi)병에서 Clarithromycin의 치료 효과

        김순,정은미,문경현,여승엽,엄수정,이주형,조성래,마상혁,Kim, Soon,Jung, Eun Mi,Moon, Kyung Hyun,Yoe, Sung Yeob,Eum, Soo Jung,Lee, Joo Hyung,Jo, Sung Rae,Ma, Sang Hyuk 대한소아감염학회 2002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9 No.2

        목 적:쯔쯔가무시(Tsutusgamushi)병은 리케치아 (Rickettia) 감염증의 하나로 인체병원체인 R. tsutusgamushi에 감염된 좀 진드기 유충(chigger)에 물렸을 때 감염이 된다. 임상적으로 물린 부위에 가피형성, 발열, 발진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발진성 열 성 질환이다. 치료약제로는 Tetracycline, Doxyctcline, Chloramphenicol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소아에서는 약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약의 사용에 있어 많은 제한을 받게 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산모에서 발생한 쯔쯔가무시병을 macrolide 계통의 항생제인 Azithromycin을 치료한 것을 발표한 바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비교적 사용이 용이한 또 다른 macrolide 계열의 항생제인 Clarithromycin을 사용하여 쯔쯔가무시병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11월에 마산파티마병원에 급성 열성 질환으로 내원한 환자 중 임상적으로, 혈청학적으로 쯔쯔가무시병으로 진단을 받은 내과 환자 7명과 소아과 환자 3명을 대상으로 Clarithromycin(Ab- bott Laboratories, NorthChicago, IL, USA) 투여하여 쯔쯔가무시병의 치료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쯔쯔가무시병의 임상적 진단은 하루 이상의 발열과 최근 수주 이내에 감염 가능성이 있는 지역인들이나 산 등의 지역에 노출된 병력이 있으며 림프절 종대, 반점 구진상의 피부발진과 특징적인 가피 등 의 특징적인 이학적 소견이 동반된 경우 진단을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혈청학적인 기준은O. tsutsugamishi 항원 감작 면양 적혈구(sheep red blood cell)를 이용한 수동응집반응검사(passive hamagglutination assay : PHA)인 GENEDIA Tsutsugamushi PHA IIkit(Green Cross, Korea)를 이용하였는데 O. tsutsugamishi 항체가가 1 : 80 이상이면 양성으로 판정하였고 추적검사는 실시하지 않았다. Clarithromycin의 투여량은 성인의 경우 500 mg을 하루에 2회 경구투여 하였으며 소아의 경우 15 mg/kg으로 하루에2회 경구투여 하였다. 결 과 1) 총 대상 환자는 성인 7명, 소아 3명이었으며 성인의 경우 남자는 3명, 여자는 4명이었고 연령은 28세부터 76세까지이었다. 소아의 경우 남자는 1명, 여자는2명이었고4세부터 7세까지의 연령의 분포를 보였다. 임상증상으로는 전 환자에서 발열과 근 육통, 두통 등이 동반되었고 이학적 검사상 발진과 가피를 발견할 수 있었다. 7례에서 PHA 항체 양성 반응 보였고8례에서 간기능의 이상을 보였고6례 에서는 혈소판 감소가 있었다. 간기능의 이상을 보인 환자8례 중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환자6명에서 간기능 정상이 되었고 혈소판 감소증을 보인 환자 중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5명에서 혈소판의 수가 정상적으로 되었다. 2) Clarithromycin 투약 후 열이 떨어지는데 걸리 는 시간은 평균 1.3일(1 ~ 2일)이었으며 투약기간은 6일에서11일까지 평균7.2일을 사용하였다. 전 환자에서 특별한 합병증 없이 회복이 되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쯔쯔가무시병의 환자의 치료에 있어 Clarithromycin 투여가 효과적이었으나 증례 수가 많지 않아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Scrub typhus(tsutsugamushi disease) is a febrile disease characterized by fever, rash, eschar, lymphadenopathy. Therapy with tetracycline(doxycycline) or chloramphenicol is currently recommended for the treatment for scrub typhus.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usage a tetracycline(doxycycline) for scrub typhus in the children. Recently, there was a report that azithromycin, a macrolide antibiotic was used for scrub typhus in pregnant woman successfully. So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Clarithromycin, other a macrolide antibiotic, for scrub typhus. Methods : Seven patients with scrub typhus at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hree patients with scrub typhus at department of pediatrics Masan Fatima Hospital were involved for this study. A serologic diagnosis for scrub typhus were performed by use of passive hemagglutination test. Clarithromycin(Abbott Laboratories, North Chicago, IL, USA) was administrated orally in a daily dose of 500 mg for adult patients and 15 mg/kg/bid/day for pediatric patients. Results : There were 7 cases of adult patients, varying from 28 to 76 years of age and 3 cases of pediatirc patients, varying from 4 to 7 years of age with scrub typhus. All of cases had fever, myalgia, headache, rash, eschar. Seven cases had positive passive hemagglutination test and eight cases had abnormal liver function. Mean duration for the removal of fever after medication was 1.3 day(1~2 days) and all cases were recovered without complications.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Clarithromycin therapy may be effective for scrub typhus.

      • SCOPUSKCI등재

        총담관확장 및 결석진단에 있어서의 초음파와 ERCP 의 비교분석

        정영기(Young Ki Chung),서동룡(Dong Ryong Seo),장정표(Jeong Pyo Jang),주홍(sung Yub Yeo),여승엽(Hong Joo) 대한소화기학회 198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19 No.1

        N/A ERCP was performed in 107 patients who underwent right upper quadrant sonography at Maryknoll Hospital in Pusan from Jan. 1985 to Feb. 1987. ERCP showed biliary tree appeared in 83 cases of the total 107 cases (78%). The time lapse between the performance of the ultrasound and ERCP did not exceed 7 days in 55 cases of the 83 cases mentioned above. These 55 cases make up this study population.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oledocholithiasis and the size of the common bile du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Ultrasound was not accurate in the diagnosis (sensitivity, 41%) or exclusion (value of a negative study, 77%) of choledocholithiasis. 2) In the postcholecystectomy patient population, ultrasound assessment of biliary duct size is not a useful predictor of biliary disease (value of a positive diagnosis, 40%). As a conclusion, when biliary diseases are suspected, especially for syptomatic postcholecystectomy patients, we recommand that as the diagnostic modality ERCP as well as ultrasound should be performed necessar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