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大學) 한문교육(漢文敎育)에서의 교수(敎授)·학습방법론(學習方法論)의 현황(現況) -매체(媒體)의 활용(活用)에 관한 사례연구(事例硏究)를 중심으로-

        송호빈(宋好彬) ( Song Ho-bi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2

        대학의 한문교육은 중등학교의 그것과 다르다. 대학의 한문교육은 다양한 목표 ㆍ 내용 ㆍ 수준의 한문 활동들이 느슨하게 모여 하나의 범주를 형성한다. 대학의 한문교육론은 교육의 목적 ㆍ 현황 ㆍ 과제에 대한 연구, 커리큘럼 및 교재에 대한 연구, 교수 ㆍ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 기타 연구로 구성된다. 각 연구들은 이론에 대한 논의보다는 현황 및 사례에 대한 보고 또는 그것에 입각한 방안의 모색과 구상 수준의 연구가 주를 이루어왔다. 특히 교수 ㆍ학습방법론은 20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제출되었다. 교수 ㆍ 학습방법론의 성과는 ① 내용 및 대상에 따른 방법, ② 매체를 활용한 방법, ③ 글쓰기 교육과의 접목, ④ 인성교육에서의 활용, 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로 구분된다. ①은 비교적 전통적인 교수 ㆍ 학습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③, ④, ⑤는 성과가 적지 않으며 한문교육의 현장을 변별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별도의 하위 영역으로 다룰 수 있다. 특히 ②는 최근 20여 년간 급속히 진행된 교육 환경의 변화에 대학의 한문교육이 어떻게 대응해갔는지 가장 잘 보여준다. 본고는 ②에 대해 활용 매체의 종류와 경향, 매체를 활용하는 이유, 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의 차례로 서술하였다.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differents from that in secondary schools.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ctivities of incorporating various goals, contents, and levels, is loosely gathered together to form a category called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t universities. A Research on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consists of research on the purpose, status, and tasks of education, research on curricula and textbooks, research o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other research topics. Rather than discussing theory, each study focuses on reporting on the status of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as well as case studies, and seeking conceptual-level solutions based on the findings. In particular, research on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universities was submitted in earnest from the 2000s. The achievement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divided into research on ① methods according to contents and subjects, ② methods using media, ③ combining writing education, ④ utilization in personality education, and ⑤ methods for Korean learners. ① incorporates relatively traditional teaching- learning methods, while ③, ④, and ⑤ can be treated as separate sub-regions in that they show the amount of performance and the site of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differently. In particular, point ② shows the most clearly demonstrates how the university’ levels Chinese Character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s responded to changes in the rapidly progressing educational environment over the past 20 years. This paper describes the types and trends of media used, the reasons for, and the methods of using media.

      • 외란 변동에 강인한 유도전동기의 외란 상쇄 관측기

        송호빈(H.B. Song),서영수(Y.S. Seo) 전력전자학회 2003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2003 No.7(2)

        This paper described a robust control of an induction motor using a disturbance cancellation observer of a feedforward control with Matlab simulink. The speed response of conventional PI controller characteristics is affected by variation of load torque disturbance. In this system, the speed control characteristics using a feedforward control toughen about a load torque disturbance.<br/>

