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녀 고등학생의 자존감과 섭식억제의 관계에서 신체비교와 신체불만족의 매개효과

        양난미,박현주,이동귀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3

        The relations among self-esteem, physical comparison, body dissatisfaction, and restrained eating have been established with university students. The current study purports to confirm the aforementioned relations with high school male and female students. Participants were 480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nam-do area. We created a research model and an alternative model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examined which model could better explain high school students’ restrained eating. In addition, a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Mai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model which hypothesized physical comparison and body dissatisfaction as partial mediators was found to be a better model compared to the alternative model.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both physical comparison and body dis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restrained eating were significant. Third, the research model was found to be a better model than the alternative one both in the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inally, latent means analyses by gender were not to be calculated because partial scalar invariance was dismissed in the multi-group analysi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검증되었던 자존감, 신체비교, 신체불만족과 섭식억제의 관계를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확인하여 청소년기의 섭식문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남자 고등학생 273명과 여자 고등학생 207명으로 총 480명이었고 자존감, 신체비교, 체형에 대한 불만족 및 섭식억제 척도 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대안모형을 설정하였고 두 모형 중 고등학생 집단을 더 잘 설명하는 모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개별변수의 영향력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 검증 결과 자존감과 섭식억제의 관계를 신체비교와 신체불만족이 부분매개하는 연구모형이 대안모형보다 자료를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이 섭식억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비교와 신체불만족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성별에 따른 모형검증 결과 남녀 고등학생 집단 모두에서 연구모형이 더 좋은 모형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다집단분석 결과 절편동일성이 기각되어 남녀 고등학생 집단의 잠재평균을 비교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심각한 수시 폭음을 하는 대학생의 음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양난미,송영이 한국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actual experiences of heavy and frequent binge drinkers and causes of heavy and frequent drink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was employed. Ten college students who satisfied the criteria of heavy and frequent binge drinking participated. The results showed that heavy and frequent binge drinkers consumed alcohol two or three times a week and their drinking moved onto the second and third rounds in a single day. After drinking, the participants felt mentally and physically uncomfortable and regretted excessive drinking, yet with better feeling on the other hand. Also,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while drinking, they could improve bondings with others. They started drinking during elementary school years, consumed alcohol regularly during high school years, and finally started drinking excessively with friends during college years. Sugges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심각한 수시 폭음에 관한 실제 음주경험과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심각한 수시 폭음의 기준을 충족하는 남녀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합의에 의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축어록을 주요개념과 범주로 유목화하였다. 연구결과 심각한 수시 폭음을 하는 대학생들은 전형적으로 친한 사람들과 일주일에 2-3회, 학교 근처에서 2-3차까지 술을 마시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술을 마시고 난 후 신체적 불편을 느끼고, 생활에 지장을 초래하여 과음한 것을 후회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기분이 나아진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이들은 전형적으로 술을 줄여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술을 마시는 이유는 기분이 좋지 않거나 좋은 감정관련, 친구나 주변 사람들에게 영향을 받는 관계관련, 안 좋은 일, 심심함, 술자리 게임 등 다양한 상황관련 요인들이 있었다. 또한 술을 통해 깊이 있는 대화를 하고 더 친해질 수 있으며 스트레스 해소가 된다고 응답하였다. 이들은 초등학교 시절에 처음 술을 마시고 고등학교 시절에 주기적으로 마시기 시작하며 대학 신입생 때, 학과나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폭음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자존감 평가영역별 중요도와 만족도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양난미,이동귀,박현주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한국인의 행복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먼저 연령 및 성별 집단의 행복 차이를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연령 및 성별 집단에서 자존감 평가영역별 중요도와 만족도가 행복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주도를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표집된 남성 366명과 여성 360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연령 및 성별 집단에서 행복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각 집단별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자존감 평가영역별 중요도와 만족도를 살펴보면, 가족, 긍정적인 성품, 대인관계 영역에서의 자존감이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객관적․사회적 능력 영역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특히 여성 집단의 경우 모든 연령대에서 ‘가족’ 영역에 대한 만족도가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이나 성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인보다는 가족, 긍정적 성품과 같은 개인심리적, 관계적 변인이 개인의 행복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overall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take an in-depth look on Koreans’ happiness. With a sample of Korean adults collected through stratified sampling, we examined (a) if the Happiness Index scores differ by age and gender groups, and (b) how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ndices of self-esteem appraisal in four domains (Social/Objective Ability, Positive Charact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amily) affect happiness across age and gender groups. Seven hundred and twenty six adults (366 men and 360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a) happiness scores did not differ by age and gender groups, (b)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ndices of self-esteem appraisal in three life domains (Family, Positive Characte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happiness scores.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indices of the Social/Objective Ability domain failed to predict happiness scores. Of special note is that for women, the Satisfaction index in the Family domain significantly affected happiness across all the age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ra- and/or interpersonal variables such as family and positive characters play more important roles in happiness than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and gender.

