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말기 폐백복식(幣帛服飾)에 관한 연구-현구고례(見舅姑禮)를 중심으로-

        신혜성 한복문화학회 2007 韓服文化 Vol.10 No.2

        The study is about the dresses of the bride and the bridegroom at hyeongugorye 見舅姑禮 which is the origin of today's pyebaek 幣帛 - a ceremony that the bride pays her respects with prepared gifts to the elders of the bridegroom's family for the first time, in the Joseon Dynasty. The characteristics of wedding dress for hyeongugory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re as follows.1. In the late Joseon Dynasty, hyeongugorye was a ritual only for the bride different from today’s pyebaek. The bridegroom was not present at hyeongugorye or just stood beside the bride. At that time, the bridegroom wore po 袍 - ceremonial overcoat for men on baji-jeogori.2. According to rite manual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bride should have ceremonial dress of different standing at daerye 大禮 - equivalent to today's wedding ceremony and hyeongugorye. Sometimes in customary wedding in Joseon, however, both the two ceremonies used ceremonial dress of high standing, and depending on the families’ circumstances3. Even if ordinary dress chima-jeogori was used in hyeongugorye instead of wonsam 圓衫 or hwarot, the ceremonial hat like a jokduri or hwagwan 花冠 was indispensable as the symbol of the bride.These days, after having a Western-style wedding ceremony, the bride and bridegroom have pyebaek in rented traditional wedding dress such as dallyeong 團領, hwarot and wonsam. However, because pyebaek is 'a ceremony to pay respects to the parents-in-law for the first time', fittingly to the current situation, it is considered acceptable to hold pyebaek in traditional dress, namely, po over baji-jeogori for the bridegroom and dangui 唐衣 over chima-jeogori and a ceremonial hat on the head for the bride. Also, such dress style for pyebaek is expected to be usable as formal and elegant traditional dress even after the wedding.

      • KCI등재

        티나 모도티 사진 연구

        신혜성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2 조형디자인연구 Vol.25 No.1

        이 논문은 1920년대 멕시코의 사회적 맥락을 중심으로 티나 모도티의 사진을 독해한다. 모도티의 사진 대부분은 그녀가 약 7년 동안 멕시코에 체류했던 기간에 촬영되었다. 멕시코 사회는 작업의 배경이 되는 시공간일 뿐 아니라 창작의 동기이며 작업 변화의 원동력이었다. 혁명 이후 사회변혁기를 맞이한 멕시코에서 모도티는 전위예술가들 또는 국가의 문화 사업을 이끌어간 벽화가들과 어울리며 예술운동에 동참했다. 멕시코의 전위예술운동인 에스트리덴티스모를 위해 현대화와 도시화의 미감이 돋보이는 사진들을 제공했으며, 정치적 견해를 같이 하는 벽화가들의 작품을 기록하고 유포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사진을 촬영해서 벽화운동을 지원했다. 농업학교의 성과를 기록한 작업도 당시 멕시코 사회가 요청하는 협업의 일부였다. 후대 페미니즘 미술사는 그 시대에 흔치 않았던 여성사진가가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했는데, 그 과정에서 등장한 관점이 사회적 맥락보다 여성성을 지나치게 강조했다는 부분은 재고해볼 필요가 있다. 원주민 여성을 촬영한 사진들은 사회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삶을 위해 투쟁하는 강인함을 갖춘 새로운 여성상을 멕시코 사회에 제시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모도티의 사진은 혁명 이후 멕시코에서 사회의 진보를 꿈꾸었던 작가가 역동적으로 고군분투하며 작업한 흔적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This study explores Tina Modotti's photos focusing on the social context of Mexico in the 1920s. Most of Modotti’s photos were taken during her stay in Mexico for about seven years. For her work, Mexican society was not only the time-space of taking pictures, but the motive for creation and the driving force for change. Modotti participated in the art movement while having friendship with the avant-garde artists and the muralists who led the nation's cultural projects. For Estridentimo, an avant-garde movement in Mexico, she provided photos showing the aesthetics of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She also supported Mexican mural movement for the artists who shared their political views with her. They could use her photos to document and disseminate their mural works. The photographic recording of the achievements of the agricultural school was also a part of the collaboration requested by Mexican society at the time. Later feminist art historians tried to make the woman photographer who was rare at that time, more highly appreciated. Her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at such a viewpoint has often emphasized femininity over the social context. Her photos of indigenous women can be better understood as a new image of women representing their strength to fight for their own lives as members of society in Mexican society. Modotti's photos are meaningful in that the works are traces of the dynamic struggle of the artist who dreamed of social progress in post-revolutionary Mexico.

