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토 공중모니터링 현황과 발전방향

        신휴석,박충기,김연미,황선영,박기호,Shin, Hyu-Seok,Park, Chung-Ki,Kim, Yeon-Mi,Hwang, Sun-Young,Park, Key-Ho 한국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6 No.2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환경변화로 인한 재난, 재해의 발생 빈도가 빈번해지고 규모가 커지면서 지구시스템의 변화를 이해, 감시, 예측하기 위한 지구관측(Earth Observation)관련 국제협력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지구관측에 필수적인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공중모니터링의 중요성이 매우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논문은 국내외 공중모니터링 관련 협력체계 및 연구 현황을 살펴본 후, 국내의 공중모니터링 체계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연구적 측면, 조직 및 제도적 측면, 전략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체계적인 공중모니터링 방안 수립에 대한 토대를 제공하고 향후 국내 전지구관측시스템(Global Earth Observation System of Systems) 구축을 위한 기초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 climate fluctuation and environmental change at global scale are causing more incidences of disasters and calamities over the world. In a response to this environmental crisis, international collaboration for Earth Observation(EO) is obtaining more significance in order to understand, watch, and forecast changes in the earth system. As such, aerial monitoring based on remotely sensed data, indispensable for EO, is also drawing more attentions. In this context, we discuss diverse aspects of future developments in the Korean domestic system for aerial monitoring. This paper first thoroughly examines current status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system arid research of aerial monitoring. It then suggests specific development plans for four critical dimensions such as research, organization, institutional systems, and strategies. Our study would facilitate systematically establishing policies for aerial monitoring in Korea and creating a domestic GEOSS(Global Earth Observation System of Systems) in the near future.

      • 국토 공중모니터링 현황과 발전방향

        신휴석(Hyu-seok Shin),박충기(Chung-gi Park),김연미(Yeon-mi Kim),황선영(Sun-young Hwang),박기호(Key-ho Park)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6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환경변화로 인한 재난, 재해의 발생 빈도가 빈번해지고 규모가 커지면서 지구시스템의 변화를 이해, 감시, 예측하기 위한 지구관측(Earth Observation)관련 국제협력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지구관측에 필수적인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공중모니터링의 중요성이 매우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 논문은 국내외 공중모니터링 관련 해외 협력체계 및 연구 현황을 살펴본 후, 국내의 공중모니터링 체계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연구 및 기술적 측면, 조직 및 제도적 측면, 전략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체계적인 공중모니터링 방안 수립에 대한 토대를 제공하고 향후 국내 전지구관측시스템(Global Earth Observation System of Systems) 구축을 위한 기초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지도사용의 인지적 효과 측정에 관한 연구

        조현정,신휴석,박기호,Cho, Hyun-Jeong,Shin, Hyu-Seok,Park, Key-Ho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5

        이 연구는 공간인지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최근에 급격히 발달하고 있는 길찾기 목적의 웹지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기본 개념과 평가틀을 설정하고 정량적 분석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특정 지도사용상황에서 길찾기 과제를 수행한 후 지도사용으로 얼마나 효과적으로 공간인지가 이루어졌는지를 측정하는 '인지적 지도사용효과'의 개념과 정확성, 신속성, 자신감의 분석항목을 기반으로 하는 평가틀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평가틀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실험조사를 실시하고, 실험 결과물인 인지지도를 2차원 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실험결과를 계량화하였다. 분석결과, 공간을 정확하게 인식하거나 빠르게 회상하는 데에는 지도표현방법보다 사용자의 특성과 반복적인 지도사용 등의 요소가 영향을 미치며, 2차원 지도와 3차원 지도를 동시에 참조하는 경우 공간인지에 대한 자신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효과적일 것이라고 예상되는 새로운 지도표현방법이 실제로 그렇지 않거나, 사용자마다 효과적이라고 판단하는 지도표현방법이 다른 이유에 대한 근거를 제공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n analytical framework and quantitative methodologies to analyze 'the cognitive effects of web map use' and to empirically test it. This experimental desig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literature about spatial cognition. Accuracy, reaction time, and confidence within each participant were compared to measure the cognitive effects of web map use for wayfinding. Geometric accuracy of the cognitive maps was estimated and calculated based on the bidimensional regress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characteristics of map users and repetition of map use rather than types of map representation did significantly affect accuracy and reaction time of spatial cognition by using web maps. And confidence appeared to be low when the participants referred to both 2D and 3D maps for wayfinding tasks on the web maps. Understanding spatial cognition of web map users, which was suggested in the study, will help cartographers make more effectively-communicated maps.

