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대 한국시의 전개 과정과 근대적 특성 연구

        엄성원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6

        이 연구는 기존 문학사 연구에서 1920년대 시문학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그 근대적 특성에 대해 실제로 무엇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 검토함으로써,근대 시문학의형성 과정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한국 근대시의 기점을1920년대라고 설정한 여러 문학사 서술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그 타당성을 살펴보고, 여타의 다른 논의를 참고하여 당대 문학사의 구도를 다각도로 모색해 보는 것이 이 연구의 최종 목표인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당시의 문학적 현상을 바라보는 하나의 시각 내지는 기준이 필요한데 ‘자기지향성’과 ‘타자지향성’이라는 기준과 ‘내면지향성’과 ‘외면지향성’이라는 기준은 당대를 바라보는 보다 입체적이고 유용한 형식원리가 될 수 있다.‘자기지향성’ 은 내재적이며 전통적인 성향을 뜻하는 것이고,‘타자지향성’은 외래적이며 비전통적인 성향을 말하는 것이다.‘내면지향성’은 심미성과 예술성을 중시하는 입장이라면, ‘외면지향성’은 도덕성과 사상성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개화기 시가의 ‘외면지향성’을 극복하며 나타난 1910년대 말 1920년대 초의 낭만주의시와 민요시는 모두 ‘내면지향성’을 나타내고 있다는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그런데 ‘내면지향성’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인 낭만주의시와 민요시는,전자가 외래적이고 비전통적인 ‘타자지향성’을 띠고 있는데 반해 후자는 내재적이고 전통적인 ‘자기지향성’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즉 ‘내면의 발견’을 자극한 경로가 외부냐 내부냐에 따라 달라진 것이다.그러나 이러한 ‘내면지향성’은 1920년대 중반을 고비로 다시 한번 변화를 겪게 된다.계급주의의 영향으로 인해 ‘외면지향성’과 ‘타자지향성’이 다시 강조되기 시작한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 근대시 문학사 교육의 모형 연구 : 1920년대 홍사용과 이상화의 시를 중심으로

        엄성원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This essay intends to examine the education model about Hong, Sayong and Lee, Sanghwa’s poems in the Korean literary history. Through this study, I will describe how the poetic subjects of their poems were changing depend on diachronic perspective. By clarifying the mode of diachronic change, I will look into the continuity and variation in their poems.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poetry, being based on the concept of ‘double-sided intention’ which contains two different aspects. The ‘conventional intention’, ‘foreign intention’ and ‘internal intention’, ‘external intention’ as a main topic in this study are the key concept to understand the 1920’s poetry which were presented in various styles. Hong, Sayong concentrated his energies on ‘internal intention’ through all his life. But Lee, Sanghwa composed his poems on the basis of the ‘foreign intention.’ In spite of this difference, they were hoping for gaining integration between the reality and the fantasticality in literature. 이 연구는 한국 근대 시문학의 형성과 전개의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하나의 모형을 모색하기 위해 1920년대에 활약한 홍사용과 이상화의 시를 대상으로 그 변화와 지속의 양상을 고찰한다. 이러한 시적 경향의 지속 및 변화 원인과 배경을 다양한 콘텍스트 자료를 통해 추론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당시 근대 시문학의 전개 과정을 일정한 체계의 모형 아래 조망해 보는 것이 이 연구의 최종 목적이다. 이를 위해 내부적인 계승의 관계를 중시하는 ‘전통성’과 외부적인 수용의 관계를 강조하는 ‘외래성’이라는 두 가지 자질을 하나의 축으로 삼아 텍스트 상호간 영향의 관계를 조망한다. 이어서 텍스트의 내용에 있어서 개인의 사적인 체험을 중시하는 ‘내면성’과 사회의 공적인 경험을 강조하는 ‘외면성’이라는 두 가지 자질을 또 하나의 축으로 삼아 시적 주체의 지향성을 고찰한다.이러한 모형을 기준으로 이 연구의 논의 대상인 홍사용과 이상화의 시를 살펴보면 그들의 변모 양상을 보다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초기에 공통적으로 ‘내면성’과 ‘외래성’이 부각된 시를 주로 발표하던 두 시인은 이후 홍사용의 경우 ‘전통성’ 강화되는 방향으로, 그리고 이상화의 경우 ‘외면성’이 강조되는 방향으로 각기 다르게 변모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플립 러닝을 활용한 대학 국어 글쓰기 교육의 표준화 방안 - 동료 첨삭의 방식을 중심으로

