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 상담 진단 검사 도구 개발

        양태연(梁太姸),손지유(孫志侑),한기순(韓起順),박인호(朴仁皓)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영재아들의 다양한 심리환경적 요인 중에 어떠한 요인의 상담이 필요한지를 진단하기 위한 영재상담 진단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재교육기관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 영재아 120명과 중등 영재아 16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반구조화된 설문과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103문항의 예비문항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11개요인 총 46문항을 추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 적합도는 x<SUP>2</SUP> =1419.685 (df=882, p=.00), TLI=.911, CFI=.924, RMSEA=.046으로 나타나 적합도 지수는 양호한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의 내적합치도인 Cronbach의 α 역시 부모님 관계 및 부모와의 갈등 .68, 형제자매와의 관계 .76, 학업과중 및 시간부족 .85, 영재성 및 영재교육 .83, 이성친구 .70, 친구관계 .83, 진로문제 .86, 학교부적응 .74, 학교수업 및 학교생활 만족도 .82, 성적 및 학업 .90, 학원에 대한 부담감 및 거부감 .86으로 나타나 개발된 척도가 영재들의 상담을 위한 진단 도구로서 타당하고 신뢰로운 검사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초/중등 영재들의 개인 심리환경적 상담 및 진로/학업 상담을 돕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diagnostic test tool for the gifted children to determine, among various psychological-environmental factors, which specific factors need counseling. The research is conducted among 120 gifted elementary schoolers and 168 gifted middle schoolers, and 103 candidate questions are extracted through semi-structured survey and theoretical contemplation. Based on the candidate questions,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re implemented and total of 46 questions over 11 factors are selected.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s the model fitness of 1419.685 (df=882, p=.00), TLI=.911, CFI=.924, RMSEA=.046, which is a satisfactory fitness value. Cronbach’s α, value of internal consistency, for each sub factor are 0.64 for parents’ relationship and conflicts with parents, 0.74 for relationship with siblings, 0.85 for excessive assignments and lack of time, 0.82 for giftedness and gifted education, 0.66 for opposite-sex friendships, 0.82 for friendships, 0.86 for future plans, 0.68 for misfitting in school, 0.82 for school classe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0.90 for grades and school work, and 0.85 for stress and resistance regarding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suggesting the developed test is a fair and reasonable diagnostic tool for counseling the gifted childre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for psychological-environmental counseling of the gifted elementary/middle schoolers.

      • KCI등재

        추적연구를 통한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들의 진로탐색

        양태연,한기순,박인호 한국교육개발원 2012 한국교육 Vol.39 No.3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06년까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은 학생, 즉 현재 대학교 03학번부터 11학번까지의 수료생 1305명 중 조사에 응답한 820명을 대상으로 진학현황에 대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은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들의 고등학교, 대학교 진학현황을 보고 이공계로의 진학률은 어느 정도인지, 진학현황에 남녀 집단 간, 교육기간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일반고 진학률이 54.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과학고등학교(32%)의 진학률이 높았다. 고등학교에서의 계열선택은 82.8%가 이과로 진학하고 있었으며 이는 일반고등학교에서 이과를 선택하는 비율에 두 배가 넘는 결과였다. 대학 진학현황은 50.4%가 최상위대학으로 진학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서울소재 대학으로의 진학률이 24.9%로 높았다. 대학에서의 전공별 현황은 공학계열이 40.9%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자연계열의 선택이 17.6%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즉, 58.5%의 수료생들이 공학 및 자연계열을 전공하고 있었다. 진학현황에 대한 남녀 집단 간 차이는 고등학교 진학 및 계열선택과 대학교 진학 및 전공선택 등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기간별 진학현황 또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영재아들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연구, 종단적 추적연구 및 영재교육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820 respondents to the survey, out of 1305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admitted to universities from 2003 to 2011 and had been educated as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in a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from 1998 to 2006.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to questions regarding the choice of high school, university and major. Based on the types of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where the gifted students studied and their majors in university,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ntage of majors i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differences in the choice of high school and university, and majors by gender and educational period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most common type of high school chosen by the gifted students was regular high schools, followed by science high schools. More than half of the gifted students (54.3%) attended regular high school.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82.8%) chose to study in the field of natural sciences. This figure was more than twice that of non-gifted students who chose to study the natural sciences. When it comes to university entrance, 50.4% of the gifted students attended prestigious universities which were in the top five of the university ranking list. Most of the students (40.9%) studied engineering, followed by those who studied the natural sciences (17.6%). That is, 58.5% of them majored i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All the variables related to high school and university entrance, such as choice of high school and university, as well as field of study in high school and major in university,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and educational period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depth related to the gifted students’ university entrance, their careers, and the effectiveness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과학영재 대학생을 위한 진로결정 요인 척도개발 및 타탕화