      • 대시메트릭 매핑 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건축물별 주거인구밀도의 재현

        이석준,이상욱,홍보영,엄홍민,신휴석,김경민,Lee, Sukjoon,Lee, Sang Wook,Hong, Bo Yeong,Eom, Hongmin,Shin, Hyu-Seok,Kim, Kyung-M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3

        도시 내 거주하는 인구의 분포는 다양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데이터는 정보기밀성 등을 이유로 일정한 공간단위로 집계되어 제공된다. 때문에 제공되는 것과 다른 공간단위나, 더 세밀한 공간분석을 요하는 연구와 활용이 제한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인구분포 데이터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여,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한 인구데이터 제공단위보다 세밀한 인구분포를 현실적으로 재현하고자 대시매트릭 매핑 기법을 활용하였다. 대시메트릭 매핑은 주 데이터와 연관된 공간적 보조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 데이터의 공간적 분포를 세밀하게 나타내는 지도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집계구별 인구센서스 자료를 주 데이터로, 건축물 대장을 보조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모든 인구가 주거용 건축물에 거주한다고 가정하여 주거용 건축물 단위에서 인구분포를 재현하였다. 주거용 건축물을 공간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바이너리기법이 활용되었으며. 이후 회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건물 용도와 층수를 고려한 가중치를 부여해 입체적인 거주인구밀도를 재현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를 통해 전체 토지 및 용도구역을 기반으로 한 기존의 방법론보다 현실적용오차를 줄였다. 또한 주거가능 건축물의 주택유형과 층수가 반영된 3차원적 공간자료를 활용하여 주거용 건축물에 거주하는 인구를 추정하는 모델을 도출하여, 정확도가 높고 세밀화 된 인구분포지도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개별 건물 단위의 인구 데이터는 일정한 공간단위로 집계를 재가공한 것으로 정보기밀성의 문제가 없는 세밀한 단위의 인구분포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후 도시 내 재난재해 발생에 따른 영향 인구 파악과 같은, 지역인구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써 의미를 지닌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resent the residential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Korea more precisely through the dasymetric mapping method. Dasymetric mapping can be defined as a mapping method to calculate details from truncated spatial distribution of main statistical data by using ancillary data which is spatial data related to the main data. In this research, there are two types of data used for dasymetric mapping: the population data (2010) based on a output area survey in Seoul as the main data and the building footprint data including register information as ancillary spatial data. Using the binary method, it extracts residential buildings as actual areas where residents do live in. After that, the regression method is used for calculating the weights on population density by considering the building types and their gross floor areas. Finally, it can be reproduced three-dimensional density of residential population and drew a detailed dasymetric map. As a result, this allows to extract a more realistic calculating model of population distribution and draw a more accurate map of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Therefore, this study has an important meaning as a source which can be applied in various researches concerning regional popul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국민연금기금의 대체투자를 통한 청년층 공공임대주택 공급 후보지 분석: 2011-2016년 수도권 아파트 거래 자료를 토대로

        조성아,홍예륜,이성민,신휴석,Cho, SeongAh,Hong, Yeryun,Lee, Seongmin,Shin, Hyu-Seok 한국경제지리학회 2018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1 No.2