        엄성원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플립 러닝 글쓰기 수업에서 ‘동료 첨삭’의 교육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자기주도성을 강조하고 있는 플립 러닝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교육자에의한 피드백뿐만 아니라 학생들 사이의 피드백도 중요한데 적절하게 설계된 동료첨삭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서로 소통하고 교류하면서 자신과 상대방의 오류를동시에 수정할 수 있다면 그 교육 효과는 더욱 증진될 것으로 기대한다. 동료 첨삭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표준화된 평가 항목을 세분화하여 첨삭의 지침으로 제공해야 한다. 첫째, ‘수업 전 과정’에서 학생들이온라인 강의를 통해 이론적인 측면을 사전에 학습하도록 한다. 둘째, 개요를 작성하는 ‘수업 중 과정’에서 두 차례의 동료 첨삭을 진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글쓰기의기본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첨삭이 이루어진다. 셋째, ‘수업 후 과정’에서 완성된 글을 온라인에 탑재하면서 두 차례의 동료 첨삭을 추가한다. 이 단계에서는 수업 중동료 첨삭을 통해 제기된 문제점들이 정확히 수정되었는지 확인한다. 동료 첨삭은단순히 글쓰기에 대한 결과론적인 평가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글쓰기의각 과정에서 개선의 방향을 스스로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ducational model of peer correction in university writing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The feedback of not only educators but also students is important for flip learning that emphasizes self-initiative. Educational effectiveness is good if student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welldesigned peer correction process and correct mistakes of themselves and others. To impro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peer correction, standardized evaluation items should be segmented and presented in advance. First, students learn the theoretical aspects first through online lectures in the lessons before class. Second, students write an outline in the course in class and proceed with their peer correction twice. At this stage, the peer correction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basic evaluation criteria of the writing. Third, in the post-class process, students upload their articles online and try their peer correction twice. Peer correction is not just a resultative evaluation of writing. Students are valuable in that they can self-identify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n each process of writing.

      • KCI등재

        BtoB 기업간 형성된 사회적 자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식흡수역량의 매개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엄성원,임병학 대한경영정보학회 2017 경영과 정보연구 Vol.36 No.5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formed on B to B inter - firm transactions on firm’s performance through a research model developed around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absorption capacity. In other words, we examined how each level of social capital affects firm performance. by examining the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that are not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we have identified how each element of social capital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effects of knowledge absorption on firm performance are analyzed and presented in various way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al capital is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elements, relational dimensions, and cognitive dimensions was verified. First, the structural dimension influenced the relational dimension, and the relational dimen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dimension.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solved what is pointed out as a limit in previous studies.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what was pointed out as a limit in previous studies. secondly, the structural dimension influenced the cognitive dimension. Second, each component of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impact on knowledge absorption capacity. Finally, it was found that knowledge absorption capac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rporate culture, and it was confirmed that knowledge absorption capacity was important. the extent to which social capital is absorbed in BtoB transactions mean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two companies can be quite different. 본 연구는 BtoB 기업 간 거래에서 형성된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지식흡수역량의 매개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즉, 사회적 자본의 각각의 차원이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기존선행연구에서 제시하지 않은 사회적 자본의 각 차원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사회적 자본 중 어떠한 요소가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지식흡수능력에 따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사회적 자본을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즉, 구조적 차원, 관계적 차원 그리고 인지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각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먼저 구조적 차원이 관계적 차원에 영향을 미쳤으며, 관계적 차원이 인지적 차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구조적 차원 또한 인지적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던 것을 검증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두 번째, 사회적 자본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지식흡수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식흡수역량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식흡수역량의 중요성을 확인한 결과 사회적 자본과 기업성과 사이에서의 매개된 조절 효과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BtoB 거래에서 축적된 사회적 자본을 어느 정도 흡수하는가에 따라 두 기업의 성과는 분명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대학 독후감 첨삭 교육과 글쓰기 센터의 연계 방안 연구

