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꽃노랑총채벌레 산란에 의한 포도 과피 달무리 반점: 종 특이적 분자진단법을 이용한 종동정과 반점 증상의 형태적 특징

        안승준,조명래,박철홍,강택준,김형환,김동환,양창열,Ahn, Seung-Joon,Cho, Myoung Rae,Park, Cheol Hong,Kang, Taek Jun,Kim, Hyung Hwan,Kim, Dong-Hwan,Yang, Chang Yeol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3

        In grape vineyards, whitish spots in a cloud shape have been often observed on the fruit surface recently. However, the cause of the halo spot symptom was unknown, hindering countermeasures to be properly designed for the control. A small hole in the middle of the formless halo spot remained as a scar formed by oviposition of the thrips. It became later a suberized scab, which is separated from the epidermal cells on the surface either to be retained on or to be detached from it as time proceeds. Such a symptom is distinguished from the feeding damages caused by thrips or true bugs occurring on the grape fruits. With DNA extracted from the egg-shell found in the hole, molecular diagnosis by amplifying an ITS2 region with universal primers and subsequently digesting the PCR product by an restriction enzyme (RsaI) revealed that the egg was laid by Frankliniella occidentalis. In addition, a mitochondrial COI sequence confirmed that the halo spot symptom was formed by its oviposition. This study provides accurate information on the peculiar damage symptom caused by oviposition of F. occidentalis that could be useful in the control strategies for this pest in vineyards. 최근 국내 포도원에서 과실 표면에 구름모양의 흰색 얼룩이 자주 발견되고 있으나, 그 원인에 대해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어 방제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흰색의 달무리 반점은 포도 과실 표면에 부정형으로 퍼져 있으며, 그 중앙에는 총채벌레가 산란할 때 만들어진 작은 구멍의 상처가 남아 있다. 이 상처부위는 시간이 지나면서 코르크화되고 표피세포와 분리되어 딱지로 남거나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러한 증상은 총채벌레의 섭식이나 노린재의 흡즙에 의한 상처와는 구별된다. 산란구멍에서 발견한 총채벌레 알껍질에서 DNA를 추출하여 ITS2 부위의 염기 서열을 PCR-RFLP 방법으로 분자동정을 실시한 결과 꽃노랑총채벌레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토콘드리아 COI 염기서열은 이러한 분자 동정 결과를 재확인하여 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포도 과피에 꽃노랑총채벌레 산란에 의해 유발되는 독특한 피해 증상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포도원에서 이 해충에 대한 방제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초소형 전자칼럼의 제작 및 특성 연구

        안승준,김대욱,김영철,안성준,김영정,김호섭,Ahn S,Kim D. W,Kim Y. C,Ahn S. J,Kim Y. J,Kim H. S 한국재료학회 2004 한국재료학회지 Vol.14 No.3

        An electron beam microcolumn composed of an electron emitter, micro lenses, scan deflector, and focus lenses have been fabricated and tested in the STEM mode. In this paper, we report a technique of precisely aligning the electron lenses by the laser diffraction patterns instead of the conventional alignment method based on aligner and STM. STEM images of a standard Cu-grid were observed using a fabricated microcolumn under both the retarding and accelerating modes.

      • SCOPUSKCI등재

        WSi<sub>2</sub> word-line 및 bit-line용 spacer-Si<sub>3</sub>N<sub>4</sub> 박막의 증착

        안승준,김대욱,김종해,안성준,김영정,김호섭,Ahn S.,Kim D.W.,Kim J.H,Ahn S.J.,Kim Y.J.,Kim H.S. 한국재료학회 2004 한국재료학회지 Vol.14 No.6

        $WSi_2$, $TiSi_2$, $CoSi_2$, and $TaSi_2$ are general silicides used today in semiconductor devices. $WSi_2$ thin films have been proposed, studied and used recently in CMOS technology extensively to reduce sheet resistance of polysilicon and $n^{+}$ region. However, there are several serious problems encountered because $WSi_2$ is oxidized and forms a native oxide layer at the interface between $WSi_2$ and $Si_3$$N_4$. In this study, we have introduced 20 $slm-N_2$ gas from top to bottom of the furnace in order to control native oxide films between $WSi_2$ and $Si_3$$N_4$ film. In resulting SEM photographs, we have observed that the native oxide films at the surface of $WSi_2$ film are removed using the long injector system.

