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대가 인식하는 한국 가상 인간 인플루언서의 성격 연구 - 루시, 한유아, 로지를 중심으로 -

        안지선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4 한국디자인포럼 Vol.29 No.2

        연구배경 성격은 에이전트의 인식, 상호 작용의 만족도 및 지속적인 상호 작용의 욕구 등 사용자 경험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가상 인간 특성에 대한 연구는 사용자가 인식하는 개별적 개성과 관련된 성격 분석에 있어서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의 국내 가상 인간 인플루언서들에 대한 성격 차이 인식을 분석하고 성격 디자인의 활용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응답자들에게 선별된 인스타그램 이미지를 보여주고 해당 계정을 자유롭게 탐색하게 했다. 둘째, 성격을 평가하기 위해 Five-Factor 모델과 Völkel의 인공지능 성격 모델에 기반한 양극단형 리커트 7점 척도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99명의 설문 응답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IBM SPSS를 활용하여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커스 그룹 면접(FGI)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Five-Factor 모델의 성격에 대한 인식 차이는‘친화적인' 성격을 제외한 나머지 성격 요소에서 나타났다. 또한, Völkel의 인공지능 모델의 성격에 대해서는 응답자들은 열 가지 성격 중 다섯 가지 성격에 대해 차이를 인식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는 개성의 일관성과 정체성, 개인화, 불쾌한 골짜기의 주제로 정리되었다. 결론 첫인상의 중요성, 비인간 혹은 인간과의 유사성이 덜한 가상 인물의 개발, 다양한 매체 유형에서 일관성 있는 관리 등을 제안한다. Background Personal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user experience, including perception of the agent, satisfaction with the interaction, and desire for continued interaction. Research on virtual human traits has been lacking in analyzing personality as it relates to individual personality as perceived by use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sonality difference perception of Korean virtual human influencers among Instagram users in their 20s and suggest strategies for utilizing personality design. Methods First, respondents were shown a selection of Instagram images and allowed to browse the accounts freely. Second, a bipolar 7-point Likert scale survey based on the Five-Factor Model and Völkel's AI Personality Model was administered to assess personality. Third,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to analyze the data from the 99 survey responses. Finall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Result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Five-Factor Model's personality were found in all personality factors except for ‘Friendly.' Furthermore, regarding Völkel's AI model, respondents noted personality differences in five out of ten personality traits. Focus group interviews highlighted themes such as personality consistency and identity, personalization, and the Uncanny Valley. Conclusion Suggestions include the importance of first impressions, the development of non-human or less human-like virtual characters, and consistent management across different media types.

      • KCI등재

        클로자핀 복용으로 유발된 각막 및 수정체 색소침착 1예

        안지선,이영미,곽주영,현 주,최진석,박규홍,정성근 대한안과학회 2019 대한안과학회지 Vol.60 No.3

        Purpose: To report a case of corneal and lenticular pigmentation after prolonged clozapine therapy. Case summary: A 56-year-old male visited our hospital with a progressive decline in vision that affected both eyes. He had a history of schizophrenia. He was being treated with 200 mg clozapine and 1 mg lorazepam daily, and had been treated with clozapine for 5 years. At the first visit, his best-corrected-visual acuity was 20/32 in both eyes. Slit lamp examination of the corneas showed bright, fine, grayish-brown deposits on the endothelium, and on dilation, bilateral central stellate opacity of the anterior portion of the lens capsule was revealed. Conclusions: Clozapine may induce corneal and lenticular pigmentation and thus may lead to a decline in vision. Patients on long-term clozapine therapy should be considered for regular ophthalmic review. 목적: 장기간 클로자핀을 복용한 환자에서 각막과 수정체의 색소침착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조현병을 앓고 있는 56세 남자가 양안의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5년간 매일 클로자핀 200 mg, 로라제팜 1 mg을 복용하였다. 첫 내원 시 양안 최대 교정시력은 양안 20/32였다. 세극등검사에서 양안 각막내피세포층에 밝고 미세한 회갈색의 침착물이 관찰되었고, 산동 후 수정체 전낭아래 방사선상의 색소침착이 중앙부에 관찰되었다. 결론: 클로자핀의 복용은 각막과 수정체에 색소침착을 유발하며, 시력저하를 일으킨다. 앞으로 장기간의 클로자핀 복용 치료를 받는 환자는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섬망 발생과 처치 관련 위험인자

        안지선,오주영,박재섭,김재진,박진영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9 정신신체의학 Vol.27 No.1

