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상발표를 활용한 피아노 실습 교과목의 원격교육에서 학업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지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0 음악교수법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in a realtime remote video education for a piano practicum course and to suggest efficient teaching strategies for non-face-to-face classes. Handling technical problems about sound sourc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altime online education, especially for a music area including piano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a realtime remote education for a piano pedagogy course that accompanied piano performance. Participants wer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N=55) who registered for a piano pedagogy course at one of the universities in Seoul. A teacher gave guidance to the students to make videos for their presentations including piano performance in advance and shared them for all of the students on the meeting screen of the realtime remote system for class discussion. A survey was conducted after taking the course for eight weeks from the middle of March to the beginning of May in 2020. The results of th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indicated that the students' computer self-efficacy did not affect their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s. However, the students' perceived interaction and learning, social presence, and feedback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s. 본 연구는 온라인 교육 시대를 맞이하여 실습이 병행되는 피아노 전공 교과목의 실시간 원격교육에서 어떠한요인들이 학습자의 학업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비대면 수업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소리의 전달이 핵심인 음악 실습 교과 영역에서 바람직한 실시간 온라인 교육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음원 및 음향의 기술적 문제에 대한 철저한 대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원격강의에서 피아노 연주를 포함하는 학습자의 발언이 실시간 화상 회의창에 매끄럽게 전달되고 교수자 및 다수의 수강생이 서로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자, 영상발표를 활용하여 피아노교수법 강의를 진행하였다. 지난 3 월 중순부터 5월 초까지 총 8회에 걸쳐 실시간 피아노교수법 원격강의를 경험한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N=55)을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응답지를 수거하였고,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결과, 학습자의 컴퓨터 자기효능감은 그들의 학업성취감에 유의한 수준을 보이지 않았지만, 인지 상호작용, 인지학습, 사회적 실재감, 피드백의 영역은 학업성취감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양지,이완희,Ji, Yang,Wan-Hee, Lee 대한물리치료학회 2012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24 No.1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n integrated kinetic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of middle-aged and their associated blood lipid components.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50 middle-aged women who resided at J city. Upon their agreemen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or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25 subjects in each. The integrated kinetic program was conducted during the 6 week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underwent its associated program 5 times a week. There were 3 subjects from each group that were excluded. The extensions were measured with the extensometer, the weights were taken with the body ingredient analysis instrument, and the blood lipid consistency with the blood autoanalyzer. Results: Pre- and Post- the integrated kinetic progra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body fat mass and the BMI 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ontrol group. Furth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f all items in blood lipid components. Bu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decrement from TC and TG items after accomplishing the progra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is kinetic program helps the prevention and functional control of bodily functional decrement to middle-aged women. It is considered that follow-up studies on practically integrated kinetic programs are needed so that they include exercise accomplishments of proper period and good quality nutrition intake. This is in order to maintain muscular quantity and prevent muscle function decrement for the healthy middle-aged women, preparing in aging and menopause.

