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피질 내 유골골종과 유사하게 보이는 골피질 내 골전이: 증례 보고

        신유리,김지영 대한영상의학회 2007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7 No.2

        Cortical metastasis usually occurs in the diaphysis of the long bones with the appearance of a cookie-bite pattern; this is associated with cortical destruction extending into the soft tissue as well as into the medullary cavity, or there can be a periosteal reaction. We report here on a 66-year-old woman who was diagnosed with intracortical metastasis in the proximal metaphysis of the right femur as an initial metastatic focus from primary lung cancer. CT detected an intracortical osteolytic lesion without cortical destruction or thickening. The MR images showed extensive peritumoral edema in the surrounding soft tissue and adjacent bone marrow edema, and this all mimicked osteoid osteoma. 피질 전이는 보통 긴 뼈의 골간에 과자 한입 깨문 형태로 생기면서 골수 공간과 주변 연조직까지 확대되는 피질파괴와 골막 반응을 동반한다. 우리는 골피질 내 유골골종과 유사한 소견을 보이는 오른쪽 대퇴골의 골간단에 골피질 전이를 보인 66세 여자 환자에 대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컴퓨터 단층 촬영 소견,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병리소견을 보고한다.

      • KCI등재

        Sjogren 증후군에서 신주위와 신동의 양성 림프세포증식질환: 증례 보고

        신유리,정승은,박용구,안국진,이재문,박경신 대한영상의학회 2008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8 No.3

        Sjo ¨gren 증후군에서 신동과 신주위에서 발생하여 악성림프종으로 오인된 양성 림프세포증식질환을 보고한다. CT에서 병변은 양측 신동에서 균일하게 조영증강되는 연부조직종괴와 신주위로 얇은 연부조직 띠로 보였다. 초음파에서도 신동의 저에코의 종괴와 신주위의 저에코의 띠로 보였다. 스테로이드 치료 후 병변은 소실되었다. 드물지만 Sjo ¨gren 증후군에서 림프종과 유사한 양성 림프세포증식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조직학적 검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장애정체감의 하위차원별 영향요인과 함의

        신유리,김정석,허준기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8 No.-

        While disability identity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studies of the disabled, there has been few empirical research on whether and how it differed among the disabled.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easures of disability identity in total and its five components in individual – human value, acceptance of disability, civil rights, common ground, and external barrier. The factors considered in the study include social relations(experience of discrimination, social suppor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sex, age, education etc.) and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degree, cause, type and length of the disability). The analysis, based on the 2nd wave survey on the disabled persons conducted by SSK research team, revealed that there were common variables affecting five components in a similar way. This was the case with social support. Thus, it was reasonable to view social support as a promoter of disability identity. In the meanwhile, there were found variables with different influences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disability identity. Education level has affected on disability acceptance of all components of disability identity. For human value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effective were disability caused by accident and heavy disability: for civil rights and external barrier,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physical disability, visible and hearing impairment; for common ground, age. The findings on variation in significant variables across the five components of disability identity suggest that the use of disability identity as a single measure require detailed caution in research plan. In addition, they provide a ground for more strategic approach to enhance disability identity in practice. 장애정체감은 장애인들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많이 이용되기는 하나, 이를 대상으로 한 본격적인 한국 내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장애정체감을 5개의 하위차원(인간으로서의 가치, 장애수용, 시민권리의식, 공통근거, 외적장애물인식)으로 구분하고 각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사회적 관계(가족 및 사회적지지, 차별경험), 사회인구학적 특성(연령, 성별, 교육수준, 혼인상태 등), 장애특성(장애유형, 장애원인, 장애정도 등)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팀에서 수집한 제2차 장애인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장애정체감의 하위차원에 공통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함께 각 차원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확인되고 있다. 사회적지지는 앞서 언급한 모든 하위차원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정체감의 각 차원들은 공통적으로 사회적 지지가 많을수록 높아진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초대졸 이상의 교육은 장애수용 차원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한편, 인간으로서의 가치에서는 사회적지지, 중증장애와 사고로 인한 장애가, 장애수용에서는 사회적지지, 교육수준과 미혼, 중증장애가, 시민권리 의식은 사회적지지, 차별경험과 지체, 시각장애, 여성이, 공통근거는 사회적 지지와 연령, 외적장애인물 인식은 사회적 지지와 청각장애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위차원의 성격에 따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다를 수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는 장애정체감 단일 지수로 활용하는 연구에서 면밀한 사전 점검이 요구되며, 또한 장애정체감 향상을 위한 실천적 노력이 보다 전략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기한다.

