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기도 브랜드 및 경기도정 홍보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

        안병도,황상민,김지연,김도환,유상원,한상아,김정숙 경기연구원 2009 위탁연구 Vol.2009 No.12

        경기도는 경기도를 미래의 ‘동북아의 경제 허브(hub)’, ‘남북교류협력과 통일기지’로 육성한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이런 야심찬 비전에도 불구하고 경기도를 바라보는 일각에서는 경기도의 정체성 모호함과 미래 발전 방향의 불확실함에 대해서 우려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다면 현재의 경기도의 정체성은 무엇이고, 경기도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경기도는 어떤 의미인가? 정체성은 현실의 모습을 바탕으로 인식하는 자신의 모습이다. 즉, 경기도의 브랜드와 정체성은 결국 경기도민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경기도민이 경기도에 대한 생각과 경기도에 산다는 것의 의미가 결국 경기도의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정체성은 무엇으로 드러나는가? 경기도의 정체성이 뚜렷하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자신이 사는 지역에 대해서 자랑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을 때 정체성이 긍정적인 의미에서 명확해지고, 그것이 다른 지역과 차별화될 수 있을 때 그 지역만의 브랜드가 만들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민이 현실적으로 인식하는 경기도의 모습과 이상적으로 원하는 모습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그들이 보는 경기도의 현재의 모습은 무엇이고, 그것은 어떤 의미인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후 경기도가 이상적이고 경기도에 산다는 것이 자랑스럽게 느껴질 수 있는 변화의 결정적 지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였다. 경기도의 정체성과 브랜드에 관한 논의는 현재의 경기도 모습을 확인하고, 사람들이 원하는 이상적인 경기도의 모습을 확인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들이 살고 있는 경기도의 현실적 모습과 이상적 모습이 그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알 수 있을 때, 경기도의 정체성과 브랜드에 관한 논의와 더불어 경기도를 이끌어나가는 경기도의 도정 방향이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의 정체성과 브랜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우리 연구팀은 경기도 자체가 스스로 독특한 매력이나 제대로 내세울만한 대표적인 브랜드가 부재(不在)하며, 경기도의 독자적 정체성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음을 알았다. 그리고 공무원의 사고의 획기적인 변화가 경기도 정체성과 브랜드 수립의 이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전략적 변화의 지점임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민이 느끼는 경기도의 현재의 모습과 이상적인 모습을 확인함으로써, 경기도가 경기도민에게 어떤 이미지로 인식이 되고 있으며, 경기도의 브랜드와 향후 도정 방향은 어떻게 되어야 할지를 심리학적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Gyeonggi-do is presenting the vision of fostering Gyeonggi-do into the ‘Economic Hub of Northasia’ and the ‘Base for Exchange Cooperation and Unification of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 of the future. In spite of such ambitious vision, some sectors of Korea are concerned about the ambiguity of identity and uncertainty in the direction off future growth of Gyeonggi-do. What is the identity of Gyeonggi-do and what is the significance of Gyeonggi-do to the residents of Gyeonggi-do? Even though the provincial government of Gyeonggi-do presents various visions for the province, the ultimate principal that accepts and acknowledges such vision is the residents of Gyeonggi-do. In other words, the identity of Gyeonggi-do is established by the residents of Gyeonggi-do who accepts the visions presented by the leaders or the public servants that govern the province, rather than by such leaders or the public servants. The identity and significance that the residents of Gyeonggi-do have on Gyeonggi-do ultimately illustrate what Gyeonggi-do really is, because identity is the image of oneself recognized on the basis of the current image rather than on the basis of the goal or ideology to be pursued in the future. Our research team,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identity and brand of Gyeonggi-do, realized that Gyeonggi-do in itself lacks characteristic attraction or representative brand that can be put forward, and we are confronted with the difficult situation in finding the unique identity of Gyeonggi-do.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verify the identity of Gyeonggi-do currently embedded in the minds of the residents of Gyeonggi-do, and to verify the ideal image of Gyeonggi-do that the residents desire. When we can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realistic and ideal image of Gyeonggi-do that they are currently living in, we can understand what the residents of Gyeonggi-do wants and, moreover, establish the direction of provincial affairs of Gyeonggi-do. In this research, we are aiming to discuss the image of Gyeonggi-do that its residents acknowledge and what the brand of and direction for provincial affairs of Gyeonggi-do ought to be from psychological perspective by verifying the current and ideal image of Gyeonggi-do that its residents have.

