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의 질적 메타분석 : 초등학교 학교급을 중심으로

        안영은,권내욱,권수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제를 통합적이고 맥락적으로 이 해하고자 사례연구들을 종합하여 질적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은 2008년부터 2017 년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지 및 학위논문 9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개별교사, 학년(군), 학교 수준에서 다양하게 나 타나고 있었으나, 시·도교육청 수준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사례연구를 통해 드러나지 않 았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이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평가방법 중 어느 요소를 어느 정도로 다루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 내용과 방법이 공통 최다였으며, 재구성이 일어나는 맥락 에 따라 재구성 정도의 양상이 다양했다. 셋째, 국내 초등학교 내 교육과정 재구성 유형을 귀 납적으로 분류한 결과, 크게 계획단계와 실행단계에서의 재구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계획 단계에서는 재구성의 목적 및 교사 간 협력유무에서 차이점이 드러났으며, 실행 단계에서는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 따라 나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맥락에서는 교사 간 협력을 통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보다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가교육과정 대강 화 정책을 유지하여 교사가 자율성을 발휘할 여지를 충분히 열어 두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actic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Korea on integrative and contextual viewpoint.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conducted qualitative meta-synthesis on 9 case studies which were on elementary schools and had published for last 10 year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first, various subjects were found participating on the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except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econd, curriculum re-construction was focused on the subject matter and teaching methods while variations occured due to the aim for the re-construction; third, the practic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was categorized as planned or enacted stag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implies following proposal: to support teacher collaboration, to maintain slimming National Curriculum, to activate discussion of teacher identity and reflect the implication on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코너영역 분산치 기반 코렐로그램을 이용한 형태검출

        안영은,이지민,양원일,최영일,장민혁,An, Young-Eun,Lee, Ji-Min,Yang, Won-Ii,Choi, Young-Il,Chang, Min-Hyuk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6

        본 연구에서는 객체 코너의 분산치에 기반한 코렐로그램 형태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다음 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영상 내 객체의 코너 점을 추출한 후 이들의 분산치를 구한다. 그리고 각각의 코너영역들의 분산치 중 최대/최소값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 최대/최소값을 이용하여 코렐로그램 매핑을 한 후 유사도를 측정하게 된다. 제안된 기법은 영상 내에서 형태 구조가 분명한 객체의 실험에서 성능이 우수하였으며 객체의 이동이나 회전에도 강인하였으며 코너 패치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형태 검색에 비해 약 0.03%의 향상된 recall을 나타내었다. This paper have proposed an object retrieval using the corners area variability based on correlogram. The proposed algorithm is processed as follows. First, the corner points of the object in an image are extracted and then the feature vectors are obtained. It ar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dimension and consist of sequence vectors. And the similarity based on the maximum of sequence vectors is measured. The proposed technique is invariant to the rotation or the transfer of the objects and more efficient in case that the objects present simple structure. In simulation that use Wang's database, the method presents that the recall property is improved by 0.03% and more than the standard corner patch histogram.

      • KCI등재

        <전랑(戰狼)2> 연구: 주선율영화(主旋律電影)에서 블록버스터급 신주류영화(新主流電影大作)로

        안영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0 中國硏究 Vol.82 No.-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e success of <Wolf Warrior Ⅱ> was that there was empathy for the narrative from a strong national image. The film has gained wide acclaim from mainstream moviegoers, especially by using the national image, which was not much emphasized in commercial films, as an important box office factor. The audience, who responded actively to the film, quickly elevated the work to the level of "a work of God's work" The media's firm support also made <Wolf Warrior Ⅱ> an event. <Wolf Warriors Ⅱ>is a new mainstream blockbuster. The movie highlights the 'the government promoted Main Theme Movies'value in the commercial system. The main character looks like a superhero in a Hollywood movie. In an era when America was expanding into the world, a hero named Rambo appeared. Now China is calling for the revival of the great Chinese nation. The "China Dream," which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called for, made the Chinese version of Rambo and the Chinese version of Superhero. Leng Feng was a new Chinese-style superhero born on a global level that surpassed the limits of traditional superheroes that harbored ethnic grief. <전랑2>가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근본적인 이유는 강력한 국력제고에서 비롯된 서사에 대한 공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영화는 국가 이미지를 돌출시키는데 매우 공을 드렸다. 특히나 상업영화에서는 그다지 강조하지 않았던 국가이미지를 영화 속 대사나 자막을 통해서 오히려 영화의 중요한 흥행요소로 삼음으로써, 주류영화 관객층의 폭넓은 호응을 얻었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반응으로써 관객들은 순식간에 작품을 ‘신작(神作)’의 차원으로 끌어올렸다. 이러한 움직임을 대중매체가 든든히 뒷받침해 줌으로써 <전랑2>는 하나의 사건이 되었다. <전랑2> 전통적인 주선률영화가 상업적시스템 속에서 나름의 길을 모색하면서 만들어진 신주류대작영화다. 영화 속 주인공은 할리우드 영화 속 수퍼히어로를 닮았다. 미국이 세계로 팽창하던 시대에 람보라는 영웅이 탄생했다. 지금은 중국이 세계를 향해 위대한 중화민족의 부흥을 외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의 ‘중국몽’이라는 시대 배경이 ‘전랑’시리즈 속 주인공 렁펑이라는 중국판 람보, 중국판 수퍼히어로를 만들고 있는 셈이다. 이는 과거의 전통적 중국서사 속의 수퍼히어로의 한계를 돌파한 전지구화적 차원에서 탄생한 새로운 수퍼히어로의 탄생이었다.

