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폐증 청소년에서 체중감소와 연관된 반추적 구토의 정신과적 치료

        신윤오(Yun O Shin),이문성(Moon Sung Rhee)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9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0 No.1

        We treated the persistent ruminative vomiting of a 13-year-old autistic boy by using a behavioral and psychopharmacological approach in a closed ward. Before the interventions, the patient had lost about 10kg of body weight due to very high-frequency ruminative vomiting. Together with psychopharmacological trials, the psychiatric treatment included a combination of a behavioral approach and food regulation that emphasized food restrictions, and we provided regular light meals. There was a considerable reduction of the ruminative vomiting and 2kg weight gain was achieved during the admission. These therapeutic gains were maintained at the 4-month follow-up assessment and the vomiting symptom reached a near-zero level and the weight loss were recovered by about 8kg. The issues related to the treatment approaches for ruminative vomiting with autism are discussed.

      • KCI등재

        소아청소년 정신과 외래환자의 공존질병

        신윤오 ( Yun-o Shin ),김태성 ( Tae-sung Kim ),김재헌 ( Jae-heon K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2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8년 동안 소아청소년 정신과에 내원한 초진환자에 있어서 공존질환에 조사하는 것이다. 초진환자 89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군별로 0~3세 1467명, 4~7세 2880명, 8~13세 3045명, 14~16세 1047명, 17세 이상은 477명이었다. 8916명의 환자들의 진단명은 총 10825건으로 1인당 평균 진단수는 1.21건 이였다. 전체 진단 중에서 질환별 빈도로는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이하 ADHD)가 1815건(16.8%)으로 제일 많았고, Mental Retardation (정신지체, 이하 MR) 1503건(13.9%), Autism Spectrum Disorder(자폐스펙트럼장애, 이하 ASD) 1128건 (10.4%), Tic Disorders 733건(6.8%),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발달성 언어장애, 이하 DLD) 726건(6.7%) 순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sychiatric comorbidity among new patients visiting the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at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18 years. The authors reviewed a total of 8,916 outpatients visiting the department first by DSM-IV-TR or ICD-10.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y age group, 1,467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0 to 3 age group; 2,880 patients in the 4 to 7 age group; 3,045 patients in the 8 to 13 age group; 1,047 patients in the 14 to 16 age group; 477 patients in the 17 or above age group. 2. The total number of diagnoses for 8,916 patients is 10,825 and the mean diagnosis per patient is 1.21. 3. The frequencies of psychiatric diagnoses are ADHD(1,815/16.77%), MR(1,503/13.88%), ASD(1,128/10.42%), Tic disorders(733/6.77%), and DLD(726/6.71%).

      • KCI등재

        최근 3년간 소아청소년정신과 장애진단

        신윤오 ( Yun-o Shin ),김태성 ( Tae-sung Kim ),김재헌 ( Jae-heon K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2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3년 동안 소아청소년 정신과에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애진단의 분포를 조사하는 것이다. 소아청소년정신과 환자 711명을 대상으로 하여 699건의 장애진단을 내렸으며, 지적장애가 485건(69.4%)으로 가장 많았고, 자폐성장애 173건(24.7%), 언어장애 32 건(4.6%) 순이었다. 0~3세, 4~7세, 8~13세, 14~16세, 17세 연령 군으로 장애진단의 분포를 알아보았을 때 지적장애가 각각 10건(52.6%), 63건(56.3%), 170건(66.9%), 114건(81.4%), 128건 (73.6%)이었다. 연도별로는 2009년도에 174명, 2010년도에 295명, 2011년도에 2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장애진단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disability diagnoses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ic outpatients in recent 3 years. The authors diagnosed 699 disability cases for 711 patients. The most common diagnosis was intellectual disability (485 cases or 69.4%) followed by autistic disorder (173 cases or 24.7%) and language disorder (32 cases or 4.6%). For the age groups of 0 to 3, 4 to 7, 8 to 13, 14 to 16, and 17 or above, intellectual disability ranked first in all age groups: 10 (52.6%), 63 (56.3%), 170 (66.9%), 114 (81.4%), and 128 (73.6%). For the yearly distribution, the number of diagnoses of intellectual disability was 174 people in 2009, 295 people in 2010, and 242 people in 2011 year.