      • KCI등재

        L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 인식 분석

        신혜성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in L University and to draw out the direc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to be connected with the core competences of the school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operated by each department and administering a survey. To accomplish this goal, we analyzed the statu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run by mileage and conducted a survey on current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extra-curricular program types, participatory programs are the most preferred by students and the most frequently operated but the actual participation rate was low. The dispatch type programs were favored by the students but have never been operated. It needs to be improved to reflect the needs of the students. Second, programs ar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four core competences pursued by the university. However, they were biased to specific areas such as empathy competency and creativity competency. Thus, it is needed to open programs in all four areas for students’participation. Third, they answered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participate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operated by the university once a week and a department to guide and support the extra-curricular program would be needed. Therefore, it is needed to establish extra-curricular activity support department to encourage students’participation and manage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systematic management to improve core competences by developing student-tailored extra-curricular programs, strengthening students’ competences, and presenting direction of extracurricular curriculum operation. 본 연구는 L대학에서 진행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및 수요자인 학생을 대상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각 부서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취합하여 학교의 핵심역량과 연계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방향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일리지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현황 분석 및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과 프로그램 유형 중 참여형 프로그램의 경우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만큼 가장 많이 운영되고 있지만 실제 참여율은 적었으며, 파견형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선호하나 실제 운영이 된 적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중점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할 것이다. 둘째, 대학에서 추구하는 4가지 핵심역량과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공감과 창의 역량이라는 특정 영역에 집중되어 운영되고 있어 4가지 영역 모두가 고르게 개설되어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에서 운영되는 비교과 프로그램에 주 1회 참여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응답하였고, 비교과 프로그램을 안내해주고 지원해주는 부서가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됨에 따라 비교과 지원 부서의 설치를 통해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비교과 교육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성 제시를 통해 핵심역량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주택시장의 동태성 분석을 위한 시스템 사고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인과순환지도를 중심으로 -

        신혜성,손정락,김재준,Shin Hye-Sung,Sohn Jeong-Rak,Kim Jae-J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5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6 No.3

        Since 1950s, the Korean housing market has continually experienced the chronicle lack of housing stock because of lower housing investment in comparison with a population explosion, prompt urbanization and rapid restructuring of family. The Korean housing market have thus been driven not by the pricing model by housing demand-supply chain but by the Korean housing policies focusing on the increase of housing supply and the living stability of the middle or low-income bracket. After all, repetitive economic vicious circle of housing price and the increase of unsold apartments aggravated the malfunction of the Korean housing market. Meanwhile, the Korean construction firms have exacerbated their profitability. Such terrible situations are mainly triggered by the Korean construction firms that weighed on the short-term profits and quick response of the government policy alterations rather than the prospect of housing market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ing on the dynamics of housing market identified and classified the demand and supply elements that consist not only of housing system structures but also of the environmental elements that affect the structures. Based on the system thinking and traditional theory of consumer's choice, the interactions of these elements were constructed as a causal loop diagram that explains the mutual influences among housing subsystems with feedback loops. This paper describes and discusses about the causes of the dynamic changes in the Korean housing market. This study would help housing suppliers, including housing developers, construction firms, etc., to form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fundamental issues that constitute the Korean housing market and thereby increasing their long term as well as minimizing the risk involved in the housing supply businesses.