      • KCI등재

        『화동창수집(華東唱酬集)』 소수(所收) 일본·베트남·류큐 관련 자료에 대하여

        송호빈 ( Song Ho-bin ) 민족어문학회 2021 어문논집 Vol.- No.91

        『華東唱酬集』은 한문학의 시대 끝자락에서 다양한 문헌들이 離合集散하며 또 다른 문헌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본고는 『화동창수집』의 이러한 국면을 일본·베트남·류큐 관련 자료를 통하여 논하였다. 金秉善은 『화동창수집』 간송본 서문에서 隋唐 이후 이루어진 韓中 文人 간 唱酬詩文의 集成을 천명하였지만 실제로는 일본·베트남·류큐 관련 자료들도 함께 모으고자 하였다. 『화동창수집』에는 우리나라와 세 나라의 교류와 관련하여 우리나라 31명, 일본 27명, 베트남 6명, 류큐 6명의 문인과 그 작품(목록)을 수록하고 있다. 16세기 이전 자료는 『(續)東文選』, 17세기 이후 자료는 개인 文集에서 주로 취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김병선은 주요 문집들의 抄本을 만들었으며 『東文抄』, 『外國詩抄』도 편집하여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17~18세기에 나온 類書나 筆記雜錄도 적극 활용하였다. 朴善性의 『茨山箚錄鈔』, 韓致奫의 『海東繹史』, 李德懋의 『淸脾錄』이 그 예이다. 또 주변 인물들을 통해 19세기 이후 當代에 이르기까지의 최신 자료도 덧붙여 갔다. 道光帝에게 응제한 시를 모은 『上國賡和錄』, 塩谷世弘의 『隔鞾論』, 修信使로 일본에 다녀온 金綺秀와 창화한 작품들, 宮本小一과 李容肅, 近藤眞鋤·石幡貞과 洪祐昌이 최초의 근대적 외교 관계 속에서 주고받은 작품들이 그것이다. 『화동창수집』은 동아시아 교류(사)에 대한 폭넓은 시야 그리고 그 자료들을 집성해보려는 뜻을 前代로부터 이어받았으되, 중요한 인물이나 의미 있는 자료들을 상당수 누락하는 등 문헌을 살피고 다루는 식견과 방법에서는 적지 않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Hwadongchangsujib (華東唱酬集), compiled by Kim Byeong-seon (金秉善, 1830~1891), is a general collection of writings on China by Korean writers or vice versa and letters exchanged between the two countries from Gojoseon (古朝鮮) to the late Joseon (朝鮮) Dynasty. Kim Byeong-seon said he collected works related to Korea and China in the preface of the book. However, he actually wanted to organize information and works about Japan, Vietnam, Ryukyu. This inherits the perception of seniors who want to view cultural exchanges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from a broader perspective. However, the limitations of Hwadongchangsujib are clear, including many missing persons and materials.

      • KCI등재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모델링 및 MPPT 제어

        송호빈(Ho-Bin Song),백동현(Dong-Hyun Baek),조문택(Moon-Taek Cho) 대한전기학회 2010 전기학회논문지 P Vol.59 No.4

        In this paper, the simulation of solar system was used to facilitate PSPICE. Solar cells, Controller, MPPT system, DC-DC system modeling, and easy to use, made to the library.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library for the temperature and space radiation were simulated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simulation, the hardware was constructed to the same conditions. Implemented using the hardware and the DSP controller for a real system, the results were confirmed by experiments.

      • KCI등재

        燕巖의 산문에 나타난 울음에 대한 관찰과 사유

        송호빈(Song, Ho-b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9 No.-

        There are many poems and proses which express sorrow by crying, but few texts have deep views of the meaning of crying itself. Yeonam Park Ji Won(燕巖 朴趾源) also hadn't had an earnest discussion about crying itself, but left several texts showing the clue to the thought of crying. Yeonam observed crying people around him and looked insids them in 「兪景集哀辭」 and 「士章哀辭」. Especially he observed crying in funeral ceremonies and discovered that people bursted out crying without regard to a ritual. Yeonam deepened his thought in 「桃花洞詩軸跋」 which showed his observation of active crying unaffected by external factors. And he developed the theory that the object should be filtered into the subject to approach the truth with no interference. Not only did he advance a epistemology by crying. He also considered the way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Josun by the other side of crying in 「好哭場論」 which was contrast to Heo Kyun's 「慟哭軒記」 in respect of recognizing the reality by cryi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how the understanding of crying in Classical Chinese proses had been changed over time and to prove how these proses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Classical Chinese proses. Also,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reason these proses appeared mainly in the later Joseon Dynasty is the growth of ritual studies(禮學) which rather triggered the thought about crying. 詩나 哀祭類 산문에서 울음을 통해 자신이나 다른 이의 슬픔을 표현한 작품은 많지만, 자신 나아가 인간의 울음 자체에 대해 본격적으로 관찰하고 사유한 글은 그다지 많지 않은 듯하다. 燕巖도 울음 자체를 본격적으로 논하지는 않지만 몇 편의 작품 속에서의 울음에 대한 관찰과 사유의 단초를 남겼다. 연암은 「兪景集哀辭」와 「士章哀辭」에서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울음을 관찰하고 우는 이의 내면을 응시하였다. 특히 울음을 喪禮라는 규범 속에서 관찰함으로써 진정한 울음이란 儀式에 구애받지 않고 터져 나오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나아가 연암은 「桃花洞詩軸跋」에서 외부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자발적인 울음을 관찰한 이야기를 하며, 대상의 진리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주체가 일체의 외부 조건들에 간섭받지 않고 그 대상에 직접 침투해야 한다는 인식론을 펼쳤다. 울음을 통해 이와 같은 인식론을 펼친 연암은 또다른 울음의 모습을 통해 조선이라는 현실공간을 인식하는 시각과 방법에 대해 사유한다. 「好哭場論」에서 현실공간을 회의하고 부정해왔지만 그 공간을 늘 의식 속에서 깨뜨려오다 그것을 실증한 울음으로 현실공간에 대한 인식과 극복의 방법을 사유하였다. 이 글은 울음으로 현실공간을 인식한다는 점에서 許筠의 「慟哭軒記」와 대비된다. 울음에 관한 한문산문 속에서 특정한 울음의 인식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變奏되는지, 그리고 울음을 다룬 산문작품이 시대와 산문사 발전의 맥락에서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가라는 문제를 과제로 삼고 있다. 다만 울음에 관한 글이 주로 조선 후기에 보이는 것은 이때에 들어 정착·발전·확대된 禮學이 오히려 울음에 대한 고민을 촉발시켰고 이것이 여러 한문산문 속에 담긴 것이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흥무왕연의(興武王演義)』의 타장르문체 수용과 연의소설(演義小說) 지향