      • KCI등재

        Amisulpride의 지속 투여가 생쥐의 성별에 따른 체중 및 대사에 미치는 영향

        이효진,신윤오,전병화,박룡진,김정란,Lee, Hyo-Jin,Shin, Yun-O,Jeon, Byeong-Wha,Piao, LongZhen,Kim, Jeong-La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8 생물정신의학 Vol.15 No.2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n food intake, body weight, and metabolic parameters by amisulpride administration in male and female mice, comparing the effects of risperidone and vehicle administration. Methods : Female and male C57BL/6 mice were grouped into low dose amisulpride(1.5mg/kg), high dose amisulpride(15mg/kg), risperidone(0.1mg/kg) and vehicle. Drugs were administered once daily through intraperitoneal injection over 21days. Body weight was measured weekly and food intake was measured daily. Levels of triglyceride, glucose, insulin and prolactin were determined at the end of experiment(on day 22). Results : In the female mice, low and high dose amisulpride as well as risperidone caused significant weight gains. But weight gains in amisulpride groups were numerically smaller than that of risperidone group. In male mice, only high dose amisulpride caused significant weight gain. Among weight gain groups, only weight gain of male mice with high dose amisulprid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food intake. Weight gain group in female mice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ood intake. In male mice, both amisulpride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 plasma insulin levels compared to vehicle. In female and male mice, low and high dose amiulpride groups showed significant high plasma prolactin levels compared to vehicle. Triglyceride level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all groups. Glucose level was changed significantly only in male risperidone group. Conclusions : Administration of amisulpride caused more significant weight gains in female and male mice than controls but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ex of mice. Our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mechanisms of amisulpiride are likely to affect weight gain between male and female mice. 목 적 이 연구는 수컷과 암컷 생쥐에서 amisulpride를 투여하였을 때 먹이 섭취량, 체중 및 대사 지표에 대한 영향을 risperidone 및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수컷과 암컷 C57BL/6형 생쥐를 저용량 amisulpride 투여군(1.5mg/kg), 고용량 amisulpride투여군(15mg/kg), risperidone 투여군(0.1mg/kg)과 Vehicle군으로 나누었다. 약물은 21일간 매일 하루에 한 번 복강 주사를 통해 투여되었다. 체중은 일주일에 한 번씩 측정하였으며 먹이 섭취량은 매일 측정하였다. Triglyceride(TG), glucose, insulin 그리고 prolactin은 실험 종료 시에 측정하였다(실험 22일). 결 과 암컷 생쥐의 경우, 저용량과 고용량의 amisulpride 투여군에서는 유의한 체중 증가를 보였으며, risperidone 역시 유의한 체중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두 amisulpride군의 증가량은 risperidone군의 증가량에 비해 수치적으로 작았다. 수컷 생쥐의 경우, 고용량의 amisulpride만이 유의한 체중 증가를 가져왔다. 체중 증가를 보였던 집단 중에서, 고용량의 amisulpride를 투여하였던 수컷 생쥐만이 유의하게 증가된 먹이 섭취량과 연관성이 있었다. 암컷 생쥐에서 체중 증가를 보였던 군들은 먹이 섭취량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수컷 생쥐에서, 두 개의 amisulpride 투여군 모두는 vehicle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혈장 insulin 수치를 보였다. 암컷과 수컷 생쥐에서, 저용량과 고용량의 amisulpride 투여군은 vehicle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은 혈장 prolactin수치를 보였다. Triglyceride는 모든 집단에서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으며 glucose는 수컷 risperidone 투여군에서만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결 론 Amisulpride는 암수 생쥐에서 체중 증가를 일으키지만, 대사 이상에 대한 결과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amisulpride에 의한 체중 증가에 암수 생쥐에서 서로 다른 기전이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서 오로스 메칠페니데이트의 내약성과 안전성