      • KCI등재

        유산균 발효유가 Streptococcus mutans의 생균수 및 biofilm 형성에 미치는 영향

        신혜성,김선미,최남기,양규호,강미선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36 No.3

        유산균이 위장관과 구강건강에 probiotics로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시판되는 유산균 발효유 5종과 우유를 선택하여 우식유발 원인균인 S. mutans에 대한 증식억제 및 biofilm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발효유의 산도, 완충능, 산생성능, 칼슘과 인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유산균 발효유에 S. mutans를 주입한 후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모든 발효유의 %가 증가함에 따라 S. mutans 수가 감소했으나 우유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10% 유산균 발효유에 S. mutans를 주입한 후 biofilm 형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 액티브 GG, 불가리스는 biofilm 형성이 감소하였고, 이오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투티, 에이스, 우유는 증가하였다(P<0.05). 유산균 발효유 및 우유의 산도를 측정한 결과 이오(3.48±0.01), 투티(3.67±0.02), 에이스(3.71±0.02), 액티브 GG(4.04±0.02), 불가리스(4.19±0.02) 순으로 나타났다. 유산균 발효유의 산생성능을 평가한 결과 불가리스가 가장 높은 산생성능을 보였으며 액티브 GG, 에이스, 투티, 이오, 우유 순으로 산도 하강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유산균 발효유가 초기산도 및 산생성능 측정 결과 우식유발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냈다. 그러나 유산균 발효유 중에서 농후발효유가 우식유발균인 S. mutans를 억제하였고 biofilm 형성을 감소시켜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Lactic acid bacteria worked positively on gastrointestinal tract and oral environment. So I selected commercial five fermented milks and milk. and then I evaluated their effect of growth inhibition and biofilm formation of cariogenic bacteria. Streptococcus mutans. And also calculated the acidity. buffering capacity. concentration of Ca and P ion and pH change of those drinks. After adding S. mutans to fermented milks viable cell count of S. mutans in milk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ut those in all fermented milks were decreased as concentration of fermented milk increased. When I measured the amount of formed biofilm in 10% fermented milks and milk with S. mutans and compared with those without S. mutans. the amount was decreased in Active GG and Bulgaris while being increased in Tootee. Ace and milk(P<0.05). The fermented milk with the lowest pH value was E5(3.48±0.01). and the highest was Bulgaris(4.19±0.02). pH change of the fermented milks and milk with S. mutans was measured. The highest acid producing fermented milk was Bulgaris. and followed by Active GG, Ace, Tootee, E5, Milk.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fermented milks had caries activity due to the value of initial acidity and acid producing capacity. But, concentrated fermented milks had the inhibitory effect against S. mutans, and also had high volume of Ca and P ion that protected teeth. So I suggest that they have positive effect on teeth.

      • KCI등재

        Sturge-Weber Syndrome 환아의 치험례

        신혜성,양규호,최남기,김선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36 No.1

        Sturge-Weber Syndrome은 드문 선천성 질환으로 안면의 삼차신경 분포영역에 포도주양 반점(port wine nevus)을 나타내고, 녹내장 등의 안구 증상과 간질, 편측마비 등의 신경학적 증상 등을 동반한다. 또한 구강 내 증상으로 구강 점막의 편측성 혈관 증식, 치은의 혈관 증식, 치은 비대, 거대치, 편측성 거대설, 상악 또는 하악의 혈관 이상, 치아 맹출 이상 등을 나타낸다. 본 증례는 Sturge-Weber Syndrome으로 진단된 8세 남아의 구강 내 증상과 설강직증의 치료를 위해 설소대 절제술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보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Sturge-Weber Syndrome is a rare congenital disorder and is characterized by port wine nevus following one or more divisions of trigeminal nerve, ocular involvement(eg, glaucoma) and neurologic involvement(eg, epilepsy, mental retardation). Oral menifestations include unilateral blood vessel expansion of the oral mucosa and gingiva, gingival hyperplasia, giant tooth, ipsilateral large tongue, blood vessel anomaly of maxilla or mandible and abnormal eruption sequence. This case report is about 8-year-old Sturge-Weber Syndrome patient presented violet discoloration on upper gingiva and buccal mucosa, gingival hyperplasia and abnormal eruption sequence. In this case, we performed lingual frenectomy and periodic oral hygiene management, and obtained satisfactory result.