        양태연,한기순,박인호 韓國英才學會 2011 영재교육연구 Vol.21 No.4

        우수 인재들이 진로를 결정하는 결정적 요인은 무엇일까? 이 연구는 이 물음에서 출발하여 과학영재 대학생을 위한 진로결정 요인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인재, 과학자의 진로 결정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하여 개인적성 및 자아실현, 경제적 가치, 일과 여과, 가족의 영향, 부모/교사의 권유, 학창시절 과학활동 경험의 6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총 26문항의 진로결정 요인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의 이공계 대학생 153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본 검사는 국내외 대통령 장학생 264명과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을 수료한 대학생 93명 등 총 5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측정모형 적합도는 χ2=645.157 (df=279, p=.00), TLI=.924, CFI=.935, RMSEA=.061로 나타나 대부분의 적합도 지수는 수용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 과학영재들의 진로 결정 요인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하위요인의 내적합치도인 Cronbach의 α 역시 개인적성 및 자아실현 .82, 경제적 가치 .94, 일과 여과 .84, 가족의 영향 .88, 부모/교사의 권유 .79, 학창시절 과학활동 경험 .79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개발된 척도 가 우리나라 대학생 과학영재들의 진로결정요인을 측정하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발된 척도는 진로분야의 이론적 틀을 구성하고 과학영재의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을 돕기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hat are the critical factors in deciding future career to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The present study started with this question, and was to develop a career decision-making scale for scientifically gifted undergraduates. For this, literatures related to the scientifically gifted/talent and scientists’ career decision-making were reviewed and examined in depth. Based on the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the developed scale of career decision-making was comprised of 26 items in 6 factors, such as individual aptitude & self-realization, economic aspect, work & leisure, familial influence, parents/teachers’ recommendation, and experience of science activity during the school days. For the preliminar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53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264 undergraduates who were awarded the presidential scholarships and 93 undergraduates who completed a university-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fit of measurement model was found to be χ2=645.157 (df=279, p=.00), TLI=.924, CFI= .935, RMSEA=.061, indicating most of fit indexes were acceptable. Cronbach’s α in each sub-factor was quite high, .82 for individual aptitude & self-realization, .94 for economic aspect, .84 for work and leisure, .88 for familial influence, .79 for patents/ teachers’ recommendation, and .79 for experience of science activity during the school day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whether the developed scale could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tool for measuring career decision-making factor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undergraduates in our country.

      • KCI등재후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들이 인식하는 영재교육의 의미

        양태연,한기순,박인호 韓國英才學會 2007 영재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이제 10년차를 맞고 있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을 대상으로 과학영재교육원에서의 경험에 대해 어떻게 회상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전의 영재교육이 그들의 진로와 인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그들이 말하는 영재교육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7명의 고등학생과 2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한 서술적 설문을 실시하고 그중 의미 있는 답을 해 준 59명의 학생에게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수료생들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을 통해 인지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자신감이나 과학에 대한 흥미 등 비인지적인 분야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맥을 형성하고 진로를 결정하는 데에도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은 교육과정과 체계화되지 않은 교육시스템, 보완되어야 할 프로그램 등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This qualitative study is a retrospection of students who went through a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From students' perspective, this study looked for the meaning and impact of gifted education. Fifty-seven high school students and twenty-seven university students who finished a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were surveyed and 59 students among them were interviewed in depth about their prior experiences in gifted programs and their perspectives on the impact of these experiences on their lives including career development.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with additional topics and themes emerging.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at college students reflected upon their experiences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positively both in intellectual and social-emotional aspects. Students also made suggestions for educators to provide more optimal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ir juniors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aspects of curriculum and program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배움의 발견 - 형식교육 경험이 없는 노인(J)의 생애사 연구 -