        김효원(Hyo-Won Kim),고복자(Bock Ja Ko),박태원(Tae Won Park),신윤오(Yun O Shin),이정섭(Jeong-Seop Lee),정운선(Un-Sun Chung),조인희(In Hee Cho),최태영(Tae Young Choi),반건호(Geon Ho Bahn)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12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3 No.S

        We review the effect of methylphenidate, focusing on Osmotic-controlled Release Oral delivery System (OROS) methylphenidate, on cardiovascular system, appetite and growth, sleep, tic, epilepsy, psychiatric and rare adverse events. Although OROS methylphenidate has side effects including increased heart rate or blood pressure, decreased appetite, delayed sleep onset, emergence or aggravation of tics, withdrawal or changes in mood, these effects appeared to be minimal in impact or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risk to untreated population and tended to be improved by dose adjustment or drug discontinuation. However, in subjects with underlying cardiac problems, uncontrolled epilepsy, previous psychotic episode, clinicians should pay attention and balance the risk and benefit.

      • KCI등재후보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Heat Shock Protein 70(HSP70) 유전자 다형성

        이대호(Dae-Ho Lee),이선우(Sun-Woo Lee),왕성근(Seong-Keun Wang),신윤오(Yun-O Shin),지익성(Ik-Seoung Chee),김정란(Jeong-Ran Kim),이영호(Young-Ho Lee),김지욱(Ji-Wook Kim)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6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2 No.2

        목적 : 본 연구는 정신 분열병과 관계 있다고 알려진 HSP70 유전자 중, HSP70-2(HSPA1B) 유전자 다형성에 초점을 맞추어 정신분열병과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DSM-Ⅳ 진단기준에 의해 진단된 정신분열병 환자군 104명과 정상 대조군 1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HSPA1B 유전자형 판별을 위해 restriction fragment length enzyme(RFLP)을 이용한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이 사용되었다. 결과 :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HSPA1B 유전자형의 분포는 AA 32(30.8%), AG 57(54.8%), GG 15(14.4%)였으며, 대립 유전자의 빈도는 A 121(58.2%), G 87(41.8%)였다. 정상 대조군에서 HSPA1B 유전자형의 분포는 AA 35(32.7%), AG 63(58.9%), GG 9(8.4%)였으며 대립 유전자의 빈도는 A 133(62.1%), G 81(37.9%)였다.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대조군 간 HSPA1B 유전자형의 분포와 대립 유전자의 빈도에 있어서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환자군을 성별, 정신과적 질병의 가족력, PANSS scale에 따른 증상 심각도 등의 변수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도 유전자형의 분포와 대립 유전자의 빈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들에서 HSPA1B 유전자 다형성이 정신분열병의 병인과 관계가 없음을 나타낸다. 가족-기초 비교 위험 연구와 정신분열병의 다른 임상적 변수들을 포함한 향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The heat shock protein 70(HSP70) is believed to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schizophrenia with regards to neurodevelopment. An aberration in the HSP70 has been proposed in schizophrenia patients, suggesting that it is a candidate gene for schizophrenia.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polymorphsims of HSP70-2(HSPA1B) and schizophrenia. Methods:One hundred and fou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One hundred and seven normal controls were enrolled in the study. A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with restriction fragment length enzyme(RFLP) was used to genotype the HSPA1B polymorphisms. Results:1) In schizophrenic patients, genotype distributions of the HSPA1B polymorphism were AA 32(30.8%), AG 57(54.8%) and GG 15(14.4%), and allele frequencies were A 121(58.2%), and G 87(41.8%). In normal control, genotype distributions of the HSPA1B polymorphism were AA 35(32.7%), AG 63(58.9%) and GG 9(8.4%), and allele frequencies were A 133(62.1%), and G 81(37.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llelic or genotype frequencies of the HSPA1B polymorphisms between the schizophrenia patients and the controls. 2) There were no difference in genotype distribution and allele frequencies of the HSPA1B polymorphism, when patients were categorized by sex, family history of psychiatric disease, severity of symptom with PANSS scale.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a HSPA1B polymorphism is not causally related to the pathogenesis of schizophrenia in the Korean population. Further study of HSPA1B polymorphism should be needed, including family based association study and other clinical variations of schizophrenia.