      • KCI등재

        멕시코의 여성 초현실주의자들: 레메디오스 바로와 레오노라 캐링턴

        신혜성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Remedios Varo and Leonora Carrington are two Mexican-immigrant women artists taking their own lines in surrealism artworks. The Modern Art Museum in Mexico city held the grand their retrospective exhibitions respectively in relays in 2018 which proved the today's Mexican art world regards them as a national treasure, although the artworks, on the surface, have slight identity of Mexico. Mexico is the country having a close relation to the Surrealism movement with Andre Breton’s visit in 1938 and the international exhibition of Surrealism in Mexico city in 1940. Varo and Carrington’s careers as a surrealism artist claimed an intense attention in the history of surrealism which is prone to narrative of Eurocentric and male-centered. During World War II, women artists exiled to Mexico where the pre-Hispanic mythology and the customs to charm away illness with food materials were still alive. In their kitchen, they all made surrealistic art pieces inspired by the weird imagination and occult power. Across Remedios Varo's works, the hermit female figure doing the job for magic-making is represented her identity as a woman surrealist fascinated with the occult. The works show the distinctive illusion with detailed and artisanal techniques. Leonora Carrington, so-called eco-feminist against the violent machine civilization of the West, based her artworks around the therapeutic and magical power of goddess worshiped by traditional culture in the various regions of the world. She was commissioned a mural painting, <The Magical World of the Mayas> for National Museum of Anthropology in Mexico. It shows the influence of mythological and mystical traditions of Mexico and the surrealistic imagination of the artist who experienced the indigenous culture and researched the books of ancient Maya. 본 논문에서 연구하는 레메디오스 바로와 레오노라 캐링턴은 멕시코로 이주하여 독자적인 초현실주의 작품 세계를 발전시켜나간 두 명의 여성 작가이다. 2018년 멕시코시티에 위치한 국립 현대미술관에서는 이들에 대한대규모 개인 회고전을 연달아 개최했는데, 외국 출신의 작가에 대한 기념비적 전시는 의미하는 바가 크다. 두작가의 초현실주의 작품이 멕시코 특유의 정체성을 표면적으로 강하게 드러내고 있지 않더라도, 오늘날 멕시코의 미술계에서 소중한 국가적 자산으로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사실 멕시코는 1938년에 초현실주의의 수장인 앙드레 브르통이 직접 방문하였고, 1940년에는 초현실주의 국제 전시를 유치를 하는 등 초현실주의 운동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은 국가이다. 자칫 유럽 중심, 남성 위주로 서술되기 쉬운 초현실주의 역사를 살펴볼 때, 멕시코에서 활동한 두 명의 여성 초현실주의자인 바로와 캐링턴의 예술 활동은 우리가 특별히 관심을 가져야할 부분이다. 이들은 2차 세계대전 기간에 멕시코로 이주하였는데, 그곳에는 스페인 식민 시대 이전의 전설이나 음식 재료로 병을 치료하는 주술 풍습이 여전히 생생하게 살아남아 있었다. 이런 환경에서 부엌은 기묘한 상상력과 주술적 힘을 원동력으로 삼아 초현실주의 작품을 창작하는 공간이 될 수 있었다. 레메디오스 바로의 회화 작품은 신비로운 작업을 수행하는 은둔적 여성 창조자의 모습을 통하여 오컬트에 심취한 여성 초현실주의자의 정체성을 표상하며, 세심한 계획과 장인의 노력으로 만들어낸 독특한 환영의 세계를 보여준다. 에코 페미니스트라고 불리는 레오노라 캐링턴은 서구의 폭력적인 기계 문명에 반대하며 다양한 지역의 전통 문화에서 숭배되어온 여신의 치유적 힘을 작품의 주제로 삼는다. 멕시코 인류학 박물관의 벽화를 의뢰 받아 원주민 문화를 체험하고 마야 고전 서적을 탐구해서 그린 <마야의 마술적 세계>는 멕시코의 신화와 작가의 초현실주의적 상상력이 잘 결합되어 있다.