      • SCOPUSKCI등재

        레이저 미세가공 기술을 이용한 초소형 전자빔 장치용 정전장 전자렌즈의 제작

        안승준,김대욱,김호섭,김영정,이용산,Ahn, Seung-Jun,Kim, Dae-Wook,Kim, Ho-Seop,Kim, Yeong-Jeong,Lee, Yong-San 한국재료학회 2001 한국재료학회지 Vol.11 No.9

        For electron beam lithography and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pplications, miniaturized electrostatic lenses called a microcolumn have been fabricated. In this paper, we report the fabrication technique for 20~30$\mu\textrm{m}$ apertures of electron lenses based on silicon and Mo membrane using an active Q-switched Nd:YAG laser. Experimental conditions of laser micromachining for silicon and Mo membrane are improved. The geometrical structures, such as the diameter and the preciseness of the micron-size aperture are dependent upon the total energy of the laser pulse train, laser pulse width, and the diameter of laser spot.

      • KCI등재
      • KCI등재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분자동정법 개발 및 복숭아와 자두에서의 발생차이

        안승준,최경희,강택준,김형환,김동환,조명래,양창열,Ahn, Seung-Joon,Choi, Kyung-Hee,Kang, Taek Jun,Kim, Hyung Hwan,Kim, Dong-Hwan,Cho, Myoung Rae,Yang, Chang Yeol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4

        The plume fruit moth, Grapholita dimorpha Komai, a fruit tree pest occurring in the northeast Asia, was firstly reported to infest apple in Korea in 2009, but its direct damage to other fruit trees has been poorly studi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hoots and fruits of both peach and plum trees and compared their damage rates by G. dimorpha to those by G. molesta, a congeneric species. In order to discriminate the two moth species, we developed a molecular diagnosis method using species-specific primer sets on different PCR conditions and distinguished the two species collected from the damaged shoots or fruits. The shoots and fruits of peach were infested mostly by G. molesta. However, in plums, the shoots were damaged by G. molesta and the fruits mostly by G. dimorpha. In addition, these two species showed a clear difference in host preference in fruit damage, where 92.5% of the Grapholita moths collected in peach fruits were identified as G. molesta, but 97.0% of the moths in plum fruits were G. dimorpha. The difference of the damage between the two fruit trees may give important information for monitoring of the two moth species in these orchards. 복숭아순나방붙이(Grapholita dimorpha Komai)는 동북아시아에 주로 발생하는 과수 해충으로, 국내에서는 2009년에 사과에 피해를 준다는 것이 보고되었으나, 그 이외의 과수에서는 직접적인 피해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핵과류인 복숭아와 자두를 대상으로 복숭아 순나방류의 피해로 보이는 피해순과 피해과를 채집하여, 복숭아순나방붙이와 그 유사종인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ck)의 피해율을 비교 조사하였다. 두 유사종의 정확한 구별을 위해 우선 종 특이적 프라이머와 PCR 반응조건을 이용한 분자동정법을 개발하였다. 복숭아와 자두의 신초와 과실을 가해하는 종을 야외에서 채집하여 분자동정법으로 확인한 결과, 복숭아의 신초와 과실은 거의 모두 복숭아순나방이 가해하였으며, 자두는 신초의 경우 복숭아순나방이, 과실의 경우 복숭아순나방붙이가 주로 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복숭아와 자두에서 조사한 신초는 모두(100%) 복숭아순나방에 의해 피해를 받았으나, 복숭아 과실은 대부분(92.5%) 복숭아순나방이, 자두 과실은 대부분(97.0%) 복숭아순나방붙이가 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복숭아순나방붙이가 복숭아 보다는 자두 과실에 주로 피해를 준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히 자두나무에서도 신초와 과실에 따라 각기 다른 종이 피해를 준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렇게, 기주식물에 따라 두 유사종의 가해특성이 다른 것은 복숭아와 자두과원에서 두 종의 발생을 예찰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후보

        『월인천강지곡』의 부안 실상사 소장 경위와 그 전래 과정

        안승준(Ahn, Seung-jun),유학영(Yu, Hak-yo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장서각 Vol.0 No.32