      • KCI등재후보

        청소년 물질 남용, 의존 환자에서 세로토닌수송단백질 유전자의 다형성

        이선우(Sun-Woo Lee),왕성근(Seong-Keun Wang),신윤오(Yun-O Shin),지익성(Ik-Seong Chee),이영호(Yoeng-Ho Lee),이현정(Hyun-Jung Lee),조정혜(Jung-Hye Jo),김준호(Jun-Ho Kim),서홍석(Hongseok Seo)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6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2 No.1

        목적 : 최근 청소년에서 약물 남용 문제가 늘어나고 그 시작하는 연령이 어려지고 심각도에서 지속적으로 심해지는 실정이다. 특히 청소년의 경우에는 인격형성 및 신체적 성장 단계에 있기 때문에 이러한 예민한 시기에 막대한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약물 남용으로 인하여 신체적 및 정신적 약물의존 상태 뿐만 아니라 약물 중독에 이르게 되어 이러한 정도가 심해지면 환각, 망상과 같은 정신병적 증상에서부터 각 약물의 금단 및 중독 증상을 일으켜 건강에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으며, 건전한 가치관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처 인성 발달에 지장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최근 우리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청소년 약물환자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에 많이 연구되어진 사회심리학적 연구 및 실태 연구보다 근원적인 원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의 알코올리즘 및 니코틴 중독 환자에서 보고된 기능적 세로토닌 운반체 유전자의 연관성을 청소년 약물 남용 환자에서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국립감호정신병원에 입원한 물질남용이나 물질의존으로 진단 받은 55명의 청소년 환자와 62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능적 세로토닌 운반체 유전자형을 판별하기 위해 중합효소 연쇄반응과 제한효소 및 전기영동을 시행하여, 유전자형 및 대립유전자의 분포를 비교하였다. 또한 환자군은 가족력의 유무, 사용한 약물 횟수, 약물 사용의 빈도, 범죄 동반유무 등과 같이 다양한 임상 변수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과 : 환자군과 정상대조군 사이의 유전자형(χ²=3.915, df=2, p=0.041)에서는 차이는 없었으나, 대립유전자(χ²=3.966, df=1, p=0.046) 빈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이고 있었다. 환자군에서 흡연하는 아집단에서는 흡연하지 않은 아집단에 비해 SS 유전자형 분포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으며(χ²=8.615, df=2, p=0.017), S 대립유전자 빈도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χ²=9.92, df=1, p=0.002). 또한 물질에 대한 금단증상이 있었던 아집단이 금단 증상이 없었던 아집단보다 S 대립유전자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χ²=3.929, df=1, p=0.047).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환자군과 정상대조군 사이에 기능적 세로토닌 운반체의 대립유전자 분포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이는 기능적 세로토닌 운반체 유전자의 다형성이 한국인 청소년 물질 남용 발병에 유의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S 대립 유전자와 흡연, 금단증상과의 연관성은 세로토닌 운반체 유전자의 다형성이 물질 남용의 아형 내지는 증상발현에도 부분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예상케 한다. 따라서 추가 대상자 확보와 함께 향후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diagnosed with either substance abuse or dependence and a polymorphism of the promoter region of the 5-HTT gene(5-HTTLPR). Methods : We compared the genotype distributions and allele frequencies of the serotonin transporter gene polymorphism in 55 adolescents diagnosed with either substance abuse or dependence and 62 normal subjects. In addition, further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substance abuse or dependence grou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rotonin transporter gene polymorphisms and various clinical factors, including the age of onset, the number of criminal events, the use of alcohol, the history of smoking, the type of substance use disorder,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history of substance use. Results :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llele frequency(χ²=3.966, df=1, p=0.046) between patients and controls. When the genotype distribution and allele frequency of the serotonin transporter gene were compared in the patients according to the clinical variance, the distribution of the SS genotype(χ²=8.615, df=2, p=0.017) and S allele(χ²=9.92, df=1, p=0.002)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patients with smoking than without smoking. And the distribution of S allele(χ²=3.929, df=1, p=0.047)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patients with withdrawal symptom than without withdrawal symptom.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5-HTTLPR polymorphism seems to have a potential role as the genetic factor of substance abuse or dependence in adolescent. Further systematic researches including varying variables of phenotype would be requir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간호학과 학생의 신체변형장애에 관한 연구

