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내 복합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티빙 사례를 중심으로

        안다은,정수아,윤미령,구연경,정영욱,An, Da-Eun,Jung, Soo-Ah,Youn, Mi-Ryoung,Ku, Yeon-Kyung,Jung, Young-Wook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3

        코로나 19 확산 이후 OTT시장이 급성장했고 그 결과 OTT플랫폼 시장의 경쟁이 심화 되었다. 그중 티빙은 타 서비스와의 차별화를 위해 복합적인 형태의 미디어 상거래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 하고 있다. 서로 다른 성격의 서비스를 하나의 앱에서 제공할 때 그에 적합한 사용성을 제공하지 않으면 오히려 사용자 경험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성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티빙 앱의 사용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진 두 가지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할 때 고려해야 할 사용자 경험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용성 평가에 대한 분석은 ISO에서 제시하는 사용성 평가의 분석 항목을 기준으로 효과, 효율, 만족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사용자들은 서비스 간의 연결성, 쉬운 탐색, 통일성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디자인, 정보와 주제 간의 연관성이 서로 다른 성격의 서비스를 하나의 앱에 제공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디자인 요소로 발견되었다. 이 디자인 고려사항은 티빙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서비스를 하나의 앱에서 제공하는 상황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fter the spread of COVID-19, the OTT market has grown rapidly. Accordingly, competition of OTT platforms has intensified. Among them, TVing provides users distinct characteristics of service, such as media and commerce, to differentiate it from other platforms. It is important to offer appropriate usability when proving combined service in one mobile application. Otherwise, it can adversely affect the user experience.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conducted usability testing of TVing and found out what user experience should be considered when integrat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ervice in one mobile application. Through the usability testing, we measured and analyzed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ISO usability testing guidelines. As a result, three important considerations of UX design for mobile application of combined services were found; 1) connectivity between services, 2) easy navigation, 3) consistent UI design, and 4) relations between subjects and provided information. This design consideration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not only to TVing mobile application, but also to the situation where composed services are provided in one application.

      • KCI등재

        대학 캠퍼스 내 물리적환경이 학생들의 보행행태와 외부활동에 미치는 영향 - 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안다은,이경환 한국도시설계학회 202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GPS 데이터를 활용하여 캠퍼스 내 학생들의 실제 보행행태 및 외부활동 특성을파악하고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보행친화적인 캠퍼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계획방향과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보행GPS 데이터를 수집하고 대학캠퍼스의 물리적 환경과 학생들의 보행행태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보행 GPS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숙사생의 보행통행이 통학생보다 약 1.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통행빈도가 높은 가로를 살펴 본 결과, 가로의 활력수준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캠퍼스 내 외부활동은 주로 사회적 활동이 관찰되었는데, 보행 및 휴게공간이 확보되어 있을수록 더 많은 사회적활동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캠퍼스 내에서 다양한 외부활동이 나타날 수 있도록 보행공간 및 휴게공간을 조성하고 가로공간의 활력수준을 높이는 계획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destrian behavi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activity on the university campus. We utilized GPS surveys to identify the physical traits of the campus environment that affect pedestrian behavior and the activities of students.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walking GPS data from the students’ smartphones to examin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ampus on students’ walking behavior.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streets with high pedestrian frequency and external activities was analyzed. Through this, the direction for planning and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a pedestrian-friendly campus environment were derived. Analysis of student GPS data showed that students living on campus walked an average of 1.6 times more per day than commuting students. Because the daily life of dormitory students focused primarily on the campus, the elements of campus design involv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pedestrian pathways, and the use of dormitory living space were the focus of the study. Social activity was also observed. After examining the streets characterized by high-frequency student use, we found that the streets with the highest level of vitality were preferred. We, therefore,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to create variety activities on campus, that campus design must consider more lively and safe pedestrian environments, and that this can be accomplished by increasing the level of vitality in the street space.

      • KCI등재

        대학 캠퍼스 내 물리적환경이 학생들의 보행행태와 외부활동에 미치는 영향 - 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안다은(Ahn, Da-Eun),이경환(Lee, Kyung-Hwan) 한국도시설계학회 202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GPS 데이터를 활용하여 캠퍼스 내 학생들의 실제 보행행태 및 외부활동 특성을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보행친화적인 캠퍼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계획방향과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보행 GPS 데이터를 수집하고 대학캠퍼스의 물리적 환경과 학생들의 보행행태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보행 GPS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숙사생의 보행통행이 통학생보다 약 1.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통행빈도가 높은 가로를 살펴 본 결과, 가로의 활력수준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캠퍼스 내 외부활동은 주로 사회적 활동이 관찰되었는데, 보행 및 휴게공간이 확보되어 있을수록 더 많은 사회적 활동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캠퍼스 내에서 다양한 외부활동이 나타날 수 있도록 보행공간 및 휴게공간을 조성하고 가로공간의 활력수준을 높이는 계획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destrian behavi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activity on the university campus. We utilized GPS surveys to identify the physical traits of the campus environment that affect pedestrian behavior and the activities of students.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walking GPS data from the students’ smartphones to examin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ampus on students’ walking behavior.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streets with high pedestrian frequency and external activities was analyzed. Through this, the direction for planning and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a pedestrian-friendly campus environment were derived. Analysis of student GPS data showed that students living on campus walked an average of 1.6 times more per day than commuting students. Because the daily life of dormitory students focused primarily on the campus, the elements of campus design involv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pedestrian pathways, and the use of dormitory living space were the focus of the study. Social activity was also observed. After examining the streets characterized by high-frequency student use, we found that the streets with the highest level of vitality were preferred. We, therefore,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to create variety activities on campus, that campus design must consider more lively and safe pedestrian environments, and that this can be accomplished by increasing the level of vitality in the street space.

