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리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자격에 대한 인식조사: 상담심리사와 일반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양난미,하재필,성현모,이상민 한국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5 No.4

        2022년 4개의 심리⋅상담 관련 법안들이 발의됨에 따라, 상담 실무자의 자격 수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상담 실무자로 업(業)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격 응시기준(최소학력과 수련 기간)에 대해 한국상담심리학회 소속 상담심리사와 일반인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총 882명의 한국상담심리학회 소속 상담심리사와 총 779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최소학력에 관한 질문에서는 일반인은 ‘학사졸업’, ‘석사졸업’의 비율이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상담심리사는 ‘석사졸업’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필수 수련 기간에 관한 질문에서는 상담심리사와 일반인 모두 ‘1,000시간(대략 1년 동안 주 4일간 수련)’의 응답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위과정 중 실무실습 기간에 관한 질문에서는 상담심리사는 ‘200시간’의 응답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심리⋅상담 관련 법제화 논의에서 자격 응시기준(최소학력과 수련 기간)에 관한 시사점과 방향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In 2022, amidst the proposal of four law drafts, heated debates emerged concerning the qualifications of psychotherapists. This study delves into how counseling psychologists and the general public perceive the necessary qualifications of psychotherapists in their professional roles. A total of 882 counseling psychologists and 779 regular citizen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irst, citizens advocating for ‘bachelor’s degree’ and those endorsing ‘master’s degree’ as the minimum educational attainment were nearly equal in proportion. Conversely, the majority of counseling psychologists advocated for a ‘master’s degree’. Second, both counseling psychologists and the public predominantly emphasized a requirement of ‘1,000 hours (four days per week for 1 year)’ for mandatory supervised training for psychotherapists. Third, counseling psychologists predominantly favored ‘200 hours’ for the necessary practicum training period within their degree curriculum. Finally, this study addre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qualification requirements by scrutinizing the disparities in perceptions between counseling psychologists and the public.

      • KCI등재

        자존감 평가영역별 중요도와 만족도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양난미,이동귀,박현주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한국인의 행복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먼저 연령 및 성별 집단의 행복 차이를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연령 및 성별 집단에서 자존감 평가영역별 중요도와 만족도가 행복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주도를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표집된 남성 366명과 여성 360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연령 및 성별 집단에서 행복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각 집단별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자존감 평가영역별 중요도와 만족도를 살펴보면, 가족, 긍정적인 성품, 대인관계 영역에서의 자존감이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객관적․사회적 능력 영역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특히 여성 집단의 경우 모든 연령대에서 ‘가족’ 영역에 대한 만족도가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이나 성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인보다는 가족, 긍정적 성품과 같은 개인심리적, 관계적 변인이 개인의 행복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overall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take an in-depth look on Koreans’ happiness. With a sample of Korean adults collected through stratified sampling, we examined (a) if the Happiness Index scores differ by age and gender groups, and (b) how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ndices of self-esteem appraisal in four domains (Social/Objective Ability, Positive Charact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amily) affect happiness across age and gender groups. Seven hundred and twenty six adults (366 men and 360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a) happiness scores did not differ by age and gender groups, (b)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ndices of self-esteem appraisal in three life domains (Family, Positive Characte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happiness scores.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ndices of the Social/Objective Ability domain failed to predict happiness scores. Of special note is that for women, the Satisfaction index in the Family domain significantly affected happiness across all the age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ra- and/or interpersonal variables such as family and positive characters play more important roles in happiness than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and gender.

      • KCI등재

        고등학생의 강간통념이 성적 자기주장과 상대통제에 미치는 영향 : 양성평등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양난미,이지연 淑明女子大學校 亞細亞女性問題硏究所 2008 아시아여성연구 Vol.47 No.1

        본 연구는 기존의 성인대상의 데이트 폭력이나 성폭력의 주요 변인으로 연구되어온 강간통념, 성적 자율성, 상대에 대한 통제 경향 변인들을 중심으로 이 변인들의 수준이 남녀 고등학생에게서 어떤 차이가 있으며 청소년기의 이성교제에서 어떤 관련성을 가지는지 양성평등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남녀 고등학교 1, 2학년 971명을 표집하여 남녀평등의식, 강간통념 척도, 상대통제 척도, 성적 자율성 척도 등을 내용으로 하는 설문지를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의 강간통념 수준은 여학생보다 높았으며 양성평등의식 수준은 여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았다. 또한 남학생의 이성교제에서 양성평등의식은 강간통념과 상대에 대한 통제 경향 사이를 부분매개하고 있었으며 여학생의 이성교제에서 양성평등의식은 강간통념과 성적 자기주장성 사이를 완전매개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인 수면 어려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성인 초기를 중심으로