      • KCI등재

        코로나 19 시기의 교육격차 실태 분석: 서울시 중학생을 중심으로

        안영은,이호준,이해니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敎育行政學硏究 Vol.41 No.1

        본 연구는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이 병행했던 코로나19 시기에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과 결과 측면에서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격차가 발생하였는지 그 실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정책연구소에서 주관하여 2021년에 수집된 『서울교육종단연구 2020』 1차년도 중학생 자료(data)를 활용하여 가정배경별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 실태분석 결과를 해석하고자 서울시 교원 및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FGI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시기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 중 발생한 격차를 살펴본 결과, 가정돌봄 측면에서 가정배경에 따른 차이가 컸던 것으로 밝혀졌다. FGI 참여자들은 가정배경에 따라 학생의 관리․지원 정도에 차이가 크고, 저소득층 가정의 학생은 혼자 방치된 시간이 길어 디지털 기기 활용 시간이 다른 집단보다 긴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와 연계한 학부모교육 강화, 가정 내 디지털 기기 활용 시간을 긍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흥미로운 학습 컨텐츠 개발 등이 그 대안으로 제안되었다. 둘째, 코로나19 시기 교육의 ‘결과’ 측면에서 격차를 살펴본 결과, 학생들은 인지적 성취뿐 아니라 사회, 정서와 같은 비인지적 측면에서도 가정배경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에 FGI 참여자들은 저소득층 학생의 부족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핀셋 지원’이 부족한 점, 기존 교육격차 해소 정책의 모니터링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점 등을 그 원인으로 꼽았다. 이 같은 교육결과의 격차를 해소하고자 학생 맞춤형 교육을 통한 공교육 내 핀셋 지원 제공, 기존 교육격차 정책 간 유기적 통합 및 촘촘한 모니터링 등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최소 기준학력 도달에 미치는 학교수준 영향요인 분석 : 학습조직풍토 요인을 중심으로

        안영은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arning organization climate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reaching the minimum achievement. For analysis, data from 3,936 general high schools and 1,130,477 students in the 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and Survey Data (2014-2016)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were used. For the analysis method, three-level multilayer model was applied. The summary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mathematics showed the highest ratio of under standard levels. In the case of basic level, the percentage of under standard level in high school was higher than that in middle school, especially in English. However, the percentage of under proficient level in high school was lower than that in middle school, except in Korean language. Second, as a result of school-level factor analysis, the teaching-learning training rate and the after-school participation rate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in all subjects of basic and proficient level. Third, the after-school participation rate of each subject was significant for the rate of change over time but the effect is not high.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escribed. 본 연구는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기준학력을 기초, 보통으로 각각 설정하여, 학생의 기준학력 도달에 영향을 주는 학습조직풍토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공하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및 설문자료(2014-2016) 중 일반고 총3,936개교와 학생 총1,130,47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학생-시점-학교의 3수준 다층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 분석 결과, 고등학생의 최소학력은 기초/보통학력 모두 수학에서 가장 높은 미달비율을 나타냈다. 기초학력의 경우, 모든 교과에서 고등학교 시기의 미달비율이 중학교 시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영어 교과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보통학력은 국어교과를 제외하고 모두 고등학교에서 미달비율이 더 적게 나타났다. 둘째, 학습조직풍토 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 연수비율, 각 과목별 방과후 참여율은 모든 교과에서 기준학력 도달 승산 초기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율에 대해서는 과목별 방과후 참여율이 부분적으로 유의하게 정적 효과를 보였으나 그 영향력은 크지 않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연구의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 운영 실태 분석: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안영은,노혜림,이수민,양성관 한국교육개발원 2023 한국교육 Vol.50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eoul during the partial introduction period before its full implementation. The research also aimed to identify any operational difference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igh school credit system-related project and the type of establishment.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A survey was conducted on 2,046 high school students and 626 teachers in Seoul,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tergroup difference verification(t/F/Welch), and cross-validation. In addition, three field teachers were interviewed to provide further insight and interpretation of the findings. Findings/Results: First, the usage of shared campuses was not as high as expected.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teachers varied and did not always align with its intended purpose, which is known as the “policy decoupling phenomenon.” Third, private schools performed better than national and public schools in various aspect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s operation. Lastly, leading schools and research schools had a more stable operation of the system than general schools. Value: This study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pecifically in the Seoul region where a student-tailored curriculum was introduced in all high schools. 본 연구는 서울 고교학점제의 전면 도입을 앞두고 부분적으로 시행된 실태를 분석하고, 고교학점제 관련 사업 운영 여부 및 설립유형에 따른 운영상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일반고 학생 2,046명과 교사 6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데이터를 집단 간 차이검증(t/F/Welch), 교차검증 등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3명의 현장 교사와의 면담을 보완적으로 활용하여 결과를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은 공유캠퍼스에 대한 관심도에 비해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인식한 고교학점제 운영과정을 살펴본 결과, 제도의 운영과 목적 사이에 디커플링(decoupling) 현상이 일부 목도되었다. 셋째, 고교학점제 운영 관련 다양한 항목에서 사립학교가 국공립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학교보다 연구 및 선도학교가 제도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 고교학점제 현황에 대한 상세한 개요를 제시함으로써 특히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측면에서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 KCI등재