      • 어린이 유튜브 채널에 대한 비판적 담화 연구

        신유리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20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20 No.-

        이 연구는 어린이 유튜브 콘텐츠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어린이 유튜브의 문제점을 진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튜브 콘텐츠를 ‘사회적 관행’ 이자 ‘실제 사용하는 언어’ 의 개념인 ‘담화’ 로 인식하여 텍스트적, 담화적, 사회적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콘덴츠에 등장하는 어린이의 실제 주거 공간이자 놀이공간인 ‘집’ 은 장난감이 넘쳐나는 비일상적인 곳으로, 콘텐츠에서 이른바 ‘놀이’ 라고 칭해지는 것은 경제적 비용을 필수적으로 수반하는 활동으로 표상된다. 이와 같은 표상은 물질주주의에 기반한 아이들의 행복 담론과 연결된다. 한편, 유튜브 시청자인 아동은 ‘어린이’, ‘구독자’, ‘소비 자’ 의 정체성을 동시에 지니며 이는 어린이 유튜브의 장르적 특성과 관련된다. 즉, 어린이로서의 사용자에게는 오락을, 구독자로서의 사용자에게는 정보를 제공하며 잠재적인 소비자로서의 사용자에게는 상품을 광고하는 것이다. 이러한 담화 관행의 맥락에서, 엄마와 또는 아빠와 노는 행위는 가정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사적이고 개인적 차원의 활동이 아니라, 유튜브라는 매체 관행에서 소비되는 공적이고 형식적인 활동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전환의 동인은 시장경제의 논리에 있으며, 이는 유튜버 아동의 부모와의 경험을 상품으로 만드는 동시에, 구독자 아동의 진정한 행복과 유익함이 무엇인지 성찰하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children’s YouTube content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and identify problems with children’s YouTube. To this end, YouTube content was recognized as ’discourse’, a concept of social practice’ and ’language in use’, and analyzed in textual, discourse, and social contexts. The ’house’, which is the actual residential space and play site for children in the content, is represented as an extraordinary place full of toys. Also, what is called “play” in the content is represented as an activity that essentially involves economic costs. This representation is linked to the discourse of happiness for children based on materialism. On the other hand, children who are YouTube viewers have the identities of ‘children’, ‘subscribers’ and ‘consumers’ at the same time. And this is related to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YouTube. In other words, it provides entertainment to users as children, conveys information to users as subscribers, and advertises products to users as potential consumers. In the context of this discourse practice, playing with a mother or father functions as a public and formal activity consumed in the media practice of YouTube, rather than a private and personal activity in the realm of the family. The driving force behind this transformation lies in the logic of the market economy, which makes YouTuber children’s experiences with their parents a commodity, while it allow us to reflect on what the true happiness and helpfulness of subscriber children.

      • KCI등재

        여성장애인의 직업활동에서의 적응유연성 과정에 관한 연구

        신유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7

        his study is for deeply exploring the resilience process of Job activiti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To this study, 14 women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 in various job activities, have been interviewed and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based on Strauss and Corbin(1998). There were 206 concepts, 62 sub-categories, and 22 categories revealed by open cod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silience process, there was five stages being derived in it: 'perception', 'being oppressed', 'standing against', 'discernment', 'maintenance'. The core category of selective coding was 'building up interactional ability beyond social barriers'. This study showed the details of the process and types with an in-depth understanding the resilience process of job activiti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using grounded theory as well as construction and policy and clinical involvement on the study of women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직업활동에서의 적응유연성 과정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을 가지고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 Corbin, 1996)의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직업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장애인의 적응유연성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여성장애인 14명을 심층면접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개방코딩을 통해 206개의 개념과 61개의 하위범주, 2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참여자들의 직업활동에서 적응유연성 과정을 분석한 결과, ‘인식’, ‘억눌림’, ‘맞섬’, ‘통찰’, ‘유지’의 다섯 단계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의 핵심범주는 ‘사회적 장벽을 넘어 유연한 상호작용력 확보하기’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직업활동에서의 적응유연성 과정의 구성개념과 과정, 핵심범주, 상황모형 등을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이에 관한 이론적, 정책적, 실천적 개입에 함의를 지닌다.

      • KCI등재

        말안장내 신경초종(Intrasellar Schwannoma): 증례 보고

        신유리,유원종,임연수,김진아,성미숙,이해규 대한영상의학회 2006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5 No.6

        Schwannomas usually arise from sensory nerves, and most often from the vestibular component of the acoustic nerve. Intrasellar and parasellar schwannomas are exceedingly rar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m from typical pituitary macroadenomas because of their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emblance. In this report, we present an unusual case of an intrasellar schwannoma with a suprasellar extension that radiographically simulated a pituitary macroadenoma. 신경초종은 청신경에서 주로 발생하며 매우 드물게 말안장 내나 말안장 주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뇌하수체 거대선종과 유사한 소견을 보여 영상 소견으로는 감별이 어렵다. 저자들은 말안장 내에 위치하면서 말안장 위로 연장한 소견을 보이는 말안장 내 신경초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한다.

      • KCI등재

        국내산 식재료를 활용한 가정간편식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선택속성에 대한 제품 유형별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신유리,이호진 한국식품영양학회 2021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consumer selective attributes by home meal replacement (HMR) types using local ingred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4 to December 8, 2020. A total of 380 responses organized according to preferred types of HMR (100 for Ready to Eat (RTE), 92 for Ready to Heat (RTH), 88 for Ready to Cook (RTC), 100 for Ready to Prepared (RTP)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descriptive analysis, paired t-test, and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by HMR typ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er selective attributes by HMR type. RTE and RTC need to improve quality while RTH needs to improve quality and packaging. Notable selective attributes were quality, packaging, and information. They were located in different quadrants of each HMR type. All other attributes appeared in the same quadran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quality, packaging, and information for each HMR typ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ducts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each type of HMR products using local ingred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