      • 경기도 주요 도정시책 효과에 대한 31개 시군별 여론조사

        안병도 경기연구원 2010 정책연구 Vol.2010 No.2

        경기도는 31개 시군에 도비 직접사업, 도비 보조사업으로 4조 8560억여원의 경상이전예산(2008년 기준)을 시행하고 있으나 경기불황의 여파로 세수가 감소하여 2010년 예산은 긴축예산구조로 시행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서 도비직접사업 및 도비보조사업의 경우도 우선순위를 정하여 시행하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서 31개 시군을 통해 지원하고 있는 도비지원사업들에 대한 타당성과 정책효과를 측정하는 적실성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 향후 정책에 시의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자료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경기도의 31개 시군이며 시간적 범위는 2008년 1월부터 12월 사이의 1년간 회계연도이며 분석대상은 해당시군에 해당기간 동안 실시된 도비 지원사업이다. 본 연구는 FGI를 통한 지역이슈 발견과, 2008년 투입된 도비투자시책들에 대한 만족도조사라는 두 개의 축으로 구성되었다. 2009년 11월중 실시된 FGI 조사를 통하여 31개 시군의 지역이슈에 대한 쟁점을 발견하고 쟁점들에 대한 지역민의 여론을 조사한 결과가 3장에 소개되고 있다. 그와 함께 9개분야 26개부문 50개 시책들에 대한 31개 시군 도민들의 인지도 과정만족도, 성과만족도에 의한 만족도 측정을 시도하고 체계화된 분석 평가틀에 의해 사업의 우선순위를 가늠할 수 있는 IPA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첫째 시군별로 동일한 사업에 대한 효용성이 서로 다르며 그 가장 큰 요인은 동 사업에 대한 인지도의 격차라는 점이다. 둘째 도비투자 사업중 문화관광분야, 교육분야등 소프트웨어 지원분야의 시책들이 산업육성, 지역개발, 교통수송등 하드웨어 지원분야의 시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개발 교통수송 산업육성등의 하드웨어 지원시책들은 그 시책효과가 장기적으로 광범위하게 전파된다는 측면에서 단순한 시책만족도를 넘어서는 시책효과 해석이 필요하다. 셋째 31개 시군별로 도비시책 효용성의 상대적 우선순위는 시군별 시책집행 과정에 적극 활용되어야 한다. 유지강화 영역에 포함된 시책들과 중점개선 영역의 시책들에서 우선 투자순위가 정해져야 할 것이며 현수준 유지영역 및 점진개선 영역은 무엇보다도 시책홍보에 우선해야 한다. 넷째 31개 시군중 도비투자 사업효과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시군에 대해서는 차기년도 사업비 배정의 인센티브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시군별로 과도한 격차를 보이고 있는 도비사업규모와 도민 일인당 투자규모가 조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본연구의 FGI 조사에서 제기된 지역이슈와 도정사업간의 괴리극복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며 본연구가 매년 지속적으로 시행되어, 그 축적된 자료를 제도적 장치의 일환으로 사용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40세 이상 한국 성인에서 목둘레와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 및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안병도,박준리 대한가정의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2 No.3

        연구배경: 본 연구는 목둘레와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관련성을밝히고 한국인에서 대사증후군을 선별하는 데 있어서 적절한 목둘레의 기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국민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 자료를 이용하여, 총 4,208명의 4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목둘레와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 임상지표들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시행하였다.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분석을 시행하여대사증후군을 선별하는 적절한 목둘레의 기준점을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목둘레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허리둘레, BMI, 이완기 혈압,공복 혈당, 공복 인슐린, 당화혈색소, 중성지방과 양의 상관관계를보였다. 목둘레는 남성에서 비-고밀도 콜레스테롤, 여성에서 수축기혈압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남성과 여성에서 고밀도 콜레스테롤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사증후군을 선별하는 목둘레 기준점은 남성 38.0 cm, 여성 33.0 cm이 적절하며, 이를 기준으로 하여목둘레가 긴 그룹은 짧은 그룹에 비해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고혈압(남성 1.780, 95% confidence interval [CI] 1.352–2.344; 여성 1.690,95% CI 1.330–2.147), 당뇨병(남성 1.470, 95% CI 1.068–2.021; 여성2.078, 95% CI 1.522–2.836), 이상지질혈증(남성 1.888, 95% CI 1.432–2.490; 여성 1.712, 95% CI 1.345–2.180), 대사증후군(남성 2.390, 95%CI 1.888–3.026; 여성 2.919, 95% CI 2.269–3.757)의 교차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목둘레는 한국인에서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들과 관련이 있으며 대사증후군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지표이다. Background: We aim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neck circumference (NC)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to propose an optimal cut-offvalue of NC for the screening of metabolic syndrome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From the database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 we extracted the data of 4,208 participants withavailable relevant clinical information.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NC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analysis was used to obtain a cut-off value of NC for the screening of metabolic syndrome. Results: NC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aist circumference, body mass index, diastolic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sugar, fasting insulin,HbA1c, and triglyceride levels in both male and female. 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on-HDL cholesterol in men, systolic blood pressure inwome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DL cholesterol in both sexes. The optimal cut-off value for screening metabolic syndrome was 38.0 cm inmen and 33.0 cm in women. The odds ratio of the “longer NC”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hypertension (male 1.780, 95% CI 1.352–2.344;female 1.690, 95% CI 1.330–2.147), diabetes (male 1.470, 95% CI 1.068–2.021; female 2.078, 95% CI 1.552–2.836), dyslipidemia (male 1.888, 95% CI1.432–2.490; female 1.712, 95% CI 1.345–2.180), and metabolic syndrome (male 2.390, 95% CI 1.888–3.026; female 2.919, 95% CI 2.269–3.757). Conclusion: NC correlated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can be used to predict metabolic syndrome in the Korean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