        한국의 지속적인 인구 고령화는 다양한 사회 갈등을 야기하고 있는데, 국민연금기금 고갈에 대한 위기감은 청년층과 기성세대 간의 첨예한 갈등의 한 양상이 되고 있다. 특히 청년층의 주거복지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국민연금기금의 대체투자를 통한 공공임대주택 공급 방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민연금기금을 통한 청년층 공공임대주택 공급의 당위성을 검증한다. 그 후 공간통계기법에 기반한 탐색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임대주택의 수도권 내 후보지를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결과 세 가지 세부 청년층 분류에 따른 공공주택 공급방안이 도출되었으며, 각 지역과 대상 계층에 적합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의 세대 갈등을 완화하고, 국민연금기금의 수익성과 공공성을 모두 충족함을 목표로 한다. Recently, Korea suffered serious social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due to population aging. Anxiety about depletion of the National Pension Fund is one of the social problem to young generation, because of the uncertainty that they will not able to receive the pension they paid. At the same time, due to the high housing rent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emand for housing welfare and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for young generation was increased. There are some opinions about using National Pension Fund to supplying public rental houses in the society. In this research, we were concentrated on finding the suitable areas for the public rental house using National Pension Fund. First,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investment using National Pension Fund for the public rental housing was done. And spatial statistical methods were applied to explore the suitable areas for the public rental housing in Seoul metro area. Finally, this study divided young people into three groups and analyzed ways to supply public rental housing for each group in proper areas by their demand. This research's ultimate goals are mitigating the conflicts between the generations and achieving both profitability and publicness of National Pension Fund.

      • KCI등재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단양군의 산림 탄소저장량 추정 -지상부 바이오매스를 대상으로-

        박현주 ( Hyun Ju Park ),신휴석 ( Hyu Seok Shin ),노영희 ( Young Hee Roh ),김경민 ( Kyoung-min Kim ),박기호 ( Key Ho Park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크리깅 기법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정규 크리깅(ordinary kriging)과 여러 보조 자료를 활용한 회귀 모델에 크리깅 기법을 결합한 형태인 회귀 크리깅(regression kriging)을 이용하여 지상부 바이오매스의 탄소저장량 추정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단양군의 산림 탄소저장량은 정규 크리깅의 경우 3,459,902 tonC, 회귀 크리깅의 경우 3,384,581 tonC로 추정되었으며 회귀 크리깅에 이용된 회귀 모델의 결정계수는 0.1033으로 나타났다. 표본점을 임상별로(활엽수림, 침엽수림&혼효림) 층화하여 회귀 크리깅을 수행한 경우에는 탄소저장량은 3,336,206 tonC로 가장 낮게 추정되었으며 회귀 모델의 결정 계수는 각각 0.35, 0.18로 표본점전체를 이용했을 때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각 기법의 교차 검증(cross validation) 결과 표본점전체를 이용한 회귀 크리깅의 RMSE(22.32 ton/ha)가 가장 낮았으나 기법간의 차이(0.23ton/ha)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aboveground biomass carbon stocks using ordinary kriging(OK)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type of kriging and regression kriging(RK) that combines a regression of the auxiliary variables with simple kriging. The analysis results shows that the forest carbon stock in Danyang is estimated at 3,459,902 tonC with OK and 3,384,581 tonC with RK in which the R-square value of the regression model is 0.1033. The result of RK conducted with sample plots stratified by forest type(deciduous, conifer and mixed) shows the lowest estimated value of 3,336,206 tonC and R-square value(0.35 and 0.18 respectively) is higher than that of when all sample plots used. The result of leave-one-out cross validation of each method indicates that RK with all sample plots reached the smallest root mean square error(RMSE) value(22.32 ton/ha)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thods(0.23 ton/ha) is not significant.

      • KCI등재

        복합시설 접근성을 이용한 대도시권 스프롤 측정: 광주광역시권을 사례로

        양재석 ( Jeasurk Yang ),송하진 ( Hajin Song ),강경빈 ( Kyeongbin Kang ),권민지 ( Minji Gwon ),신휴석 ( Hyu-seok Shin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8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1 No.1