        Objectives:Although delirium is a common complication among patients hospitalized in intensive care units(ICUs), little is known about the roles that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dures play in its 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cedure-related risk factors of delirium in ICU patients. Methods:All the consecutive patients admitted to the ICU between June 2016 and May 2017 were routinely evaluated for delirium by psychiatrists. In total, 1156 patien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ndependent risk factors of delirium development while adjusting for other characteristics. Results:The age,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APACHE II) score, proportion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an operation, and proportion of patients who were foley catheterized, mechanically ventilated, and physically restrained were higher in the delirium group.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the use of restraint w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delirium (odds ratio : 10.006 ; 95% confidence interval : 6.120-16.360 ; p<0.001). The patient factor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delirium were an advanced age and a higher APACHE II score. The incidence of delirium was 15.3%. Conclusions:There is a high prevalence of delirium influenced by potentially harmful procedures in patients in ICU settings.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 had the strongest associ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delirium. These findings advocate the need to target procedure-related risk factors such as the use of restraints as preventive intervention measures for ICU delirium. 연구목적: 섬망은 중환자실에서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중환자실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처치(procedure) 와 섬망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환자실의 처치를 중점으로 섬망의 위험인자를 조사하기 위하여 후향적 관찰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16년 6월부터 2017년 5월까지 강남세브란스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중 선정기준을 만족하는 1,156명의 환자를 포함하였으며, 섬망은 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 전수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매일 규칙적으로평가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선정한 섬망의 처치 관련 위험인자(risk factors for procedure-related)에 대한노출 여부를 섬망 발생에 따라 비교하고,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수에 대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섬망 발생 위험 확률을 높이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결 과: 섬망 발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연령, 중증도, 수술 여부, 배액관 삽입, 도뇨관 삽입, 기관내 삽관과 신체 억제대가 있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 환자의 연령, 질병의 중증도와 신체 억제대 사용은 독립적으로 섬망 발생 위험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섬망 발생률은 15.3%였다. 결 론: 신체 억제대의 사용은 중환자실 환자의 섬망 발생 위험 확률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중환자실의 섬망을 중재하기 위하여 연령과 중증도가 높은 고위험군에 대한 최소한의 신체 억제대 사용과 집중적인 관찰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Satisfaction and Academic Outcome of Korean Design Major Students

        안지선,임낭연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3 No.-

        Background Design critique in an educational setting is a communicative interaction between an instructor and students, sometimes with invited professionals through formal and informal feedback. Numerous design educators have investigated how students perceive the learning benefits of critiquing. Although education researchers have found that self-efficacy is one of the key factors in academic performance, researchers in design education rarely conducted studies on how self-efficacy influences students’ grades as academic outcomes. Thus, in this paper, we aim to quantitatively investigate how efficacies in design education relate with academic outcomes and students’ satisfaction from various aspects. Method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in design studios and grades in design projects, we used three scales developed by Gaffney: Critique Self-efficacy, Studio Self-efficacy, and Design Communication Competence. We surveyed forty-four design students at K University from May 2016 to June 2016. An SPSS Statistics software was used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To conduct this analysis, we used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Result First, students’ efficacy predicted their anticipated grades, but not their final letter grades. In contrast, final letter grades are marginally correlated with Studio Self-efficacy. Second, satisfaction in critique activities positively correlates with Critique Self-efficacy, Studio Self-efficacy, and Design Communication Competence. However, this satisfaction did not predict final letter grades either. Lastly, satisfaction with Final Critique was more strongly correlated with both anticipated letter grades and final letter grades than satisfaction with Team Critique. Conclusion This study would help Korean design educators who are utilizing a critiquing method to understand their students’ efficacy and competence and how the factors relate with academic outcome.

      • KCI등재

        지방정부 성과측정의 제약과 개선에 대한 질적 연구

        안지선,이정철 한국지방자치학회 2023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35 No.4

        본 연구는 지방정부가 시정운영의 책임성과 도시경쟁력 확보를 위해 도입하고 있는 정책성과지표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관리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고, 정책관리 관점에서 지방정부 성과 측정 및 활용 실태를 면밀히 검토하기 위하여 A시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4년간의 시정지표 개발・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종합적인 진단을 위하여 경성자료(hard data)와 연성자료(soft data)를 수집하여 검토하고 제도적・관리적 측면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각각 7가지, 6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지방정부 정책성과지표 운영 시 요구되는 관리과제로써, 지표체계 점검과 고도화 노력, 관리적 역량 강화 및 성과 전달 노력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anagerial tasks required to effectively improve policy performance indicators used by local governments as tools to improve competitiveness and responsibility for municipal administration to residents. To supplement previous studies’ limitations and explore in detail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local government's performance indicator system from a policy management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government performance indicator management in ‘A’ City over the past four years. Using both hard and soft data,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municipal indicator system’s operation and categorized problems and improvements into seven and six categories, respectively. Applying institutional and management perspectives, this study emphasized the need for local governments to monitor and improve the indicator system, strengthen management capabilities, and expand performance delivery and communication in operating government performance indicators.

