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술정보 - 인공습지의 설계방안

        엄한용,Eom, Han-Yong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10 한국관개배수회지 Vol.43 No.-

        담수호 및 농업용저수지의 유입수는 일반적으로 다유량 저농도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특히 강우시에는 유역의 노면에 집적된 비점오염물질이 넓은 면적에서 폭넓게 유출되어 유입되고 있어 기존의 하수처리공법에서와 같이 한곳에 모아 처리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따른다. 넓은 유역을 갖는 수체에 적용될 수 있는 공법은 가급적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특히 호소의 주오염 특성인 부영양화 억제를 위한 질소 인 등의 영양 염류를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는 수질정화용 인공습지가 많이 검토되고 있다. 인공습지는 습지의 기능 중 수질정화 기능을 극대화 한 것으로 초기에는 도시하수유출 수의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점차 유기물의 부하농도가 높은 농업배수(축산 등)에 이용되기 시작 하였다. 강우 유출수, 도시하수, 농업배수, 광산 폐수 등의 점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수질개선시설로 적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강우유출과 같은 유출수의 수질을 관리하기 위한 기법으로 인공습지의 사용이 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수행한 습지관련 연구와 자료수집결과 등을 종합하여 인공습지의 기본적인 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문형정보와 N - gram 단어정보를 이용한 연속음성인식 후처리

        엄한용(Han-yong Eom),황도삼(Do-sam Hwang)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B

        본 논문에서는 항공편 예약이라는 제한 영역에서의 연속음성인식 시스템을 위한 후처리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후처리 방안은 200 문장의 항공편 예약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문형 정보를 추출한 뒤 특정 문형별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문형과 음성인식 후의 문장을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문형을 추론한다. 추론한 특정 문형에서 나올 수 있는 형태소를 형태소들간의 N-gram 정보가 수록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형태소를 수정하고 보완한 결과를 최종 문장으로 출력한다.

      • 농업용저수지에서 수거한 녹조의 버섯배지 자원화

        남귀숙 ( Guisook Nam ),엄한용 ( Hanyong Um ),정민철 ( Mincheol Joung ),홍대벽 ( Daebuck Hong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기후온난화와 극단화로 인해, 상수원댐, 4대강 보구간은 물론 농업용저수지와 같은 정체수역에서 녹조발생이 빈발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국민적 우려도 증가하고 있다. 정체수역의 녹조발생에 대한 주요 관리대책으로 응집제 등을 이용한 가압부상, 응집부상 등 녹조의 제거방안이 적용되고 있으나 수거된 녹조부산물은 폐기물로 처리하고 있어 추가비용이 투입되는 등 녹조수거체의 처리방안에 대한 문제가 새로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농업용저수지 등 정체수역에서 발생하는 녹조가 환경적 문제를 유발하기 전에 수거하여 자원화하는 공정 기술의 개발은 수생태 건강성 보호와 함께 농어촌지역의 자원순환기술로써 의미가 크다. 또한, 녹조의 독성 여부를 판단하여 유기질 비료, 사료, 버섯배지, 고체연료 등으로 농업재료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의 제시와 시제품 개발을 통한 실용성 규명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저수지의 녹조를 수거하여 버섯배지로의 자원화 방안을 분석하고 안전하고 실용성 있는 시제품을 개발하여 시험적용을 통해 상용화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녹조수거체는 남양호에서 천연응집제를 이용한 응집부상을 통해 수거하였으며, 수거당시 유해 남조류인 Microcystis sp.가 극우점하였다. 녹조수거체를 버섯배지로 자원화하기 위해 수분 97%의 신선한 상태의 녹조 70%에 셀룰로즈 수분조절제를 첨가한 버섯배지에 Pleurotus Ostreatus DH-1012 느타리버섯 균주를 접종하여 1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버섯과 버섯 배지의 성분, 안전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원화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수분조절제로 톱밥, 면실박, 비트펄프 및 미강을 사용한 경우, 1,100cc 버섯재배병 당 느타리버섯 수확량이 165.87g으로 높았으며, 생육하여 수확한 느타리버섯의 색감이 흑회색으로 식감도 우수하여 최적배지 혼합에 미강이 영양분으로 중요한 것이 판명되었다. 자연수거 녹조보다 신선도가 높았던 남양호 수거녹조는 수분조절제의 배합율을 최적화하여 적용하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수거녹조의 버섯배지 자원화 부산물 성분분석결과 버섯재배 후 Biomass의 유기질비료, 기능성사료 및 연료화 등 자원화가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버섯배지 자원화에 대한 경제성 분석결과, 버섯과 부산물의 수익화가 모두 가능하여 수익성 높은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녹조수거체를 이용한 본 연구의 자원화 기술 개발은 녹조를 유해물질이 아닌 자원으로 인식 전환하여 수질개선 및 녹조 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녹색기술로 농어촌지역의 소득향상에 기여하는 녹색농촌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 농업용저수지의 인공서식처 조성에 따른 동ㆍ식물플랑크톤의 군집 변화 특성

