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95년 이즈모(出雲)에 묻힌 표류민 김옥복 시신의 송환에 관한 고찰

        안대수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6 일본학연구 Vol.48 No.-

        본고는 1695년 1월 23일 이즈모(出雲) 간도군(神門郡) 사기우라(鷺浦)에 표착시 사망한 김옥복(金玉福)의 유해가 함께 표착한 일행과 더불어 조선에 돌아오지 못하고, 약 1년 8개월 뒤인 1696년 9월 18일에서야 송환된 사건에 대해 검토한 것으로 크게 네 단락으로 나누어 김옥복 시신 송환과정을 분석하였다. 첫째 ‘조선에 송환된 표류민 사망자’ 에서는 1695년 1월 23일 이전 일본에 표착한 조선인 중 사망자가 발생한 삼척표류민(사망자 : 최남[崔男])과 경주・장기표류민(사망자 : 이귀산[李貴山])의 송환과정을 분석하여 생존자와 사망자가 함께 조선에 송환된 경과를 알 수 있었고, 둘째 ‘일본에 매장된 조선인 표류민’ 에서는 김옥복의 일행이자 울진표류민 생존자 6명이 조선으로 귀환한 내용을 바탕으로 김옥복이 표류하게 된 동기, 사망원인, 시신이 일본에 매장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조선에 송환된 김옥복의 유해’ 에서는 시신송환방법을 둘러싼 대마번(対馬藩)과 조선측간의 의견차이, 김옥복의 유해가 일본에서 조선(왜관[和館])에 도착하기까지의 과정이 드러났고, 넷째 ‘김옥복 송환사자 접대’ 에서는 시신을 송환한 유타니 야스케(柚谷弥助)일행의 접대문제로 조선측이 고전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On 23 January 1695, Kim Ok-Bok who was an inhabitant of Uljin died when he was cast ashore of Sagiura(鷺浦) of Izumo(出雲). He was supposed to be sent back to Joseon with a group of survivors in accordance with the custom but he was buried at the place he died. This was contrary to examples that all survivors and a diseased person were sent back to Joseon such as a fishermen of Sam-Cheok who was cast ashore of Iwami(石見) (the deceased : Nam Choi) and a fishermen of Gyeong-Ju・Jang-Gi who was cast ashore of Nagato(長門) (The deceased : Gui-San Lee). Joseon requested to send the corpse of Kim Ok-Bok by the method of Zunbu (順付) because Ozaki Kinzaemon(尾崎近左衛門) already sent back the survivors from Uljin. However, Tsushima domain persisted in its opinion to send an envoy when it sent back the corpse because the corpse was buried in Japan and would be sent back to Joseon with the approval of Bakuhu(幕府). At last, Tsushima domain sent an envoy led by Yutani Yasuke(柚谷弥助) to send back the corpse of Kim Ok-Bok.Joseon and Japan had friction in the matter of offering hospitality to the envoy. At first, Joseon did not plan to offer hospitality and planed to offer only Tokairōmai(渡海粮米) to the envoy led by Yutani Yasuke(柚谷弥助). However, Joseon decided to offer hospitality to the envoy and offer Tokairōmai (渡海粮米) as the same amount as a small ship to people on a ship that carried the corpse of Kim Ok-Bok because of the persistent request of Tsushima domain. It could be inferred that Tsushima domain sent an envoy instead of using the method of Zunbu (順付) in order to make a profit by appealing that the matter was closely related to Bakuhu(幕府). Therefore,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he corpse was carried in a big ship to receive more amount of Tokairōmai (渡海粮米).