        양태연(Tae-Yeon Yang),김미화(Mi-Hwa Kim) 한국성인교육학회 202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4 No.4

        이 연구에서는 ‘J는 그에게 주어진 시대를 어떻게 살아왔을까? 그 삶의 무엇이 지금의 J를 있게 하였을까?’라는 질문으로 시작하여,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J의 실제로 산 삶, 경험된 삶, 이야기된 삶’으로 전개하면서 생애사적으로 접근하여 진행하였다. J는 여성이며 시골에서 일제강점기와 전쟁을 경험하며 자랐고, 어릴 적 아버지를 여의고 큰아버지 댁과 새아버지 댁에서 생활하면서, 정규교육과정을 경험하지 못하였다. J는 학교에 가기를 소망했고(배움에 대한 갈망), 시골을 떠나 새로운 삶을 열망했으며, 주체적 삶을 살아가기를 원했다. J는 이러한 상반된 상황들 속에서, 구조적 제약과 자발적 선택 사이에서 끊임없이 경합하는 삶을 살아왔다. ‘남편과의 사별’이라는 전환기점에서, J는 결국 과거 끊임없이 경합하는 삶의 경험을 통합하여 새로운 결심을 하게 되고, 전환학습 과정을 개입시켜 자아를 실현하고 통합하는 과정을 이끌어 간다. 이러한 결과로 J는, 시골을 떠나 도회지에서의 새로운 삶을 살아가며 배움을 발견하여 행복하고 평안한 삶을 살아간다. 이처럼, J의 삶에서 정체감을 형성하고 개발하고 통합해가는 정체성프로세스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남편의 죽음이라는 혼란스런 딜레마를 겪는 과정에서 과거의 경험들에 대한 반성 및 성찰, 담론을 통한 공유와 탐색, 계획과 준비, 시도를 하면서 자기혁신을 통하여 자신의 발전을 꾀하고, 새롭게 형성된 관점으로 재통합하는 전환학습 과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환학습 과정은 결국 정체성에 커다란 전환을 가져오며, 그 전환은 삶에 스며들어 정체성의 발전을 꾀하게 한다. “How has J lived in the time given to her? What caused J to exist as she is today?” Starting with this questio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answers was carried out via a life-history approach, developing the process of “J s life as lived, as experienced, and as told.” J grew up in the countryside and lived with her uncle and stepfather after losing her father. She experienced a war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had never experienced any formal education. J wanted to go to school (a thirst for learning). She also wanted to leave the countryside, start a new life, and be independent. J has lived a life of constant contention between structural constraints and voluntary choice amid these conflicting circumstances. At the turning point of “her husbands death”, J eventually made new resolutions by integrating the experience of life in the past, which led to the process of realizing and integrating herself through the transformative learning process. As a result, J left the countryside and now leads a happy and peaceful life while discovering learning. J’s sense of identity was discovered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developing, and integrating her past experiences while facing her husband s death, and it leads to accomplishing self-reinvention from newly formed perspectives while reflecting on past experiences, sharing and exploring through discourse.

      • KCI등재

        인천 고교생의 행복감 진단과 제고 방안

        양태연 ( Tae Yeon Yang ),김승 ( Seung Yeon Kim ),반서영 ( Seo Young Ban ),최혜란 ( Hye Ran Choi ),박경환 ( Kyoung Hwan Park ),백해찬 ( Hae Chan Back ),윤영돈 ( Young Don Yo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5