      • KCI등재

        동시대미술 전시의 시공간과 탈식민주의적 틈 :오쿠이 엔위저의 큐레이팅

        신혜성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5

        This paper attempts to think about the postcolonial gap revealed in time-space of the contemporary art exhibition along with the research on Okwui Enwezor's way of curating. He is a leading curator from Nigeria, dealing with the exhibitions on main issues of postcolonialism. He has worked as a director of Documenta 11 in 2002 and Gwangju biennale in 2008, and become one of world-famous curator. He has a non-western standpoint in the transnational mega-exhibition that has been prevalent since late 1990s. Postcolonialism - the starting point of his curating - contributed to the extension of the definition of contemporary art beyond the pale of avant-garde aesthetics based on western modernism, as well as the attraction of social attention on problems as such inequalities or conflicts intensified by globalization. Enwezor explore the appropriate curatorial practice for the effects of contemporary geopolitical configuration through his writing ; ‘The Postcolonial Constellation : Contemporary Art in a State of Permanent Transition’ and ‘Mega-Exhibitions and the Antinomies of Transnational Global Form’. Venice biennale in 2015 curated by Enwezor holding an oppugnant perspective on commercialization of contemporary art has been described as the most political one since 1974. That biennale delivered the warning against Global capitalism today, which was represented in the performance of reading the Capital of Marx. At the same time, however, it demonstrated the self-contradiction in the time-space of contemporary mega-exhibition, that is already involved in transnational capital. It is the limit as well as possibility of Okwui Enwezor's curating that is premised the antinomic condition of the postcolonial gap in the heterogeneous world. 본 논문은 오쿠이 엔위저의 큐레이팅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동시대미술 전시의 시공간에서 드러나는 탈식민주의적 틈 (간극)에 대하여 생각해보고자 한다. 그는 탈식민주의의 주요한 의제들을 다루는 전시에 탁월한 나이지리아 출신의 큐레이터이다. 2002년 카셀도쿠멘타와 2008년 광주비엔날레에서 총감독을 역임하면서, 1990년대 후반 이후 성행한 초국가적 거대전시에서 비서구적 입지를 지닌 큐레이터로 명성을 쌓았다. 그의 큐레이팅의 출발점인 탈식민주의는 서구 모더니즘에 기반한 아방가르드 미학의 범주를 넘어서 동시대미술의 정의를 확장했으며, 또한 전지구화로 인하여 심화된 불평등과 갈등 같은 문제들에 사회적인 주목을 불러일으키는 데 기여했다. 그는 「탈식민적 성좌 : 영구적 이행 상태에서 동시대 미술」과 「거대전시와 초국가적 세계상의 이율배반」 등의 저술을 통해 동시대의 지정학적 배치의 영향들을 인식하고 이에 적합한 전시기획의 실천을 모색한다. 미술의 상업화를 비판하는 소신을 가진 엔위저가 큐레이팅한 2015년 베니스 비엔날레는 1974년 이후 가장 정치적인 전시였다는 평을 듣는다. 막스의 자본론을 읽는 퍼포먼스로 상징될 수 있듯이 이 전시는 오늘날의 글로벌자본주의에 대해 경고하려는 취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초국가적 자본과 이미 밀접하게 연루된 동시대미술의 거대전시라는 시공간에서 자기모순을 보여주기도 한다. 오쿠이 엔위저의 큐레이팅은 이질적인 세계의 탈식민주의적 틈이라는 이율배반적 조건을 전제하며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그의 전시가 지닌 한계이자 가능성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