      • KCI등재

        심리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자격에 대한 인식조사: 상담심리사와 일반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양난미,하재필,성현모,이상민 한국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5 No.4

        2022년 4개의 심리⋅상담 관련 법안들이 발의됨에 따라, 상담 실무자의 자격 수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상담 실무자로 업(業)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격 응시기준(최소학력과 수련 기간)에 대해 한국상담심리학회 소속 상담심리사와 일반인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총 882명의 한국상담심리학회 소속 상담심리사와 총 779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최소학력에 관한 질문에서는 일반인은 ‘학사졸업’, ‘석사졸업’의 비율이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상담심리사는 ‘석사졸업’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필수 수련 기간에 관한 질문에서는 상담심리사와 일반인 모두 ‘1,000시간(대략 1년 동안 주 4일간 수련)’의 응답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위과정 중 실무실습 기간에 관한 질문에서는 상담심리사는 ‘200시간’의 응답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심리⋅상담 관련 법제화 논의에서 자격 응시기준(최소학력과 수련 기간)에 관한 시사점과 방향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In 2022, amidst the proposal of four law drafts, heated debates emerged concerning the qualifications of psychotherapists. This study delves into how counseling psychologists and the general public perceive the necessary qualifications of psychotherapists in their professional roles. A total of 882 counseling psychologists and 779 regular citizen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irst, citizens advocating for ‘bachelor’s degree’ and those endorsing ‘master’s degree’ as the minimum educational attainment were nearly equal in proportion. Conversely, the majority of counseling psychologists advocated for a ‘master’s degree’. Second, both counseling psychologists and the public predominantly emphasized a requirement of ‘1,000 hours (four days per week for 1 year)’ for mandatory supervised training for psychotherapists. Third, counseling psychologists predominantly favored ‘200 hours’ for the necessary practicum training period within their degree curriculum. Finally, this study addre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qualification requirements by scrutinizing the disparities in perceptions between counseling psychologists and the public.

      • KCI등재

        남,여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컴퓨터게임 중독과 학교적응간의 관계 모형 분석

        양난미,이지연 한국상담학회 2007 상담학연구 Vol.8 No.2

        Computer/video game addictions have been described as one of the factors that may promote school maladjustment, such as impulsive and aggressive behaviors, lack of problem-solving skills and underachievement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herefore, to examine this proposed relationship among computer game addictions,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More specifically,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role of computer game addiction and sex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1,071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in a northwestern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Several steps of the data analytic methods are conducted; pearson's correlations analysis, multiple group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ttachment affected on general school adjustment, but game addiction was major predicted variable. Second, the best model of boy and girl students was identical but parental attachment differently affected between boy and girl group. In the results, the different approaches between boy and girl group should be needed. Keywords : computer/video game addiction, school adjustment, parental attachmen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준다고 판단되는 게임중독의 영향과 게임중독의 근원적인 관계변인으로서 주목받는 애착과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통한 모형검증을 실시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컴퓨터게임 중독에 빠지기 쉬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애착과 게임중독, 적응 등 세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모형으로 설정하고 변인간의 관계가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에서 동일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의 다집단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반적인 학교적응은 부모 애착 모두의 영향을 받았지만 게임중독은 모 애착이 중요한 예언변인이었다. 둘째, 남학생과 여학생집단에서 가장 적합한 모형이 동일하였지만 남녀에 따라 부모의 애착이 다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남학생의 경우에는 학교적응에 부 애착이, 여학생의 경우에는 모 애착이 더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결과는 남학생과 여학생에 따라 다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주요어 : 컴퓨터게임 중독, 학교적응, 부 애착, 모 애착