        양난미,하재필,박혜원,김남균,이하영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3 연구방법논총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hat measures the difficulty of sleep experienced by Korean ad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N=273)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N=272) were conducted on 30 preliminary questions for office workers. As a result, three factors and 17 questions were identified as 'difficulty falling asleep', 'diffculty deep sleep', 'sensory hypersensitivity'.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were suitable. In addition,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incremental validity were verified. Sleep difficul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SQI-K, Insomnia Severity, Optimism, and Life Satisfaction. The incremental validity of sleep difficult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QI-K and Depression and State Anxiety. The reliability of the test-re-test was confirmed after 4 weeks in 32 patient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성인이 경험하는 수면의 어려움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여 수면 어려움의 구성개념을 정의하고, 30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직장인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N=273)과 확인적 요인분석(N=272)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입면 어려움’, ‘숙면 어려움’, ‘감각 과민성’ 으로 17개 문항, 3개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에서도 17개 문항, 3개 요인구조가 적합하여, 구성개념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PSQI-K, 불면증 심각도, 낙관성, 삶의 만족과의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나 준거 관련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PSQI-K가 우울 및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면 어려움이 추가적 설명력이 유의하여, 증분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척도의 안정성을 파악하기 위해, 32명을 대상으로 4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에 대한 부모학습관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양난미,이은경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2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academic self-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and career-aspiration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85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Kyunggi and Seoul. The subjects completed the Parent Academic Involvement Type Scale, th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nd the Career-aspirations scale.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s.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academic involvement of the father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mother. Secondly, academic self-efficacy was revealed to function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and career-aspirations in this population group.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for career counseling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ade.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포부에 대한 부모의 학습관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초등학생 262명이었고 부모의 학습관여형태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 진로포부 검사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학습관여가 높을수록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높아졌고 어머니보다는 아버지의 관여가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부모의 학습관여와 진로포부사이의 관계를 완전매개하고 있었다. 즉, 부모의 학습관여가 진로포부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한 간접효과만 유의미하였다. 분석결과에 대해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

      • KCI등재

        남성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수면 어려움의 관계: 낙관성과 연령의 매개된 조절효과

        양난미,박상욱,박혜원,이하영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3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6 No.2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optimism and 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leep difficulties in male office workers. To do this, we surveyed full-time male employees in their 20s and 50s nationwide, with a final sample size of 511. The result were, first, that age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leep difficulties. Second, optimism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leep difficulties. Third, we found that ag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leep difficulties, and that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optimism. In other words, middle-aged workers experienced greater decreases in optimism and increases in sleep difficulties when job stress was higher than younger work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variables that contribute to sleep difficulties in the workplace and provide a basis for improving mental health in the workplace.

      • KCI등재

        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연수경험과 다문화 태도의 관계: 공정 세상 신념(BJW)의 조절효과

        양난미,윤일광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1 다문화교육연구 Vol.14 No.3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belief in a just world(BJ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experience (METPE) and multicultural attitude. For this purpose, the survey of 253 secondary school teachers was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METP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ulticultural attitude. When teachers have more experience in METPE, they ha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ism. Secondly, the moderating effects of BJW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PE and multicultural attitude. Third, the group with low BJW-self had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attitudes depending on whether they have METPE or not. Fourth, the group with high BJW-others had a smaller change in multicultural attitudes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of METPE. On the other hand, the group with low BJW-others has more changes in multicultural attitude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METPE.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다문화 교육연수경험과 다문화 태도의 관계에서 공정 세상 신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253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등교사의 다문화 교육연수경험과 다문화 태도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중등교사의 다문화 교육연수와 다문화 태도 간의 관계에서 공정 세상 신념(BJW-self, BJW-others)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중등교사의 BJW-self가 낮을수록 다문화교육연수경험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BJW-others가 높은 중등교사집단은 다문화교육 연수경험의 높고 낮음에 따른 다문화태도의 변화가 작았지만, BJW- others가 낮은 중등교사집단은 다문화교육 연수경험이 많아짐에 따라 다문화태도의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소명과 삶의 만족의 관계: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양난미,이은경 한국상담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4 No.1

        본 연구는 청년층의 이직문제와 대학생들의 진로문제를 긍정심리학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 문제들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특히 개인이 자신의 일에 대해 개인적인 충만감을 느끼고 사회적으로 헌신하도록 이끄는 목적의식을 의미하는 진로소명에 초점을 두고 진로소명, 진로정체감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남녀 대학생 313명을 대상으로 세 변인간의 관계를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검토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진로소명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소명은 진로정체감 및 삶의 만족과 정적인 관계에 있었고 둘째, 진로소명과 진로정체감은 모두 삶의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두 변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진로소명, 진로정체감의 순이었다. 셋째, 세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해 본 결과 진로소명과 삶의 만족간의 관계를 진로정체감이 부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상담 실제를 위한 제언과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Relations among the career calling, career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were examined to understand how career calling influences career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For this study, 313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A Correlation, multi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SEM) were employed to test effects of career calling on the career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showed that career calling and career identity predicted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SEM showed that career calling influenced career identity which, in turn, affected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partial meditational model was preferred than the complete meditational model. Therefore, career calling not only directl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but also indirectl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through career identity.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and counseling practice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