      • KCI등재

        1703년 조선인 왜관 난입 사건에 관한 고찰

        안대수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1 일본학연구 Vol.64 No.-

        1703년 2월 5일 대마도로 향하던 문위행 가선이 파선하여 전원이 목숨을 잃는 끔찍한 해난 사고가 일어났다. 동년 2월 16일 문위행의 유족 150여명이 익사자 송환을 둘러싸고 왜관에 난입하여 일본인을 폭행하는 전대미문의 사건이 발생하자 관수는 쓰시마번에 급히 이 사실을 알리고, 통사 한 명도 수혈받는다. 조선은 유족의 왜관 난입을 막지 못한 동래부사를 파직하고, 동래부 역관들을 의금부에 잡아 가둔다. 동년 3월 30일 익사자의 위령제가 열리지만 문위행의 유족들은 이 사건이 원인이 되어 참석할 수 없었고, 그해 말 왜관에 난입한 자를 사형에 처하는 법령이 처음으로 제정된다. 본고는 조선인 왜관 난입 사건의 계기로 금령(禁令)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을 면밀히 살펴보았고, 또한 최상집이 이 사건을 통하여 어떻게 왜관에서 확고한 자리매김을 하여 훗날 거물급 역관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되는지 그 단초를 제시하였다. A tragic marine accident occurred to Munwihaeng who were heading towards Tsushima domain on 05 February 1703. Their ship was wrecked and everyone on the ship lost their lives. About 150 Munwihaeng’s bereaved families trespassed on Japan House and attacked Japanese people on 16 Febuary 1703. It was because the repatriation of the drowned body was delayed. The Captain of Waegwan urgently reported this unprecedented event to Tsushima domain and also asked to send a Korean interpreter. The ruler of Joseon dismissed Dongraebusa from his job because Dongraebusa could not prevent the bereaved families’ trespassing on Japan House. The ruler also imprisoned Tongnae-bu’s Yeok-Kwan (Tongnae-bu’s interpreters) at Euikumbu. A memorial ceremony for the drowned people was held on 30 March 1703 but Munwihaeng’s bereaved families could not attend the ceremony because of the trespassing event. Also, a law on punishing a person who trespassed on Japan House with death was enacted for the first time in December 1703. This study examined thoroughly the process of making the prohibition because of the event of Joseon people’s trespassing on Japan House.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ed a clue on how Yeok-Kwan Sang-Jip Choi consolidated his position at Japan House through this event and grew up as an important Yeok-Kwan.

      • KCI등재

        『金令記』와 『宝暦物語』의 비교

        안대수 한국일어일문학회 2010 日語日文學硏究 Vol.73 No.2

        1764年、癸未通信使は帰路、都訓導崔天宗が大坂本願寺で殺害されるという、前代未聞の事件が発生した。正使趙曮のねばり強い努力などのため、犯行11日ぶりに逮捕された鈴木伝蔵は刑場の露と消え、この大坂で起きた歴史的事件をテーマとして『金令記』ㆍ『宝暦物語』を初め、多くの作品が作られるようになった。『金令記』と『宝暦物語』は、両方とも鈴木伝蔵を悪人で、崔天宗を善人として見るという共通点をもつのであるが、対朝鮮観には少し差がある。『金令記』が朝鮮に対し一貫して中立的な立場を固守しているのに対して、『宝暦物語』は、朝鮮蔑視の内容が多数現われ、さらに内容的な面でも『金令記』よりずっと創作的な要素が加味されている。両作品の既述態度を、対馬、壱岐、藍島、室津、大坂、江戸ㆍ浜松、大坂本願寺崔天宗殺害事件、鈴木伝蔵捕縛と処刑の場面における『金令記』と『宝暦物語』の叙述を具体的に比較し、全体としては、『金令記』の叙述に説明不足のところがあり、また、文脈が理解しにくいところがあるのに対して、『宝暦物語』は、文脈が自然で、理解しやすく、また、生き生きとした描写になっていること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これらの違いが、成立の先後を決定するのに十分な証拠となるかについては、なお考究の余地があるにしても、一応の示唆は与えてくれるかも知れない。特に、対朝鮮に対して蔑視を表面に出さず、比較的中立的である『金令記』と、朝鮮蔑視の発言がやや目に立つ『宝暦物語』の叙述は、両作品成立の背景を考察するのに示唆を与えるものであろう。演劇世界では鈴木伝蔵が善人に変わり、悪人である崔天宗を戒めるストーリーに変るようになっている。その代表的な作品が『漢人韓文手管始』である。今まで言及されることのなかった『金令記』は、従来良く扱われてきた『宝暦物語』にまさるとも劣らない実録として、確固とした位置を占めている実録として、今後さらに考察が進められていかなければならない作品であ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