      • KCI등재

        원격근무는 직무열의 증진에 효과적 수단인가?

        안지선,조윤직 한국인사행정학회 2023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근무가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 증진에 효과적 수단인지 분석하는 데 있다. 선행연구들에서 원격근무는 일관된 분석결과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들은 선택 편의(selection bias)의 상황 속에서 제도의 효과를 검증해 왔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대부분의 공무원들이 원격근무를 해야 했던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2개월가량의 시차를 두고 이루어진 공무원 설문자료를 활용해 원격근무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원격근무가 논의되어 온 배경에 주목하여, 조직구성원의 내재적 동기, 일·가정 갈등(Work to Family Conflict), 가정·일 갈등(Family to Work Conflict)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원격근무가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원격근무 경험 자체는 직무열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의 수준이 높아 자기 주도적인 업무수행 의지를 갖추었거나, 가정·일 갈등(FWC)을 겪고 있는 구성원들에게는 효과적인 업무형태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근무형태로서 원격근무를 추진하는 과정에 원격근무가 가지는 장단점을 명확히 파악하고 실제적인 운영지침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박근혜 정부의 중간점검 및 향후 정책과제 : 제2회 ; 제10분과 <신진학자 세션> : 성과관리제도와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중앙행정기관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안지선,조윤직 한국정책학회 2015 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

        정부의 비효율을 개선하고 국민에 대한 책무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난 30년 간 공공부문에 꾸준히 성과관리제도가 도입되어 왔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성과관리제도 도입 수준은 OECD 국가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상당히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성과관리제도가 실질적으로 정착되어서 잘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하여는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성과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중앙행정기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성과관리제도의 설계와 운영 및 제반 환경에 있어서 어떠한 요인들이 실질적으로 성과 향상에 영향을 주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조직 내·외부 이해관계자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생성된 성과정보를 개인의 인사고과에 적정하게 반영하며, 성과관리의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조직일 수록 개인과 부서의 성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과적인 성과시스템을 구축해 성과 관리의 기반을 마련하고, 조직의 우선순위나 전략의 변경과 연계하여 성과시스템을 개선해 나가는 노력 역시 성과 창출에 기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더하여 성과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지원하는 리더의 관심과 의지 역시 성과를 제고하는데 일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성과관리제도 자체의 설계뿐만 아니라 그 실제적인 운영과 환경적인 요인 또한 성공적인 성과관리제도의 정착을 위해 필수적인 요인임을 실증하였다.

      •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디자인 선호도 분석

        안지선,박영순,이철 대한인간공학회 2006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오늘날 휴대폰은 단순히 통화 기능을 위한 제품이 아닌 일상생활 속에서 끊임없이 사용되고 나아가 사용자의 개성을 대표하는 everyday product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 디자인의 평가는 사용자의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인 측면까지도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특성별 디자인 평가요인에 대한 기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30대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용자 특성별, 새로운 트렌드나 변화에 대한 수용태도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정의하였다. 또한 디자인 평가요인에 대해서는 휴대폰의 이용행태와 구매행동 등을 고려하여 심미적인 측면 이외에 경제성, 브랜드, 기능성으로 분류하여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자의 특성을 반영한 모바일 기기의 디자인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비행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2001년∼2011년 국내 석·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안지선,김정남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rganize the result of studies that about effect of group counseling for juvenile delinquents by meta-analysis and to suggest the guideline for effectiv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program. For this meta-analysis, I researched studies published in Korea from 2001 to 2011 that abou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juvenile delinquents. In total 65 studies, I selected 50 studies to analysis object target, and 118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e overall effect size of group counselling for juvenile delinquents was 1.59(U3=94.29) which is high figure. The effect size of theoretical approach was 0.26~4.68, and person-centered counseling(4.68) was most effective. The effect size of group focused was 0.75~1.92, and self growth(1.92) was most effective. And. the effect size of test valve was 0.79~3.58, behavior(3.58) was the highest. According to proceeding, it was most effective when member of the group was put on probation(2.12), the group was consist of male(1.65), the group size was less than 6 members(1.72), the number of the session was about 10~14(1.78), the time require was more than 121minutes(2.38). 본 연구의 목적은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결과들을 메타분석에 의해 종합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메타분석을 위해 2001년부터 2011년까지의 국내 석·박사학위논문 중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연구들을 수집하였다. 총 65편 중 선정기준에 최종 50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118개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 분석결과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1.59(U3=94.2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론적 배경에 따른 효과크기는 0.26~4.68의 효과크기를 보여주었으며, 인간중심(4.68)이 가장 효과가 컸다. 집단의 목적에 따른 효과크기는 0.75~1.92로 자기성장(1.92)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측정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0.79~3.58로 태도(3.58)가 가장 높았다. 진행절차에 따른 효과크기 살펴보면, 구성원의 소속은 보호관찰중인 구성원(2.12), 구성원의 성별은 남자(1.65), 구성원의 집단크기는 6명 이하(1.72), 회기수는 10~14회기(1.78), 집단회기별 소요시간은 121분 이상(2.38)일 때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사진영상전공 대학생의 학습유형과 학업성취도