      • KCI등재

        외상을 경험한 여자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양난미,이은경,송미경,이동훈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ive traumatic life events and its characteristics as well as medi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y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traumatized female college students. A sample of 357 female students who reported a traumatic event from Seoul, Gyeonggi,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wa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this study, scales such as Traumatic Life Event, Attachment, Stress Coping Strategy, Post-traumatic Growth were conducted.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employed for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traumatic events, distress level, and distress period,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ffect of attachment and coping strategy on Post-traumatic Growth,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medi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y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fe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display higher frequencies in traumatic events regarding on relational issues(family or relatives' loss, family conflicts, relational problems etc.,). Secondly, there a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such variables as traumatic events, distress level, and distress period. Third, avoidant attachment and problem-solving coping strateg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ost-traumatic growth and problem-solving coping strateg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외상사건의 유형과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이 외상 후 성장을 이루는 과정에서 성인애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외상경험이 있다고 자기보고(self-report)한 서울, 경기, 부산, 경남지역의 여자 대학생 357명이었고 설문지는 외상경험 질문지, 성인애착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외상 후 성장 척도로 구성되었다. 외상경험 유형, 사건 당시 고통정도 및 외상 후 기간경과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는 빈도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해 검토하였고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애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영향력은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회피애착과 외상 후 성장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 중심 대처의 매개효과는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인관계에서의 외상이 여자 대학생들에게 가장 일반적이고 고통스러운 외상사건으로 보고되었고 둘째, 외상사건 유형, 사건 당시의 고통 정도 및 외상 이후의 기간은 외상 후 성장과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셋째, 회피애착과 문제해결 중심 대처가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넷째, 회피애착과 외상 후 성장간의 관계에서 문제해결중심 대처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음주 예방행동전략 척도 타당화 연구

        양난미,남동엽 한국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protective behavioral strategies scale. In order to develop preliminary items, the items of a protective behavioral strategies scale (PBSS) were adapted through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and an 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on 117 students at a domestic four-year university. Then a preliminary alcohol-related protective strategies scale of 50 items was produced based on the adapted items of the protective behavioral strategies scale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66 students from another domestic four-year university were asked to rate their own understanding and effectiveness of the scale on drinking prevention,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made after selecting 246 students from a third domestic four-year university to finalize the items. As a result of mak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wo factors that consisted of 13 items were selected. Factor 1 was composed of items about activity strategies, which cover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ersonal thinking and behavior. Factor 2 was constituted by items about manner of drinking, which covered behaviors related to alcohol drink and alcohol non-drink. Finall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validity analysis were carried out after 257 students from a fourth four-year university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goodness-of-fit of the model, and the convergent,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it was all confirmed by making a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cales of drinking motivation, alcohol use and drinking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When a retest was conducted three weeks later,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model was confirmed as well. Finally, the academic significanc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의 음주 예방행동전략 척도를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예비문항 개발을 위해 번역, 역번역의 번안과정을 거친 예방행동전략(protective behavioral strategies scale: PBSS) 문항과 국내 4년제 대학 재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개방형 설문조사 응답을 통합하여 음주 예방행동전략 예비척도 50문항을 제작하였다. 개발된 예비척도에 대해 국내 4년제 대학 재학생 66명에게 이해도와 음주 예방 효과성을 평정하도록 하였고 최종 문항을 확정하기 위해 국내 4년제 대학 재학생 246명을 대상으로 예비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13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2개 요인이 확인되었다. 1요인은 활동 전략에 대한 문항으로 대인관계 및 개인의 사고와 행동으로, 2요인은 음주 방법에 대한 문항으로 알콜섭취 및 비알콜섭취와 관련된 행동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국내 4년제 대학 재학생 257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타당도 분석을 실시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음주동기, 음주정도, 대학생 음주문제 척도들과의 상관분석을 통해서 수렴, 공존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변별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3주 후 실시한 재검사를 통해서 안정적인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에 대한 부모학습관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양난미,이은경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2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academic self-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and career-aspiration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85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Kyunggi and Seoul. The subjects completed the Parent Academic Involvement Type Scale, th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nd the Career-aspirations scale.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aspirations.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academic involvement of the father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mother. Secondly, academic self-efficacy was revealed to function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and career-aspirations in this population group.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for career counseling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ade.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포부에 대한 부모의 학습관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초등학생 262명이었고 부모의 학습관여형태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 진로포부 검사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학습관여가 높을수록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높아졌고 어머니보다는 아버지의 관여가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부모의 학습관여와 진로포부사이의 관계를 완전매개하고 있었다. 즉, 부모의 학습관여가 진로포부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한 간접효과만 유의미하였다. 분석결과에 대해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