        송호빈 ( Song Ho-bin ) 우리어문학회 2020 우리어문연구 Vol.68 No.-

        李鼎均(1852~1899)이 지은 장편한문소설 『興武王演義』는 총 31편의 타장르문체를 수용하고 있다. 詩歌 15편, 上疏文 1편, 檄文 1편, 祭文 2편, 書簡 3편, 頌 2편, 表 1편, 史評 5편, 碑銘 1편이다. 본고는 ① 작가가 피인용 작품의 작자나 작품명 등을 잘못 언급한 예, ② 출전을 밝히지 않았지만 실은 기존의 작품이나 기록을 차용한 예, ③ 현대의 역주본이 이정균의 잘못을 그대로 따르거나 작품 구분을 잘못하거나 『흥무왕연의』의 원본에 따라 작자만 기록하고 그 출전을 밝히지 않은 경우 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타장르문체의 수용과 활용은 작가의 창작 기법 및 주제 의식과 관련이 있다. 작가는 기존의 「金庾信傳」이 이미 어느 정도 서사문학적 성격을 갖추고 있지만 두 가지 측면에서 부족함이 있음을 지적하고, 그것을 극복하고 보완하는 일을 창작의 지향점으로 삼았다. 첫째, 플롯을 강화함으로써 자신을 극복하고 세계와 갈등하는 인간으로서의 김유신을 묘사해내고자 하였다. 둘째, 백제와 고구려, 김유신 이외의 인물들에 대한 자료를 보완함으로써 신라 중심의 서사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작가는 이 두 가지 목적을 위해 타장르문체를 적절하고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이는 演義小說의 창작 기법 및 주제 의식과도 상통한다. 『흥무왕연의』가 英雄小說의 범주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나, 연의소설을 지향하여 그것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구현해보려는 의식을 지니고 있었음을 엿볼 수 있다. 특히 史評의 인용 방식 등이 『三國志演義』, 그 가운데서도 羅貫中本(1494년)과 유사하다. The pluristylism of the novel has already been noted by Mikhail Mikhailovich Bakhtin. He said that the pluristylism was a synthesis of the different styles which were created by a writer. This paper presupposes that the pluristylism of the novel includes styles which were quoted from other literary works or historical reports. This report notes that Heungmuwang-Yeonui (興武王演義) quoted many other styles. Therefore this report focuses on how and how much different styles contribute to the pursuit of writing techniques and the theme. The writer of Heungmuwang-Yeonui criticized Kim yu-shin Jeon (金庾信傳) in Samguk-Sagi (三國史記) giving two reasons. Firstly, Kim yu-shin described in Kim yu-shin Jeon did not overcome his weakness and face the world well. Secondly, Kim yu-shin Jeon excessively focused on Kim yu-shin and Silla(新羅). The writer made up for defects of Kim yu-shin Jeon (金庾信傳) by arranging different style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plot. Yeonui(a novel amplified by a writer) was described with an emphasis on a nation not a person and showed an interpretation of history. Therefore different styles in Heungmuwang-Yeonui contributed to the pursuit of Yeonui in both sides of writing techniques and the theme.