        엄성원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4

        This thesis aims to suggest effective ways of commenting on students' writing in Reading & writing course by looking for ways to improve in a desirable direction. In general university students have a problem with clarifying the theme and structure in writing course. They also have trouble sorting materials for their writing effectively. So Professor can teach them to recognize their problems with linkage of Reading & Writing Course and Writing Center. Reading & writing course and writing center in conjunction with the effective measur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rofessor, teaching assistants, and writing center tutors position clearly defined in advance of the roles in the connection between different parts of writing an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Professor in charge of overseeing Reading & writing course and term information for the overall conduct a workshop on the verge of the target text and the book reports on issues common to the pre-set. 이 연구는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 과정 중 ‘독후감 첨삭 교육’과 ‘글쓰기 센터’와의 효과적인 연계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학습자들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그 중심 목적이 있다. 이를 구체화하여 논의하기 위해 먼저 한 대학교의 교양국어 체계와 독후감 제도의 변천 양상을 살펴보고 글쓰기 센터의 의의 및 역할과 관련지어 독후감 첨삭 지도를 어떻게 연계하여 진행할 것인지 고찰하기로 한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대학 글쓰기 교육의 효과적인 대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독후감 첨삭 교육’과 ‘글쓰기 센터’와의 효과적인 연계 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담당 교수, 국문과 소속 조교, 글쓰기 센터 소속 튜터의 단계적 역할 분담을 사전에 분명히 확정한다. 담당 교수는 독후감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총괄하며 학기 직전에 실시하는 워크숍을 통해 독후감 대상 텍스트와 논제를 사전에 공통으로 설정한다. 또한 담당 교수가 주체가 되어 학기 시작 직전 국문과 소속 조교들과 워크숍을 개최해 독후감의 평가 기준을 결정하고 공유한다. 둘째, 국문과 소속 조교는 매 기수별로 독후감을 수거하여 정해진 공통 기준에 따라 독후감을 첨삭하면서 ‘통과’와 ‘불통과’를 결정한다. 조교의 서면 첨삭 결과를 담당 교수가 수업 시간에 전체적으로 강평하면서 공개 첨삭과 동료 첨삭의 기회를 갖는다. 국문과 소속 조교의 서면 첨삭과 담당 교수의 공개 첨삭 및 동료 첨삭을 거친 후 1차 불통과를 받은 학생의 경우 의무적으로 글쓰기 센터를 방문하여 튜터와 대면 첨삭의 기회를 갖도록 한다. 1차 통과된 학생의 경우 희망자에 한하여 글쓰기 센터를 방문하여 대면 첨삭의 기회를 제공한다. 셋째, 글쓰기 센터 튜터의 대면 첨삭을 통해 불통과를 받은 독후감을 어떻게 수정하여 최종 완성할지 지도를 받은 후에 이를 반영한 수정 독후감을 다시 제출하여 평가를 받도록 한다. 이를 위해 수업 담당 교수, 국문과 소속 조교, 글쓰기 센터 소속 튜터가 함께 참여하는 워크숍을 학기 직전과 학기 직후 실시한다. 이 워크숍에서 대상 텍스트의 선정과 논제 개발 그리고 평가 기준과 첨삭의 방식 등을 논의하며 역할 분담에 따른 실행 매뉴얼을 작성한다.

