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학생 통학 시간에 따른 대면/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 비교
엄상현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3 유라시아연구 Vol.20 No.4
The importance of Untact instruction is being emphasized due to COVID-19 and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This paper investigated learners' common perceptions of face-to-face and Untact instruction, and analyze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school hours and the two teaching methods. In order to understand learners' perceptions of face-to-face and Untact classes, 339 responses were analyzed by subject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the perception of face-to-face and Untact classes was classified into ‘Economics’, ‘Interaction’, ‘Self management’, ‘Learning effectiveness’, ‘Learning method’ ‘Learning environment’ and 'none'.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on content analysis, interaction and learning effects were found to be remarkable in face-to-face classes, and Untact classes were found to be economical.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according to school hours, chi-Square verification and Bonferroni post-hoc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conomic feasibility among the factors of face-to-face class shortcomings and the advantages of Untact class. According to the interview results, although face-to-face classes feel superior to Untact classes in terms of interaction and learning effects, students with long commuting hours prefer Untact classes due to economic factor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due to the geographical isolation of the university campuses, the perception of face-to-face and Untact is evident and Since two teaching methods were applied in one semester, it is a short experimental perio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aching method. Finally, in a rapidly changing era, it was suggested to look back on past education and improve it as a way to apply it to modern society.
초등학교 인성교육 실태 분석 : 근거이론 연구방법에 기초하여
엄상현 한국교육개발원 2014 한국교육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state of character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in the Republic of Korea. Two research questions framed this study, “What contents and methods are being used in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and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The grounded theory was employ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ndividual teachers determined whether character education would be carried out or not in school. The teachers who carried out character education used different contents and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experiences and beliefs. To establish a theoretical model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this study chose teachers' confusion as a central phenomenon, which results from uncertainty about their curriculum, lack of training opportunities, etc. Also, this study found that character education was not implemented properly because in many cases cooperation with school administration and parents was either did not occur or was ineffective. Finally given these conditions, teachers conducted their own versions of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eir own individualized contents and methods while ignoring parents and government guidelines. It is notable that this study found that teachers tended to have high expectations regarding children’s character development within the home, and that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could also influence various aspects of character education as conducted by individual teachers.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의 인성교육의 내용과 방법, 이것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그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학교 실태를 보다 구체적이고 맥락적인 상황 속에서 파악하기 위하여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에 따라 인성교육이 실행되거나 실행되지 않고 있으며, 인성교육이 실행되는 경우에도 체계적인 교육과정에 기초하지 않고 교사 개인에 따라 다양한 내용과 방식으로 개별화하여 실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다수의 교사들이 인성교육에 대하여 책임감은 가지고 있으나, 교육과정의 불명확, 연수기회의 부족 등으로 인성교육 실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생 인성은 기본적으로 가정에서 형성되어야 한다는 교사들의 인식이 학교 인성교육에 대한 낮은 효능감을 유발하고, 부모의 성적 중심의 교육관, 교권실추와 같은 사회적 상황과 정부의 잦은 정책 변화와 실적 보고 중심의 행정은 교사들로 하여금 부모와 정부에 냉소적 태도를 가지게 하고, 교육주체 간 협력적 상호작용을 이루지 못하게 하는 상황 등이 주된 원인 요소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가정의 인성교육 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한 학교의 지역적 특성이 교사의 인성교육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일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 이 연구의 추가적인 의의로 볼 수 있다.
소셜미디어 실시간/비실시간 대화방법에 따른 대화양상 차이규명
엄상현,임걸 한국교육공학회 2016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2
소셜미디어의 기능적 발전은 사용자들이 소셜미디어 안에서 상황에 알맞은 대화방법을 선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하였다.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의사소통방법은 실시간/비실시간 대화방법으로 양분되고, 그 방법에 따라 대화양상의 차이가 존재한다. 학습 목표로의 수월한 접근을 위하여 소셜미디어 활용 수업의 적절한 교수-학습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대화방법에 따른 대화양상의 세부적인 차이를 인지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미디어 실시간/비실시간 대화방법에 따른 대화내용의 차이를 규명하여 상황에 맞는 교수학습전략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이 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이러닝 환경에서 출제된 조별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의 대화방법을 기준으로 각각의 대화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시간/비실시간 대화내용을 이모티콘 포함 한 개의 게시를 최소단위로써 주제별 요소로 내용분석한 결과 각각 상등한 4가지 요인(학습내용, 학습지원, 형용적 표현, 잡담)으로 구분되었다. 4가지 요인을 대화방법 내, 외적으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제안내용으로 온라인 기반 학습의 실시간성에 대한 장점을 면밀히 파악 및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들이 소셜미디어에서의 대화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제공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수업을 설계함에 있어 학습자가 중심인 참여형 교수학습 전략을 기획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온라인 대화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유도가 필요하며, 이를 교육환경에서 독려하기 위한 체계적인 제도적 지원이 요구된다.
상해 의도성과 사건기술방식에 따른 사건해석의 차이 : 능동문과 피동문의 조절된 매개효과
엄상현,정선호,이동훈 담화·인지언어학회 2024 담화와 인지 Vol.31 No.3
Empiric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subtle linguistic cues in the description of an even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ev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voice (active/passive) in the description of the event on the evaluation of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in the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injury incident. Participants read a scenario about an incident in which one worker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hurt another worker, and rated the level of blame and punishment for the perpetrator, and the level of pain and settlement for the victim. The scenario was described in either a perpetrator-subject active voice or a victim-subject passive voice. In th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intention to harm and the voice of the description. In the case of intentional harm, it was assessed that when described in the active voice, the perpetrator should receive greater blame and punishment. Interestingly, the level of the victim's pain was rated higher in the active voice on compared to the passive voice. The present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valuation of the perpetrators and victims of an injury incident can be influenced by the voice of description of the event.
엄상현,김유하,이강수,전병욱,이복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2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0
This paper deals with the frequency-dependent ground impedance of grid with carbon ground electrodes. Grid with carbon ground electrodes is generally valid for lightning protection systems. Carbon ground electrodes may be used as auxiliary ground electrodes to reduce the high frequency ground impedance. The ground impedance reduction is obtained when the test current is injected at the terminal of carbon ground electr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