        김지욱(Jee-Wook Kim),김수영(Soo-Young Kim),강문희(Moon-Hee Gang),이선우(Sun-Woo Lee),김정란(Jeong-Lan Kim),왕성근(Seong-Keun Wang),신윤오(Yun-O Shin),이태경(Tae-Kyung Lee),지익성(Ik-Seung Chee)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7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3 No.2

        Objectives: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prevalence, characteristics and comorbidity of BDD in Korean nurse college students. Methods:Korean versions of BDDE-SR, MOCI, BDI, SES, LSAS were applied to 607 Korean nurse college students. Results:1) Five factors were extracted in BDDE-SR by factor analysis with the Varimax rotation. They were‘preoccupation, distress, embarrassment factor’,‘avoidance factor’,‘checking, comparing, camouflaging factor’,‘dissatisfaction factor’,‘importance factor’. 2) Sex differences in dissatisfied body parts on whole body, head hair, whole face, genitals, breasts were significant by chi-square test. 3) Eighteen participants(2.97%) were satisfied with DSM-IV criteria A and B of body dysmorphic disorder(BDD group). 4) The most dissatisfied body part was entire leg, eye, nose, waist-abdomen, calves in BDD group. 5) Differences between BDD group and non-BDD group on age and weight were significant by Mann-Whitney U-tests. 6) Differences between BDD group and non-BDD group on BDI, MOCI, LSAS-anxiety scale, LSAS-avoidance scale, SES were significant by Mann- Whitney U-tests. 7) Differences between men and female on BDDE-SR factor 1, BDDE-SR factor 2, BDDE-SR factor 3, BDDE-SR total factors, LSAS-avoidance scale were significant by Mann-Whitney U-tests. 8)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contributing variance toward the total factor score of BDDE-SR of participants was BDI, and others were BMI, LSAS-anxiety scale, age, MOCI, SES in order of contribution. Conclusion:Our results indicate that BDD is a common disorder and is high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xiety,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symptoms, poor self-esteem. The authors suggest that future researches should be directed to obtaining clinical data of the patients with BDD. 목적 : 저자들은 대전지역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신체 변형장애의 임상 특성과 관련 심리적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하였다. 방법 : 한국판 신체변형장애 척도, 한국판 Maudsley 강박행동 질문지, 한국판 Beck 우울증 척도, 한국판 자아존중감 척도, 한국판 Liebowitz 사회 불안 척도를 607명의 간호학과 학생에게 시행하였다. 결과 : BDD군은 18명(2.97%)이었으며 가장 마음에 들지 않는 신체 부위로 다리 전체, 눈, 코, 허리-배, 종아리 순을 보고하였다. non-BDD군보다 BDD군에서 우울감, 강박증, 자존심 저하, 사회 불안-회피 성향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간호학과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신체 변형장애 성향에 가장 영향을 주는 변인은 우울감이었으며 BMI, 사회 불안 성향, 연령, 강박증, 자존감 순이었다. 여학생의 경우 신체변형장애 성향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우울감, BMI, 사회 불안 성향, 연령, 강박증, 자존감 순이었다. 남학생의 경우 신체변형장애 성향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우울감, 강박증 순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향후 신체변형장애 연구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많지 않은 표본수를 감안할 때 우리의 연구를 실증하기 위해 보다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신체변형장애 환자들에 대한 임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