        사찰에 소장되었던 고서는 그 출처와 소장내력을 잘 알지 못하는 것들이 많다. 월인천강지곡 또한 마찬가지이다. 필자는 평소 사찰 문헌이 원래의 소장처와 그 전래 경위가 밝혀지지 않은 것에 대해 많은 의문을 품어왔다. 이 글에서는 『월인천강지곡』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탁을 계기로 본 도서의 이동 경로 및 그 원인과 배경을 구명하였다. “세종대왕이 지은 歌詞 월인천강지곡이 어떻게 외진 전라도 변산반도의 실상사에 보관되어 있었는가? 실상사와 월인천강지곡, 그리고 효령대군과는 어떠한 因果가 있었는가?”라는 근본적 물음에서부터 동학농민전쟁, 일제강점기, 6·25전쟁이라는 근대사 전개과정에서 월인천강지곡의 소장 경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요컨대 이 글은 월인천강지곡이란 책자가 1462~1466년 실상사 奉安된 이후 1960~1970년대까지 약 500년간 역사적 공간을 추적해 그 傳存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15세기 중엽 효령대군에 의해 부안 실상사에 월인천강지곡이 佛腹藏됨 20세기 초, 1462년과 1466년에 작성된 실상사 三尊佛 조성을 위한 普勸詞(勸善文) 2건과 실상사 중창 發願文 1건이 발굴되었다. 이 3건의 고문서를 통해 효령대군에 의해 실상사 삼존불이 조성되었고, 4년 뒤에 실상사가 중창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삼존불 조상과 사찰의 重建을 계기로 월인천강지곡이 효령대군에 의해 佛腹藏되었다. 실상사에 월인천강지곡이 소장된 것은 이 절이 바로 세조의 願堂으로서 사회·경제적 위상이 높았기 때문이었다. ② 19세기 말 동학농민이 실상사 불상을 파괴하면서 월인천강지곡이 세상에 나오게 됨 1894년 동학농민들은 실상사 부처의 몸에 금은보화가 숨겨져 있다는 말을 믿고 불상을 파괴하였다. 이때 금은보화는 발견되지 않고 다수의 고서와 고문서가 불복장속에서 쏟아져 나왔다. 이때 월인천강지곡이 세상에 나왔으나 이를 알아보는 사람은 없었다. ③ 1914년 白鶴鳴 스님이 부안 實相寺 불복장에서 월인천강지곡을 발견함 1914년 봄, 부안 來蘇寺에서 20리 거리에 있는 실상사의 법당이 퇴락하고 本尊佛도 더 이상 수리할 수 없게 되자 당시 내소사 주지였던 백학명 스님이 불상의 腹中에 봉안된 월인천강지곡 상권 1책을 발견하였다. ④ 1918년 鞠?潭 스님 인수함 1918년 10월, 국묵담(1896~1981) 스님이 내소사에서 당시의 실상사 주지 金性連스님에게서 ‘월인천강지곡 상’을 인수해 왔다. 이후 국묵담 스님의 주석처를 따라 백양사 청류암, 담양 용화사에서 보관, 관리하였다. ⑤ 1961년 光州遞信廳 陳錤洪 청장 인수함 1961년 1월 23일, 국묵담 스님이 「월인천강지곡을 陳遞信廳長님께 드리는 말씀」이라는 서한과 함께 월인천강지곡을 당시 광주체신청 청장이었던 진기홍 씨에게 인계하였다. 1963년 9월 2일, 문화재청은 진기홍 씨가 소장하던 월인천강지곡을 보물 제398호로 지정하였다. ⑥ 1972년 大韓敎科書 주식회사 金光洙 사장 인수함 1972년 7월 21일, 대한교과서 주식회사(현 ㈜미래엔) 김광수 사장이 진기홍 청장으로부터 월인천강지곡을 인수하여 회사에서 收藏하였다. ⑦ 2013년 韓國學中央硏究院 藏書閣에서 위탁 관리함 ㈜미래엔에서 월인천강지곡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寄託, 2013년 6월 26일 기탁식을 거행하였다. 이때 (주)미래엔 김영진 사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정길 원장 등이 참석하였고, 이때부터 장서각이 관리의 주체가 되었다. Many old books stored in temples are without reliable source of their origin and sequence of possession, including Weolincheongangjigok. The author has been interested in the origin of temple books and started a research taking the opportunity that the book is deposited in Jangseogak librar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is article traces the original place where the book was stored and the sequence of possession including background. How the book written by King Sejong was stored in the remote place of Silsangsa temple in Byeonsanbando peninsula in Jeollado province? How Silsangsa temple, the book, and Prince Hyoryeong were related? How the book was handed down through Donghak peasant revolutio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Korean war? This article tracks the historical space of the book’s existence from 1462-1466 when it was stored in Silsangsa temple to 1960-70, covering about 500 years. The findings are as follow. ① In mid 15th century, it was stored inside of a buddha statue in Silsangsa temple, Buan, by prince Hyoryeong. 2 articles 普勸詞 (勸善文) written in 1462 and 1466 encouraging donation to build triple buddha 三尊佛 in Silsangsa temple and an article 發願文 for rebuilding the temple were found in early 20th century. The three documents confirmed that the triple buddha in Silsangsa was built by prince Hyoryeong and the temple was rebuilt 4 years later. At the time the book was stored inside the buddha. Silsangsa was a prestigious temple 願堂 dedicated for the heavenly peace of King Sejo. ② In 1894 Donghak devotees destroyed the buddha to find gold and silver treasures inside the buddha believing in a rumour. Instead, old books and documents came out. However no one paid attention to the book, Weolincheongangjigok, among them. ③ In the spring of 1914, monk Hakmyeong Baek 白鶴鳴 who was in charge of Naesosa 來蘇寺 temple, about 20-ri (8km) away from Silsangsa temple, discovered volume 1 of the book inside a buddha in Silsangsa, Buan. At the time the building and buddha in Silsangsa were decayed and impossible to repair. ④ In 1918, monk Gukmukdam 鞠?潭 (1896~1981) took over the volume 1 from the chief monk 金性連 of Silsangsa at the time. Monk Gukmukdam stored and maintained the book in his residences of Cheongryuam in Baekyangsa temple and Yonghwasa temple, Damyang. ⑤ On January 23rd, 1961, monk Gukmukdam hand over the book to Gihong Jin 陳錤洪, chief officer of Gwangju Regional Communication Office 光州遞信廳, with an accompanying letter words (a letter) sending a book, Weolincheongangjigok, to chief officer Jin of Gwangju Regional Communication Office. The book possessed by Jin was designated as treasure no. 398 b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⑥ On July 21st, 1972, Gwangsu Kim 金光洙, c.e.o. of Daehangyogwaseo Korea textbook 大韓敎科書 company (later Mirae N) took over the book and stored in the company. ⑦ On June 26, 2013, Mirae N Co., Ltd. deposited the book to Jangseogak library and hold a ceremony with the presence of c.e.o. Yeongjin Kim of Mirae N. and president Jeonggil Jeong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From then on, Jangseogak maintains the book.