        송영희 ( Younghee Song ),엄한용 ( Hanyong Um ),남귀숙 ( Guisook Nam ),홍대벽 ( Daebyuk Ho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2008년 9월 2일에서 17일까지 신구저수지에 메소코즘을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메조코즘의 규격은 격자형의 4개의 메조코즘(1.2*1.2*2.5m)를 제작하고 대조군, 부유형호안수초대, 부유형그물수초대, 침수인공식물섬 등으로 나누어 다양한 서식처 적용을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고, 실험 일수 별로 동, 식물 플랑크톤의 종류와 개체수를 파악하여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메소코즘 중 대조군에 해당하는 실험구에서는 윤형류 11종, 지각류 3종, 요각류 1종이 포함되어 총 15종이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윤충류인 Trichocera marina, Pompholix complanata, Keratella valga가 우점하다가 조사 일수가 경과 할수록 개체수가 줄어들었다. 반면 지각류와 요각류는 실험 10일째 이후 수가 증가하였다. 부유형호안수초대가 설치된 실험구에서는 원생동물 1종, 윤충류 11종, 지각류 3종, 요각류 1종이 포함되어 총 15종이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동 안 대조구와 같이 윤충류 3종이 우점하다가 조사 일수가 지날 수록 전반적으로 개체수가 줄었다. 특히, 실험 10일째 이후 윤충류의 개체수가 줄어들고, 반면에 지각류의 개체수는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부유형그물수초대가 설치된 실험구에서는 원생동물 1종, 윤형류 11종, 지각류 3종, 요각류 1종을 포함되어 총 15종이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동안 윤충류인 Keratella valga, Trichocera marina, Polyarthra remata, Pompholix complanata가 우점하다가 조사 일수가 지날수록 전반적으로 개체수가 줄어들었다. Pompholix complanata는 실험 15일째 개체수가 다시 급격히 늘어났다. 지각류는 전체적으로 출현빈도가 낮았으며, 실험 10일째 일부 관찰되었다. 메소코즘 중 침수인공식물섬가 설치된 실험구에서는 원생동물 1종, 윤충류 11종, 지각류 3종, 요각류 1종이 포함되어 총 15종이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윤충류인 Keratella valga, Polyarthra remata, Trichocera marina가 우점하다가 조사일수가 경과 할수록 개체수가 줄어들었다. 지각류는 실험기간동안 거의 관찰되지 않다가 실험 10일째부터 Bosmina coregoni와 Bosmina longispina가 출현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 서식면에 있어서 부유형호안수초대와 침수인공식물섬이 비교적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식물플랑크톤은 초기 출현종의 80-93.7%가 남조류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남조류이 비중은 실험 종료시 대조군은 97%, 부유형호안수초대는 63.8%, 부유형그물수초대는 98.1%, 침수인공식물섬은 56.2%로 나타났다. 특히나 침수인공식물섬은 총 개체수가 185,794 cells/㎖에서 6,764 cells/㎖ 로 90% 이상 급감하였고 종수에 있어서도 7종으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는 다른 실험구에서 16-18종이 출현하는 것과는 현저히 다른 양상을 보인 것이다. 그 다음으로 부유형호안수초대에서 일부 식물플랑크톤의 제어효과를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인공수초대에 서식하는 동물플랑크톤의 먹이섭식의 영향으로 보여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