      • KCI등재

        이계(耳溪) 홍량호(洪良浩)의 천문관(天文觀)에 나타난 사유방식의 궤적 -실증 경험과 전통 관념 사이의 전개

        송호빈 ( Ho Bin Song ) 민족어문학회 2009 어문논집 Vol.- No.60

        이 글은 洪良浩의 천문에 관한 산문에 나타난 천문관과 사유방식의 일면을 전통 관념과 실증 경험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홍양호는 경흥으로 좌천된 직후 쓴 「撫夷堡日月出記」에서 새로운 천문 현상을 직접 관측하고 그 실증 경험에 기쁨과 확신을 갖는다. 그렇지만 이는 전통 관념의 세계와 병존하는 것이었다. 그는 첫 번째 燕行 길에 쓴 「遼野日出記」에서 지리적 공간에 의해 형성된 편견의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지식에 의해 논증한다. 이 과정에서 전통 관념과 실증 경험의 충돌이 일어난다. 그는 실증 경험의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그것을 유교 경전의 권위 아래에 두는 절충의 방법으로 이 충돌을 해결하고자 한다. 홍양호는 두 번째 燕行 이후 더욱 적극적으로 서양 과학을 수용한다. 그 결과 그는 유교 경전이 경험세계를 온전히 포괄하지 못하거나 그것과 불합치함을 인정한다. 그는 「渾儀閣記」에서 유교적 역사관을 통해 관념과 경험의 충돌을 피하는 동시에 경험의 가치를 더욱 강조한다. 이러한 사유방식은 徐命膺이 易學을 통해 서양으로부터 들어온 새로운 천문학을 합리화했던 작업 및 崔漢綺의 경험주의적 학문론과 비교된다. This study is considering the view of astronomy in Hong Yang-ho`s prose about astronomy in terms of experience and traditional ideals. "Muiboilweolchulki"(「撫夷堡日月出記」) written after his demotion to Kyung-heung(慶興) shows he made astronomical observations and felt confident about his new experience. However, his experience conflicted with traditional ideals of those days. He raised questions about prejudice formed by geographical conditions in "Yoyailchulki"(「遼野日出記」) written on his first diplomatic trip to Beijing(燕行). And his demonstration in this prose brought about the confliction between experience and traditional ideals. He took a compromise that gave authority to Confucian ideas while admitted the value of experience as to solve this conflict, but he found out that Confucian ideas could not include or concur with experience as a result of accepting Western science more enthusiastically after his second trip to Beijing.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while avoided the confliction between experience and traditional ideals by accepting the historical view of Confucianism in "Honuikakki"(「渾儀閣記」). His thought can be compared with Seo Myung-eung(徐命膺)`s study that rationalize Western astronomy by Yukhak(易學) and Choi Han-ki(崔漢綺)`s Empiricism.

      • KCI등재

        역관(譯官) 김병선(金秉善) 관련 문헌·자료의 집성(集成)과 생애 재구(再構)

        송호빈 ( Song Ho-bin ) 우리한문학회 2016 漢文學報 Vol.35 No.-

        본고는 金秉善 연구의 기초작업으로서, 그와 관련된 각종 문헌과 자료들을 집성하고 그의 생애를 재구해보았다. 김병선의 저술 가운데 現傳이 확인된 책은 『華東唱酬集』, 『行?錄』, 『金石目攷覽』 등이다. 金秉善의 詩文을 輯佚하면 詩 28수, 序跋 4편, 行狀 2편, 尺牘 2편, 기타 2편 정도가 된다. 또 아들 金準學, 金奭準 등의 동료, 문인 李祖訓, 龍繼棟 등의 청나라 문인, 繆?孫 등 淸末民國期 학자들의 김병선에 대한 언급과 평가가 남아 있다. 특히 許振?는 김석준 編 『海客詩?』에 수록된 김병선의 詩에 다수의 評批를 남겼다. 김병선의 생애는 1883년 53세를 기점으로 이전의 활동기와 이후의 은거기로 대별할 수 있다. 그는 본래 은일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으며 1883년을 전후한 격동의 시기에 다소 소극적·보수적 경향을 보이며 자료집성이라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학술·문예 활동을 한다. 동료들과의 교유에서도 여타 기술직 중인들과 달리 詩社 등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국내외 동료들과의 교유는 주로 繪畵를 매개로 이루어졌다. 본고의 집성과 재구에는 여전히 미진한 부분이 많다. 필자는 앞으로 이러한 기초작업을 보완해가면서 김병선의 編著와 詩文에 대한 개별 연구를 해나가고자 한다. As a preliminary study of 金秉善, this article compiles his works and writings about him and reexamines his life. The works of Kim that have been discovered include such books as 華東唱酬集, 行?錄 and 金石目攷覽, and other literary works―28 in verse and 10 in prose. Literature on him includes reports about and commentaries on him by a number of writers such as his son, 金準學; colleagues, including 金奭準; a pupil, 李祖訓; a writer from the Qing dynasty, 龍繼棟; and modern scholars, including 繆?孫. Of special importance are 許振?`s numerous commentaries on the poems of 金秉善 published in 海客詩? edited by 金奭準. The year 1883, when Kim turned 53, marked a turning point in his life, as he retired to a hermitage after years of active writing. As a solitary and conservative man, he indirectly engaged in art and academic affairs largely by compiling existing texts during the chaotic times around 1883. It is also reported that, contrary to other technocrats from the Jungin class, he rarely joined organizations such as poetrysocieties(詩社); he interacted with colleagues―within and outside the country―mainly via paintings. The compilation and reexamination conducted in this article is in many respects incomplete. The author undertakes to conduct further research on the edited works and literary works of 金秉善 to develop this preliminary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