      • KCI등재

        안데르센 문학 소재를 반영한 맥도웰(E. MacDowell)의 피아노 듀엣 《달 그림들, Op. 21》의 음악적 내면성

        양지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이화음악논집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usical features projected within the piano duet Moon-Pictures, Op. 21 (1885) by Edward MacDowell (1860-1908), an American composer prominent during the late Romantic period, and to identify how works of literature influenced characteristics of MacDowell’s musical creativity. Often referred to as a lyric poet, MacDowell’s piano duet is based on five stories from the classic Picture-Book without Pictures (1840) by a Danish author, Hans Christian Andersen (1805-1875). By comparing the five pieces of Moon-Pictures with the stories of Picture-Book without Pictures, it can be observed that MacDowell applies many of his own unique musical ideas to express scenes and emotions that are narrated in Anderson’s stories. Understanding Andersen’s stories is important for both performers and listeners alike to comprehend MacDowell’s vivid imagination and musical thoughts in this work, which was very faithful to the expression of Anderson’s text. Hopefully, through this study, many people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enjoy MacDowell’s wonderful piano duet, along with its unique musical language and the many creative ideas that it conveys. 본 연구는 미국의 낭만 작곡가, 에드워드 맥도웰(Edward MacDowell, 1860-1908)의 피아노 듀엣 작품 《달 그림들, Op. 21》(Moon-Pictures, 1885)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들을 관찰하여 문학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그만의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바람직하게 이해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정시인이라고도 불리었던 맥도웰이 안데르센(Hans Christian Andersen, 1805-1875)의 어른들을 위한 동화, 『그림 없는 그림책』(Picture-Book Without Pictures, 1840)에 실린 다섯 편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하여 완성한 《달 그림들》을 분석한 결과, 그는 안데르센 이야기에서 시간적으로 서술된 상황과 감정을 작품에 담아내기 위하여 그만의 이색적인 음악 요소들을 과감하게 사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그는 단조영역의 선율에 장2도 소리로 부딪치는 전타음을 등장시켰다가 해결하는 방식을 자주 사용하여 구슬프거나 불가사의한 감정을 아름답게 구사하였다. 또한 특정 화음을 갑작스럽게 출현시키거나 동형진행을 통한 다양한 화음들을 반복 사용하면서 이야기 속 상황에 따른 음악적 분위기를 극적으로 전환시켰다. 때로는 독특한 박자 개념을 부여함으로써 이야기에 등장하는 공존할 수 없는 두 세계가 함께 공존하는 듯한 장면을 음악에 절묘하게 반영해내기도 하였다. 따라서 감동과 교훈적 여운이 깃든 안데르센 명작의 내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때, 문학에서 전달되는 감정의 표현에 충실했던 맥도웰의 공상적인(imaginary) 음악 사상에 더욱 깊게 공감할 수 있겠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많은 이들이 맥도웰의 훌륭한 낭만 듀엣을 경험하여 작품에 어우러진 그만의 특별한 음악 언어에 대하여 음미할 기회를 가질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국내 그룹 피아노 교육 구현을 위한 앙상블 교수법 모색

        양지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9 음악교수법연구 Vol.20 No.2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turning point in group piano education by examining diverse types of instruction applicable even in piano labs not fully equipped with high-level technology, thus promoting the ideal group piano program. Ensemble study in group piano classes can help non-major piano students seeking enjoyment in music in the most efficient manner, effectively developing their musical literacy and delicate sense of timing during performance in a group dynamics setting, even if a formal lab system has not been implemented. Examining the five most recent group piano texts of C. Fisher, author of Teaching Group Piano(2010), it was determined that ensemble examples are divided broadly into the duet/duo, with two players, and ensemble with three or more players (trios and beyond). In particular, group ensemble practices include important learning activities surrounding rhythm, sight-reading, harmonization, improvisation, and open-score reading, allowing group piano students to develop their fundamentals and technique while learning how to perform by communicating musically with others. Hopefully the various ensemble teaching methods suggested in this study give group piano instructors new and improved ideas in developing teaching plans for their group piano classes, and will serve well in furthering group piano education in South Korea. 본 연구는 국내의 올바른 그룹 피아노 교육을 위한 전환점을 마련하고자, 랩시스템(lab system)이 마련되어있지 않은 피아노랩실(piano lab)에서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앙상블 지도의 종류와 방법을 제안하여 이상적인 그룹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룹 앙상블 학습에서는 배움의 과정에서 만족감을 느끼는 비전공 피아노 학습자들이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을 불러일으키는 집단역동(group dynamics)의 환경에서 그들의 탄탄한 독보력과 다함께 호흡하며 연주하는 타이밍(timing)의 감각을 가장 흥미롭고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Teaching Group Piano(2010)의 저자 피셔(C. Fisher)가 정리한 그룹 교재 목록 중에서 가장 최근 개정된 다섯 교재들을 살펴본 결과, 앙상블 학습의 형태는 크게 두 파트로 연주되는 듀엣/듀오와 세 파트 이상으로 연주되는 그룹 앙상블로 나뉘었다. 특히 기능적 기술 향상을 위한 리듬, 초견, 화성반주, 즉흥연주, 오픈스코어(open score) 학습을 기반으로 구성된 그룹 앙상블 예시들은 다양한 응용 활동들이 병행되었으며, 음악적 요소를 가미하여 연주할 수 있는 지도 방법들이 함께 제시되었다. 본 연구가 국내 그룹 지도에 좋은 아이디어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 전문적인 앙상블 교안 개발에 작은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알렉시나 루이(Alexina Louie)의 교육용 피아노 작품: 동양적 요소가 투영되다

