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 기능종목의 현황과 전망

        신영문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2 무형문화연구 Vol.0 No.6

        In here, we study the craftsmanship of the Seou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pointed out the problem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Seoul have been systematically protected since the enactment of the ‘Seou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Ordinance’ in 2016.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the survey and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has been systematically changed, and the budget and man- power for conservation have been expanded. The most striking changes are that the Degital recording has been initiated and that the recognition of holde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has been converted from individual investigations to collusion. These changes not only greatly help to maintain the typicality of the craftsmanship, but also eliminated the preemptive effect of the craftsmanship resulting from the existing individual surveys. In the atmosphere of this change, the masonry of Seoul was designated as a craftsmanship in 2019, and the Majestic Buddhist flower Decorate and Shamanic Paper flower Making became the new Seou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22. The Majestic Buddhist flower Decorate is designated as a group craftsmanship without holders, and future activities are noted. The Buddhist Temple is inseparable from the rituals of the temple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activities of tradition will take place through a holding group centered on monks and re-believers. However, the concern in this situation is the maintenance of the material or techniqu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clear definition of conversion at the Seoul City Government level, and the holding group needs to make efforts to maintain the dyeing materials and techniques of paper, secure traditional tools, and make self-production efforts. As the Majestic Buddhist flower Decorate is designated as the only group craftsman- ship without holders among the Seou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e expect that in the future, there will be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investigation and designation of Seou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 제도의 시작은 1970년부터다. 서울특별시 문화재보호조례가 제정・공포되면서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의 개념이 생겨났다. 그러나 무형문화재의 종목과 보유자의 지정은 무형문화재 제도가 시작된 지 십 수 년이 지난 1989 년부터였다. 초기에는 장기적인 계획 없이 국가로부터 제1호 칠장을 지정할 것을 권고 받아 지정하게 되었다. 그렇게 시작된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 전승보호활동은 지금까지 40여 년간 이어져 오면서 다양한 전승자를 배출해왔다. 서울특별시에서는현재 기능과 예능을 포함하여 52개 종목을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서울시에는 이밖에 사라져가는 전통문화 보호 사업을 해마다 벌이고 있다. 그런데 이 사업은 공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어 특정인이나 단체를 대상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는다루지 않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제도적으로 정착이 되어 있는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에 대해 다루면서 기능종목에 초점을 두어 무형문화재 전승활동을 개관하고자한다.

      • KCI등재

        漢陽都城의 개축과 지방 동원 체계의 변화

        신영문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논총 Vol.47 No.-

        조선 태조대 축성되어 세종대 개축된 한양도성은 축성시기별 역역 동원방식이달랐다. 초축시기인 태조대에는 단위축성 구간이 고르게 배분되었고 세종대에는인구의 다소에 따라 차등이 있었다. 태조대에는 중앙의 관료조직에 의해 감독된반면 세종대에는 지방관의 책임에 의한 축성이 이루어졌다. 한양도성 각자성석에따르면 태조대에는 600척씩 규격화된 구간에 축성관련 관료들이 조직화되어 기재되어 있다. 세종대에는 축성구간이 일정하지 않고 축성에 동원된 군현의 명칭만을새겨 놓았다. 낙산일대의 각자성석에는 ‘군현명+造排始’라는 각자의 조합 형태를띠는 구간이 존재한다. 이 구간은 홍주의 翼軍과 청주의 翼軍 일부로 이루어져 있다. 세종대 역역징발은 군사적 성격이 가능한 軍翼道體制의 편제에 따라 이루어졌다고 판단된다. 이를 통해 볼 때 조선 초기의 지방제도와 이에 따른 역역체계는세종대를 전후하여 변화가 이루어졌다고 본다. 한양도성 축성은 군익도체제가 자리 잡고 鎭管體制로 나가는 발판이 되었다. Hanyangdoseong was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of the Joseon Dynasty and was rebuilt during King Sejong's reign. The National wide mobilization system adopted in construc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period. Building sections were evenly distributed when the Hanyangdoseong was first constructed. At the second period there was a gap in the length of the construction sections depending on the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Unlike the reign of King Taejo, which was construc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t was built by the local government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Inscribed Stones of Hanyangdoseong shows that in the Taejo’s period, central officials systematically constructed sections that were standardized at 180 meters(600chok;尺).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length of the Wall was uneven. The stones were engraved with only the names of the regions mobiliz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Hanyangdoseong. The stones on Naksan Mountain are inscribed with the inscription 'the names of the regions + Jobaesi(造排始)'. The Inscribed Stones were engraved with the names of the Ikgun(翼軍) in Hongju-Mok(洪州牧) and Chungju-Mok(淸州 牧) region in this section. The National wide mobilization of King Sejong's reign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Gunikdocheje(軍翼道體制) system. It is believed that the local system and mobilization system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chang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Construction of Hanyangdoseong became a backdrop to the development of the Gunikdocheje (軍翼道體制) system Into the Chinkwancheje(鎭管體制) system.

      • KCI등재후보

        고고학 분야에서 지역박물관 학예인력의 역할

        신영문(Shin, Young-moon) 북악사학회 2020 북악사론 Vol.11 No.-

        지역박물관과 학예인력은 매장문화재 조사 전문기관과 광역시도의 서포터가 아니라 지역문화의 중심으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시스템에 끌려가는 사업체계가 아니라 조사사업의 핵심인 해석과 복원작업의 주도권을 쥐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고고연구의 중심기관으로서 지역박물관의 위상을 정립할 수 있으며 지역에서 벌어지는 고고연구의 지속가능한 발전도 가져올 수 있다. 지역 고고학 자료의 아카이브로서의 지역박물관, 아카이브를 이용한 지역사의 복원은 다른 박물관이 지니지 못한 차별화된 가치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다. 이러한 성과들이 차곡차곡 쌓여갈 때 지역박물관은 지역의 고고학 정책 완성과 집행을 하는 기획기관이자 실무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Regional museums and curators must play the role of regional culture center, not supporters of archeological property research. To do so, it is important to take the initiative in interpretation and restoration work, which is the core of the research project, rather than the business system dragged by the existing system.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position as a regional museum as a central institution of archeological research, and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of archeological research performed in the region. A regional museum as an archive of regional archeological materials, and the restoration of regional history using the archive is a way to secure the differentiated value that other museums did not have. As these achievements accumulate, the regional museum is a planning agency that completes and enforces the archeological policy of the region, and could serve as a working bo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