      • KCI등재후보

        플립 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모형 연구

        엄성원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6 리터러시 연구 Vol.- No.1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model of university writing course using flipped learning. This paper focuses that inversed learning model contributes to writing course in Korean. According to this teaching method, students listen to lectures with online videos on previous offline lessons. Students will learn the background and theoretical aspects with this online course before offline lessons. Next, students will learn the content while communicating with other students through the offline lessons. I will apply the positive effect of the flipped learning in real class. So I suggest a weekly lesson plan explores specific teaching model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s a result, this education method have many positive effects. First, the professor can demonstrate planning and efficiency when giving lessons. Second, students should actively and voluntarily participate through the online and offline lessons. Third, this education method increases the students’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이 글에서는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함양하기 위해 진행되는 대학 글쓰기 수업의 여러 새로운 교육 방식 중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의 전망과 한계를 실제적인 수업 모형을 통해 검토하고자 한다. 이 방식에 따르면 학생들은 현장의 강의실 수업 이전에 교육자의 온라인 동영상 강의나 각종 자료들을 미리 섭렵하여 해당 교과목의 배경 지식이나 이론적인 측면을 선행적으로 학습한다. 이후 강의실 수업을 통해 교육자의 안내에 따라 다른 학생들과 소통하고 교류하여 그 내용을 심화하고 오류를 정정함으로써 해당 교과목의 지식을 진정한 자신의 것으로 확고히 정립한다. 이상과 같은 플립 러닝의 긍정적인 효과를 실제 수업에 적용해보기 위해 플립 러닝의 전제 조건과 기초적인 개념 및 기본 운영 방식을 선행적으로 살펴본 후 16주 주차별 강의 계획안을 중심으로 대학 글쓰기 교육의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이 교육법은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수업 진행에 있어서 계획성과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와 자기주도적인 학습법을 함양할 수 있다. 셋째, 창의성과 비판력을 함양하고 고도화하는 교육적인 효과의 측면에서 그 가치가 매우 심대하다. 다만 이러한 장점 못지않게 ‘플립 러닝’은 하나의 글쓰기 교수법으로 완전히 정착하기까지 여러 문제점들을 극복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 또한 지니고 있다. 가장 큰 문제점은 이른바 주입식 교육이라고 하는 중고등학교 때의 교육법과 판이한 방식에 학생들이 적응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실무적인 방안이 마련된다면 플립 러닝은 기존의 수동적인 글쓰기 교육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바람직한 사례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 KCI등재

        로짓분석(logit analysis)을 활용한 호텔 서비스 품질 속성에 관한 연구

        엄성원 한국호텔관광학회 2023 호텔관광연구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 산업에서 고객만족도 향상을 위해 중요하게 관리해야 하는 호텔 선택 속성이 무엇인지를 파악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바탕으로 로짓분석을 활용하였다. 사용자 생성 콘텐츠는 회사 성과의 핵심 척도로 점점 주목받고 있으며, 고객감정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호텔 선택속성으로는 TripAdvisor에서 제공하는 비즈니스 서비스, 체크인, 청결도, 위치, 객실 그리고 서비스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에 활용된 데이터는 TripAdvisor 사이트에서 서울지역 62개의 호텔의 1,348개의 사용자 생성 데이터이다. 분석 결과 호텔 서비스 선택 속성 중 청결도, 위치, 객실, 서비스는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즈니스 서비스, 체크인은 고객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기존 서비스 품질 측정에 활용되는 SERVQUAL에서 벗어나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바탕으로 호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호텔 선택 속성과 고객만족도 간의 관계 파악을 위해 로짓분석을 활용하였다. 이는 일반적인 선형회귀분석과는 다르게 제공되는 서비스 속성 간의 중요도를 평가하고 확인할 수 있다. 호텔 관리자는 고객 만족도 향상하기 위해서 어떤 호텔 속성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향후 연구는 국가별 호텔 선택 속성 간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국가별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이 무엇인지 파악 가능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