        펑샤오강(馮小剛) 영화 <나는 반금련(潘金蓮)이 아니다>에 관한 소고

        안영은 한국중어중문학회 2022 中語中文學 Vol.- No.89

        <나는 반금련이 아니다>는 펑샤오강의 일련의 민간서사 가운데 매우 독특한 풍격을 보여준다. 기존의 민간서사가 개인의 삶과 운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이 영화는 주인공 리쉐롄이 맞닥드린 상황과 처지를 현대중국의 다양한 문제들(주택분배, 산아제한정책, 관료사회 운영체계 문제, 중국민간과 권력계층 간의 갈등)속에 풍자적이고 해학적인 방식으로 드러냄으로써 현대중국 사회의 이면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서사방식의 변화와 발전된 양상을 보여준다. 물론 상업적 부분에 대한 고려도 자연스럽게 수반하고 있다. 예컨대 중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반금련(潘金蓮)이란 이름은 선정(煽情), 흉살(凶殺), 난륜(亂倫), 결혼, 애정 비극 등 지나치게 많은 의미와 상상적 요소를 담고 있기에 제목 자체가 불러오는 소환력 또한 간과할 수는 없다. 펑샤오강은 2016년이란 시대적 조류 속에서 과거 농후했던 상업적 색채를 과감하게 줄이고 사회적 문제들을 새로운 예술적 탐색 과정에 녹여냄으로써 예술가로서의 시대적 책무와 시장화 간에 균형을 유지하면서 또 다른 색채의 펑샤오강 영화를 선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펑샤오강 영화의 서사적 특징과 펑샤오강이 <나는 반금련이 아니다>의 언설방식으로써 선택한 다양한 영상 프레임의 운용을 살펴볼 것이다. 둘째, 리쉐롄 고소사건이 20여 년 전 장이머우(張藝謀)가 제작한 영화 <치우쥐 소송(秋菊惰官司)> 속 서사 및 캐릭터의 발전된 양상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20년 후 리쉐롄 고소사건은 어떻게 시대를 반영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셋째, 리쉐롄 자신이 반금련이 아님을 인정받기 위해 펼쳤던 고소 대장정 과정에서 어떻게 결국엔 반금련이 되었는지를 논의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입학전형 유형에 따른 대졸자의 전공만족도 분석

        안영은,김승정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screening in college admission and major satisfaction. Admission Officer System(AOS) and Regular admission which differ from the operating and evaluation criteria were analyzed in comparison.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used 5,963 cases of『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5』. The data was analyzed with chi-square verification, Ordinally Least Squares(OLS),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for the estimat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AOS were assessed on various factors, and there tended to choose their major considering their interest in majors rather than test scores. Second, graduates with AOS showed relatively high level of major satisfaction in comparison to graduates with regular Admission. Third, the influence of the OLS on both male and fema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sidered the control variables, the basis for the selection of majors(interests/grades) and the school type variables showed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OS has a positive effect on graduate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compared to regular admission.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 selection of students who consider not only their grades but also their interests and aptitude in major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future adaptation to majors and career development. 이 연구는 대학입학전형과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운영 주체와 전형 방법에서 차이를 보이는 정시 일반전형과 입학사정관 전형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대졸자 직업 이동경로조사(GOMS) 2015』의 자료를 활용하여 경향점수매칭법(PSM)으로 입학사정관전형 학생과 정시전형 학생 간 사전 동등성을 확보하고,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전공만족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요 입시요소와 전공선택요인 분석에서 입학사정관 전형 학생들은 정시 일반전형 입학생에 비하여 더 다양한 요소에 의해 평가받는다고 인지하였다. 전공 선택 요인은 시험 성적보다는 전공에 대한 흥미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사례가 많았다. 둘째, 대학입학전형에 따른 전공만족도 분석 결과,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정시전형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전공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성별 집단에 따라 추가 분석하였을 때 남녀 집단 모두 입학사정관제의 영향력은 유의하였으며, 통제변수 중 전공 선택 근거(흥미적성/성적), 학교유형 변수에 있어 남녀 간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입학사정관 전형이 정시 일반전형 대비 졸업자의 전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며, 입학 전형 방법에 따라 학생의 전공 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생 선발 과정에서 성적뿐만 아니라 전공에 대한 흥미와 적성 등 다양한 요소가 고려될 때, 대학 입학 후 학생의 학과 적응 및 진로 개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