        접근성을 이용해 도시 스프롤을 측정하는 방법은 주택과 시설 간의 상호작용 측정을 바탕으로 한다. 접근성 가운데 ‘복합시설 접근성’은 다양한 시설들을 사용하여 상호작용을 직접적으로 측정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복합시설 접근성 연구는 근린권 내지 도시권 스프롤 현상에 집중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도시스프롤 측정을 대도시권으로 확장하지 않을 경우, 대도시권의 스프롤 영향력과 인접 도시권의 스프롤 영향력을 파악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낳는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복합시설 접근성을 이용하여 대도시권 스케일 도시 스프롤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개발한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기존 방법을 세 가지 측면에서 개선한다. (1) ‘연구 자료’ 측면에서는 자료를 스케일 별로 세분화하였고, (2) ‘계산 방법’ 측면에서는 기존의 K-근접 시설 접근성 방법을 대도시권 스케일로 확장하였다. (3) ‘연구 지역’ 측면에서는 인접 도시권의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해 일부가 아닌 전체 대도시권 지역을 연구 지역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방법은 스프롤 측정을 대도시권 스케일까지로 확장하고, 스프롤 관리와 정책 입안을 보다 포괄적으로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함의가 있다. Measuring urban sprawl with accessibility approaches is based on measuring interactions between housing and facilities in cities. Among them, multi-facility accessibility is noteworthy in that it measures the interactions directly using various kinds of facilities. However, there is a limit that existing methods of multifacility accessibility, up to now, have been applied only on local and urban scale. Without being applied on metropolitan scale, the methods could not measure influence of metropolitan area and that of adjacent urban area. Based on the limit, this study develops a method for measuring sprawl on metropolitan scale using multi-facility accessibility. To achieve the goal, the authors improve the existing methods in three ways. (1) This study subdivide research data on scales, and (2) expand the existing K-nearest facility accessibility to metropolitan scale. (3) The authors set the whole metropolitan region as research area to measure the influence of adjacent urban area.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extends the measures to metropolitan scale, which would make sprawl management more comprehensive.

      • KCI등재

        원격탐사와 GIS 기반의 산림탄소저장량 추정에 관한 주요국 연구동향 개관

        김경민 ( Kyoung Min Kim ),이정빈 ( Jung Bin Lee ),김은숙 ( Eun Sook Kim ),박현주 ( Hyun Ju Park ),노영희 ( Young Hee Roh ),이승호 ( Seung Ho Lee ),박기호 ( Key Ho Park ),신휴석 ( Hyu Seok Shi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4 No.3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산림탄소저장량 변화는 기후변화협약에서 요구하는 주요 자료 중 하나이다. IPCC 우수실행지침(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ood practice guidance, IPCC GPG) 수준 3에 근거하여 공간적으로 명확한 산림탄소저장량을 추정하게 되면 높은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추정 방법은 표본점(sample plot) 단위의 국가산림자원조사(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자료만을 이용하여 행정구역별 평균을 집계하는 것으로 폴리곤 혹은 셀 단위의 상세한 탄소저장량을 파악할 수 없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유럽, 북미 등에서는 NFI 자료, 원격탐사 및 GIS 기술을 결합하여 산림탄소저장량을 추정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져왔다. 주요국의 연구 동향을 활용 기법에 따라 분류해보면 원격탐사, GIS, 지구통계 및 환경변수 모델링 등 크게 4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가장 손쉽게 국내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는 방법은 NFI 자료와 임상도를 결합하는 GIS 기반의 방법이다. 특히, 복잡한 수종 구성을 가지고 있는 국내 산림 환경 특성을 고려할 때 국지적 변이 추정에 유용한 지구통계 기법의 활용성이 기대된다. 아울러, 고해상도 영상의 활용은 산림탄소저장량 추정의 검증 및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청정개발체제) 사업 적지 선정 등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관련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로 최근린 기법(k-nearest neighbor, k-NN)의 적용성을 검토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국내 산림 환경에 적합한 방법론의 선정을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공간 자료와 알고리즘의 적용성이 검토되고 방법론 간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Forest carbon stocks change due to land use change is an important data required by UNFCCC(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Spatially explicit estimation of forest carbon stocks based on IPCC GPG(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ood practice guidance) tier 3 gives high reliability. But a current estimation which was aggregated from NFI data doesn`t have detail forest carbon stocks by polygon or cell. In order to improve an estimation remote sensing and GIS have been used especially in Europe and North America. We divided research trends in main countries into 4 categories such as remote sensing, GIS, geostatistics and environmental modeling considering spatial heterogeneity. The easiest way to apply is combination NFI data with forest type map based on GIS. Considering especially complicated forest structure of Korea, geostatistics is useful to estimate local variation of forest carbon. In addition, fine scale image is good for verification of forest carbon stocks and determination of CDM site. Related domestic researches are still on initial status and forest carbon stocks are mainly estimated using k-nearest neighbor(k-NN). In order to select suitable method for forest in Korea, an applicability of diverse spatial data and algorithm must be considered. Also the comparison between methods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