        양지 세계음악학회 2019 음악과 문화 Vol.0 No.4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pedagogical piano repertoire of Alexina Louie (1949~), as well as to examine how she projected Oriental elements into her music. Louie, a female Chinese-Canadian composer drew her inspiration from the Eastern features of Chinese philosophy, Yin-yang (陰陽), and music for the Chinese ancient string instrument, Guqin (古琴). Two of her most notable pedagogical piano series include four pieces for Music for Piano (1982) that were dedicated to her teacher, Jean Lyons, and nine pieces for Star Light, Star Bright (1995) that were dedicated to two of her daughters, Jasmine and Jade. These very valuable pieces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students will help develop a student’s musical expression and creativity in the Contemporary musical style. Some of the unique musical features that appear in these pieces include senza misura, expanded staves, oversized natural and flat signs, chord clusters with open palms, grace notes and grouping with slash, etc. In particular, one can see that she wanted to give pianists the freedom to express their musical ideas, explore colorful sounds and their imagination fully, instead of playing mechanically and prosaically. No study of Louie's pedagogical piano works has been introduced yet in South Korea. I hope that many of our young Korean pianists have the opportunity to learn and explore Louie’s wonderful pieces, and expand their musical sensibility and imagination as a result.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의 참여 동기 및 성공적 노화, 건강행위, 우울감에 관한 연구

        양지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articipants' motivation, successful aging level, health behavior and depression level, an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in order to develop a self-management program that helps women successfully age after menopause and lower depressio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one-way ANOVA for 252 postmenopausal wome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exercis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health level, exercise type, exercise help, residence, etc. The level of health behavior and depression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health level, type of exercise, and exercise period, etc. In addition, the level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ohabitation family.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xercise participation motivation, successful aging, and health behavior was significant at the level of .001, and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at the level of correlation coefficient of .05. We conclud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a self-managed exercise program for postmenopausal women, as it will help successful aging and reduce depression. 연구의 목적은 폐경기 이후 여성의 성공적 노화를 돕고 우울감을 낮추는 자가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대상자의 참여 동기, 성공적 노화 수준, 건강행위 정도와 우울감 수준을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폐경기 이후 여성 252명을 대상으로 빈도, 백분율 및 일원분류 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 참여 동기와 성공적 노화의 수준 차이는 건강수준, 운동 종류, 운동 도움 여부, 거주지 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행위 수준과 우울감의 수준은 연령, 건강수준, 운동 종류, 운동 수행 기간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우울감의 수준은 동거가족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운동 참여 동기와 성공적 노화, 건강행동 간은 상관계수 .001 수준에서, 우울감과 건강행동 간은 상관계수 .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폐경기 이후 여성의 자가 관리 운동 프로그램 개발은 매우 중요하며, 이는 성공적 노화를 돕고 우울감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급 피아노 독보의 음고 개념(Pitch Concepts) 확립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분석

        양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3 음악교육공학 Vol.- No.55

        The study was purposed to examin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college beginning class piano students who do not have any educational experience about fundamental music theories to read music in the piano lab. Piano beginners should understand music concepts and skills for reading music before learning how to play the piano successfully. In the following J. M. Jacobson’s discussion, the conceptual learning to read music can be divided into rhythm and pitch concepts(2006). In particular, the basic pitch concepts in reading music included music alphabet and key names, half and whole steps, five-finger positions, key signatures, triads, and scales. In this research, typical class-piano materials used for college students of elementary piano levels in USA were observed to discover the effective teaching ways for piano beginners to gain their proper knowledge about the pitch concepts. The materials were carefully analyzed focused on the features and the way of the presentation for conceptual learning of the pitch and music theory eleme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visual materials of the keyboard shapes were abundantly produced to make the piano beginners understand the pitch concepts easily. Moreover, it was revealed that the rule-based teaching ideas and instructional models were widely presented to help them to promote their logical thoughts while applying for their performance demonstrations on the piano keyboard. Hopefully, it is helpful for music pedagogues to get their great teaching ideas for novice pianists. 본 연구는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대학의 피아노 실습 환경에서 독보(reading music)의 음고(音高, pitch) 개념 정립을 위해 사용되는 교수·학습 자료의 특징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독보 지도 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피아노 교육학자, 제이콥슨(J. M. Jacobson)의 논의에 따르면, 초급 피아노 교육에서 요구되는 기초 독보 학습 요소는 리듬과 음고 개념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음고 교육은 음이름, 반음과 온음, 다섯손가락자리, 조성, 3화음, 음계 등의 요소를 포함하는 개념학습으로 구성된다(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 대학의 대표적인 클래스피아노 교재들의 특징을 관찰하여, 그들이 사용하는 음고 개념 교수·학습 자료의 종류와 방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초급 학습자의 음고 개념 이해를 위해 건반 그림의 시각 자료가 다양한 형태의 교육 도구로 제공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학습자의 논리적인 사고를 활성화하도록 돕기 위한 규칙 기반의 교수 아이디어와 모형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음악 학습 입문자를 위한 초급 피아노 교육 현장에서 유익한 아이디어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