        본 연구는 “인천 고교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인천 고교생(남고, 여고, 남녀공학) 462명에 대해 기존에 개발된 부모 의 양육태도 검사와 본 연구팀에서 개발한 고등학생 행복요인 척도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검사를 통해 적절한 수준의 신뢰도를 지닌 행복의 측정요인은 학교환경, 교육활동 및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가정생활 만족, 부모의 학업성취 압력, 전반적 만족 및 행복감이 었다. 교육활동,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가정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반적인 만족 및 행복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별 만족도(6점만점) 가 운데 가장 낮은 것은 학업성적(2.53)이었다. 학업성적이 낮은 6~9등급에 속한 학생들은 1-2등급, 3-5등급에 속하는 학생들에 비해 학교활동, 교육활동,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가정생활 만 족에 대해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인천 고교생의 행복감을 설명하는 상대적 예측력 수준은 가정생활 만족, 친구와의 관계, 교육활동, 교사와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가정생활 만족과 관련하 여 부모의 양육태도 가운데 애정형과 자율성 존중형이 고교생의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고교생의 행복요인에 있어 남녀차 또한 일정 부분 발견되었다. This study started from research problem, “what factors influence the subjective happiness of Incheon high school students?” We conducted survey Incheon high school students(in total 462) through the existing inventory for parenting behavior and subjective happiness factor scale for high school students.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factors of subjective happiness which obtain favorable reliability run as follows: school surroundings, educational activities & student-teacher relationship,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family life,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overall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In proportion as the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activities &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the results show that overall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is higher. Participants responded the lowest satisfaction(2.53) with academic achievement among each test item(6-point scale). Compared with high school record(level 1-2 & level 3-5), students(level 6-9) showed relatively lower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activities & student-teacher relationship,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family life. The orders of relative predictability to explain subjective happiness of Incheon high school are as follows: family lif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educational activitie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In terms of parent’s rearing attitudes, affection and respect of autonomy type influence positively subjective happ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factor of gender difference had meaningful influence upon subjective happiness of Incheon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교직훈련과정 논리모형 개발

        양태연,윤관식 한국직업교육학회 2019 職業 敎育 硏究 Vol.38 No.4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basic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operational manuals and evaluation tools that can effectively reflect the expectations of the government and other stakeholder by identifying components inherent in the training courses for the vocational training teacher certification. It has developed the 44 sub-elements, the “Circumstances – Input – Operation – Output – Performance(short term, mid and long term)” respectively under the 7 stages in the vocational training teacher certification course by conducting the current trend analysis of TVET policies and vocational training teacher and FGI surveys based on the study of preceding research and policy materials. With the developed sub-elements, 2 different Delphi investigations have been made. The first Delphi investigation has been focused on the supplementation and revision by the verification of sub-elements and opinion investigation, which led to the decreased number of 39 sub-elements under 7 stages. The definition and correlation along with the diagram of logically systematic model has been designed in the developed sub-elements. In the following second Delphi investigation, the definition, corelation and the diagram have been re-verified and supplemented, which led to the decreased number of 40 sub-elements under 7 stages with the systematization of logical diagram and correlation. The logic model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 course presented at this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VET, including with the mid and long term task of the specialization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 of this study, it’s important for us to invest a lot of resources and carry out the related effective follow-up programs. 이 연구에서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신규 양성과정인 교직훈련과정을 대상으로, 훈련과정에 내재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찾아내고 그 요소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도식화함으로써, 정부 등 이해당사자들의 기대를 효과적으로 달성 할 수 있는 운영 매뉴얼 및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본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및 정책자료 등의 조사를 통하여 직업훈련 정책 및 직업훈련교사 현황을 분석하고, FGI를 통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교직훈련과정의 ‘상황-투입-활동-산출-단기성과-중장기성과-성과영향요인’의 7개 구성요소별 44개 하위요소를 발굴하였다. 발굴된 하위요소를 기반으로 2차례의 델파이조사를 진행하였으며, 1차 델파이조사에서는 하위요소에 대한 타당성 검증과 의견수렴을 통한 수정·보완을 실시하여 7개 구성요소 39개 하위요소로 수정・보완하였다. 개발된 하위요소를 기반으로 하위요소의 내용을 정립하고자, 하위요소의 개념 및 인과관계를 발굴하고 논리모형도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2차 델파이조사를 통하여 도출된 하위요소의 개념 및 인과관계와 논리모형도를 검증하고 수정・보완하여, 7개 구성요소에 40개 하위요소로 수정・보완하여 논리모형도를 구성하고 영향관계를 표시하여 도식화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교직훈련과정의 논리모형도는 예산・인력・시설장비・정보시스템 등 인적・물적 자원을 투입하여 훈련프로그램 개발, 훈련과정 운영・평가 등의 활동을 통하여 교육훈련생의 역량강화 및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 취득의 성과를 기하며,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을 취득한 자에 대한 사후관리 활동을 통하여 훈련교사를 직업훈련현장에 배치하고, 배치된 훈련교사의 전문화 지원을 통하여 소속 직업훈련기관의 성과창출 및 훈련교사의 처우개선, 경력만족의 성과를 기하여 결국에는 직업훈련 품질 개선의 효과를 기대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국내외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양태연(Yang, Taeyo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1 창의력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앞으로의 창의성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LDA 기반 토픽 분석을 활용하여 국내외 창의성 교육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RISS와 ERIC을 활용하여 1970년부터 2019년까지 창의성 교육 연구를 수합한 결과, 국내논문 6,343편, 국외논문 19,759편으로 총 26,102편의 논문이 최종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국내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인성’이 국외 연구는 ‘foreign_countries’, ‘teaching_methods’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토픽 분석 결과, 국내 연구는 9개의 토픽이 국외 연구는 14개의 토픽이 추출되었다. 국내 연구에서 ‘창의인성 연구’, ‘학교교육 안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과 인성교육’과 국외 연구에서 ‘창의성 연구방법’,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창의성 교육’, ‘언어교육에서의 창의성 교육’, ‘교육정책과 교육의 변화’, ‘상담에서의 창의적 접근’이 차별화된 주제였다. 본 연구는 이후 창의성 연구의 동향을 조망하고 연구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creativity research by analyzing the trend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reativity education research using LDA-based topic modeling analysis. In this study, creativity education papers were collected from 1970 to 2019 in RISS and ERIC. The subjects included 6,343 domestic papers, 19,759 foreign papers, and a total of 26,102 papers. In this study,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reative personality’ showed high frequency in domestic research. And ‘foreign_countries’ and ‘teaching_methods’ showed high frequency in foreign studies. According to the topic analysis, nine topics were extracted from domestic research. And fourteen topics were extracted from foreign studies. ‘Creative personality research’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have only appeared in domestic studies. And ‘creativity research methods’, ‘creativity education in a social/cultural perspective’, ‘creativity education in language education’, ‘changes in education according to education policy’ and ‘creative counseling approach’ have only appeared in foreign stud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insights in future creativity research through creativity trend analysis.