        안지선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6 No.-

        The specific learning style preferred by the learner is called the Learning Styles,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learning effect, along with individual competence and cultural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d 1)Learning Styles preferred by the student of Photography & Motion major of K University in Korea, 2)Learning Styles by school years, 3)Learning Styles by academic achievement, and 4)Learning Styles by academic achievement in different school years. To do thi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157 college students of K University by using Kolb's Learning Styles Inventory(LSI) tool.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se students preferred in order, Active Experimentation(AE), Concrete Experience(CE), Reflective Observation (RO), and Abstract Conceptualization(AC) based on Kolb’s Experiential Learning Model. Especially, in the case of Active Experimentation(AE), this tendency became more prominent as the school year goes up, Second, from Learning Styles of Kolb, it was in the order of Assimilator, Diverger, Accommodator, and Convergent. Third, from anticipated and final letter grades that are considered to be representative tools for measuring academic achievement, the higher the expected letter grades, the more likely students are to receive higher letter grades. In addition, they receive higher grades than their expected grades. Lastly, as anticipated grades of Assimilator students increase, final letter grades of their major study tended to increase. However, the students from the rest of Learning Styles did not predict their final letter grades. This means that Assimilator students are likely to predict the degree of learning performance based on their anticipated grades . This study identifies the distinctive Learning Styles among students’ majoring in Photography & Motion. The result reflects the typical educational environment of Visual Arts centered on image collection and development. Given the increasing educational and commercial interest and demand for persons with convergent talents that can solve various problems and create new knowledge, this study proposes to educate visual arts’ students to focus on problem solving rather than focusing media centered education. 학습자가 선호하는 특정한 학습방식을 학습유형이라고 하는데, 이는 개개인의 역량, 문화적 배경 등과함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K대학교의 사진영상전공 학생이 1)선호하는 학습유형과 2)학년별로 나타나는 학습유형, 3)학업 성취별로 나타나는 학습유형, 그리고 4)학년별로학업 성취도에 따른 학습유형을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Kolb의 학습유형검사(Learning Styles Inventory; LSI) 도구를 이용하여 157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SPSS 통계 패키지로 기술통계량, 빈도분석, 상관분석 대응표본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Kolb의 경험학습모형에서 활동적 실험(AE), 구체적 경험(CE), 반성적관찰(RO), 추상적 개념화(AC) 순으로 선호하였다. 특히, 활동적 실험(AE)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이경향이 두드러졌다. 둘째, 학습유형에서는 적용자, 확산자, 동화자, 수렴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 성취도의 대표적인 측정 도구인 예상성적과 실제성적에서 예상평점이 높아질수록 전공평점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예상평점보다 전공평점이 더 높은 값을 가졌다. 마지막으로, 학습유형 중 적용자는 예상평점이 높아질수록, 전공평점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다른 유형에서는 예상평점이 실제 전공 평점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또한 적용자의 경우, 전공 과제에 대한 수행력을 실제보다 낮게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진영상전공의 두드러진 학습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런 학습유형은 이미지 수집및 개발 중심의 시각예술의 통상적인 교육방향을 잘반영하고 있다.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는 융합인재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매체 중심이 아닌 다층적인 문제 해결 중심의 인재양성을 위한 시각예술의 교육방향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