      • KCI등재

        공정 원가 통합 관리를 위한 BIM 기반 객체지향형 공정 모델링

        안승준(Ahn Seung-Jun),이현수(Lee Hyun-Soo),박문서(Park Moon-Seo),김우영(Kim Woo-Young) 대한건축학회 2009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5 No.12

        Initially emerging as an extremely promising technology,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is now expected to significantly improve productivity in every aspec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is paper proposes a methodology in which construction operations are modeled through Object-Oriented Modeling technique. Construction Task Objects(CTO) are created, based on building component objects which has been formed in BIM modeler. CTOs are designed to work as blocks to be collected to form a higher level in construction hierarchy - Construction Process Objects(CPO). With the process object, Schedule-cost integration can be achieved because process objects possess both schedule related data and cost related data in parametric way. To verify the concept, it has been implemented in JAVA development environment which is known well as a toolkit to model things in object-oriented approach. With the test of application in JAVA,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ess model in terms of convenience and integration is proved. Lastly, a case study i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uggested system. It demonstrates that the system generates process objects automatically by algorithms developed to implement object-based planning and management of construction projects.

      • KCI등재후보

        Monte Carlo 수치해석법을 이용한 PMMA resist에서의 저 에너지 전자빔 투과 깊이에 관한 연구

        안승준(Ahn Seung-Joon),안성준(Ahn Seong-Joon),김호섭(Kim, Ho-Seob)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8 No.4

        반도체 소자 제작에 있어서 회로의 pattern 형성에 이용하는 차세대 lithography 공정 기술을 위해서 전자빔 lithography 공정 기술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auss 해석법과 Monte Carlo의 수치해석법을 사용하여 두께 100 ㎚의 PMMA -(poly-methyl-methacrlatc) resist에 전자 1×10⁴개를 입사시키고, 입사 전자빔 에너지에 따른 PMMA 내에서의 투과 깊이를 비교하였다. 전자빔 에너지의 크기는 100eV, 300eV, 500eV, 700eV, 그리고 1000eV에 대하여 simulation을 실시하였다. There has been steady effort for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beam lithography technologies for the circuit patterning of the future semiconductor devices. In this study, we have performed a Monte-Carlo simulation where 1×10⁴ electrons with various kinetic energies (100eV, 300eV, 500eV, 700eV, and 1000eV) were shot into polymethyl methacrylate(PMMA) resist of 100-㎚ thickness. The penetration depth of each electron beam in the resist layer were analyzed using Gaussian analysis metho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