      • KCI등재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관계

        양태연,한기순 韓國英才學會 2010 영재교육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model of career decision in the science-gifted by exploring factors of having influence upon career decision in the science-gifted undergraduates of our country, and by examining pattern and path of career decision. By suggesting a model of structure, which synthetically considered factors of parents (parental social support), school (stress of college life,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problem solving abi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onviction for major selection)as for career decision in the science-gifted undergraduates through this study, the aim was to arrange the theoretical frame for career in the science-gifted undergraduat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93(class of 2007~2009) students who completed education in 2002 and 2003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University, and 264 scholarship students(class of 2005-2008) by the President at home and abroad, who are receiving scholarship by being selected as a science scholarship student by the incumbent President. The measurement tools, which were used in this study for collecting data, are test of parental social support, test of problem-solving ability, test of stress in college life, test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test of efficacy in career decision, and test of having confidence in selecting a major.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PSS Program and AMOS Program were used. As a result, the model showed a good fit to the present data in the science-gifted undergraduates, TLI=.928, CFI=.941, RMSEA=.059. It was confirmed to be a model that is accepted in the group of the science-gifted undergraduates. Also, hypotheses, which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a theoretical quest, could be known to have been all adopted except one pat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ffer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 and implementing a system in order to broaden the width of understanding about career and to help the career decision in the science-gifted.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진로결정의 패턴과 경로를 살펴봄으로써 과학영재의 진로결정 모형을 구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 과학영재들의 진로결정을 부모(부모의 사회적 지지), 학교(대학생활 스트레스, 대학생활 적응), 개인특성(문제해결 능력, 진로결정 효능감, 전공선택 확신)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를 위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2002, 2003년도에 교육을 받은 수료생 93명과, 대통령 과학 장학생에 선정되어 장학금을 받고 있는 국내외 대통령 장학생 264명 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부모의 사회적 지지검사, 문제해결능력 검사, 대학생활 스트레스 검사, 대학생활 적응 검사, 진로결정 효능감 검사, 전공선택 확신 검사이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Program과 AMOS Program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TLI=.928, CFI=.941, RMSEA=.059로 연구모형이 대학생 과학영재 집단에 수용되는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론적 탐색을 바탕으로 세운 가설이 하나의 경로를 제외하고는 모두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영재들의 진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진로결정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체제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