      •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따른 유·초 연계 질적 연구 : 유아 교사와 초등 교사의 인식

        안다은, 성유경, 이규희, 윤새연 국립공주대학교 교직부 2021 공주대학교 예비교사 교육연구 Vol.1 No.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개편에 따라 유ㆍ초 연계에 대한 유아 교사와 초등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질적 면담 연구이다. 연구 문제를 유아 교사와 초등 교사는 유ㆍ초 연계 현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서로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은 어떠한지, 2019 개정 누리과정 개편에 따른 교육현장이 어떻게 변화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로 설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이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연구 참여자 모두 유ㆍ초 연계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지만, 교육현장에서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그 이유를 유아 교사는 교육과정과 유ㆍ초 연계에 대한 두 교사의 관심 차이로 보았으며, 초등교사는 그들이 유아 교육과 초등 교육이 분리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데에서 문제가 발생한다고 생각했다. 둘째, 유아 교사는 관심의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방법을 통해 초등 교육과정을 접하고 있었다. 그리고 초등교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유아 중심, 놀이 중심이라는 정도는 알고 있었지만, 이것조차 모르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셋째, 대부분 연구 참여자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따라 초등 교육현장에 변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았으며, 2019 개정 누리과정을 거친 아동을 가르치기 위해 아동의 자율성 인정, 적극적 문제 기반학습, 초등 환경구성 변화 그리고 초등교사의 인식 개선 등 초등 교육현장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전문적 학습 공동체 활성화, 유아교육을 의무화하는 K 학년 도입, 현장 교사의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한 연수나 대학교(원) 내 유아 교육과 초등 교육 전공 시 유ㆍ초 연계 교과목을 신설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 연구는 추후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어우러진 유ㆍ초 연계의 방향성에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환경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 서울시를 대상으로 -

        안다은(Ahn, Da-Eun),이경환(Lee, Kyung-Hwan),고은정(Ko, Eun-Jeong)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promote the use of the shared electric kickboard by examining the usage behavior through a questionnaire for actual users and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users’ satisfaction with the Use Environment.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Seoul, and 27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n ordered logit model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purpose of using the shared electric kickboard, users use it not only for short-distance travel but also for leisure, and they use it in various ways as an auxiliary means of transportation and short-distance transportation for connection with public transportation. In addition, concerning the evaluation of the users’ Use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road quality, convenience facilities, safety facilities, etc,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improvement the environment for using shared kickboar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the shared e-scooter usage environment, gender, final educat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i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households, and rental system, accessibility, and road of use were in order for the evaluation of the usage environment. It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shared electric kickboard service, the use environment (e.g., installation of designated stops, increase of equipment used, management of rental applications, and improvement of service) must be enhanced along with service use area expansion, adjustment of electric kickboard placement using user O/D data, and securing of safe driving space. A business plan is needed that considers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스마트 도시재생시설 도입 효과 및 영향요인 분석

        정혜윤,안다은,이경환,고은정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8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smart urban regeneration facilities in theNamsan District of Cheona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introducing these smart facilities through field surveys andquestionnaires, it was observed that installing smart CCTVs enhanced local crime prevention efforts, smart bus stops contributed to convenientpublic transportation, and smart benches improved the pedestrian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environment has improved throughthe service of the attending physician. The introduction of these facilities led to increased neighborhood satisfaction, a heightened sense ofsettlement, stronger community attachment, and greater trust in both neighbors and the public.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both smart busstops and smart benche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neighborhood satisfaction, with smart bus stops exerting the strongest influence. All fourtypes of smart urban regeneration facilities were found to impact residents’ sense of settlement, indicating that the changes brought about bythese smart renovations positivel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and improve the settlement consciousness of local residents. Moreover, the studyrevealed that smart CCTVs & Wi-Fi, smart benches, and the smart doctor facility significantly influenced neighborhood attachment, with thesmart doctor having a notably substantial impact. Lastly, the study found that trust in neighbors and the public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the presence of smart CCTV & Wi-Fi, smart bus stops, and smart benches. 본 연구의 목적은 천안 남산지구를 대상으로 스마트 도시재생시설의 도입효과와 영향요인을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조사 및 실태조사를 통해 스마트 도시재생시설 도입 효과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 CCTV 설치로 동네 범죄 예방이 강화되었고, 스마트 버스정류장으로 대중교통이 편리해졌으며, 스마트 벤치로 보행환경이 개선되었다. 주치의의 서비스로 보건환경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 도시재생시설의 도입으로 동네만족도, 정주의식, 동네애착, 이웃과 공공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졌다. 둘째, 스마트 버스정류장과 스마트 벤치는 동네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스마트 버스정류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 도시재생시설 4곳 모두 정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스마트 도시재생시설 도입으로 인한 물리적 환경의 변화가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지역주민의 정주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스마트 CCTV&Wi-Fi, 스마트 벤치, 스마트 주치의가 동네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스마트 주치의 영향력이 컸다. 마지막으로 이웃과 공공에 대한 신뢰는 스마트 CCTV&Wi-Fi, 스마트 버스정류장, 스마트 벤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