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별적 저나트륨 투석액 적용이 혈액투석 환자의 체중증가, 혈압 및 투석 중 부작용에 미치는 효과

        송지숙,김은숙,이유나 병원간호사회 2013 임상간호연구 Vol.1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low sodium dialysate (LSD) rather than conventional dialysate on interdialytic weight gain (IWG), blood pressure (BP), and intradialytic side-effects (ISEs) in patients on maintenance hemodialysis (HD).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in 43 patients, who were treated in the university hospital over 8 weeks. Each participant’s serum sodium set point was measured using dialysate sodium 140 mEq/L during the first 4 weeks. For the next 4 weeks dialysate sodium concentrate (134, 136, and 138 mEq/L) was provided to each participant but only to an experimental group (EG) (n=22) based on the individual set point, although 140 mEq/L dialysate was given to all of the control group (CG) (n=21). Consequently, outcomes including IWG, BP, and ISE were evaluated. Results: In EG, difference of pre-HD SBP (p=.047) and post-HD serum sodium (p=.006)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CG. Also, ISEs was not more frequent in EG.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WG (kg & %), pre-HD DBP, post-HD SBP & DBP, and serum osmolality in EG. Conclusion: Individual application of LSD in patients on maintenance hemodialysis is beneficial to decrease pre-HD SBP and post-HD serum sodium without increasing ISE. Therefore, LSD can be better treatment than conventional dialysate.

      • KCI등재

        고등학생의 부정적 정서상태 및 자아개념이 진로의사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송지숙,안귀여루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the relationships among negative affect, self-concept,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order to be used as a preliminary data during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o help adolescent. 339 students of high schools were surveyed in the southern Gyeonggi Province. For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seven scales as follows; Spielberger's STAI(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XI(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DS(Self-rating Depression Scal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Self-Esteem Inventory, Career Decision Scal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ventory.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among negative affects, trait ange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areer decision level. Secondly, among the above mentioned five negative affect states, social fea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l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ore rose higher when self-concept of a high school student was high. Finally, negative affect explain career decision more than self-concep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부정적 정서상태, 자아개념, 진로의사결정,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밝혀 진로지도 및 상담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경기 남부 인문계 고등학생 339명에게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상태불안 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상태-특성 분노척도(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우울척도(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 두려움 검사, 자아개념검사, 진로 의사 결정 검사 및 진로준비행동검사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부정적 정서 상태 관련요인 중, 고등학생의 특성분노가 높을수록 진로의사결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두려움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자아개념이 긍정적일수록 진로의사결정과 진로 준비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정적 정서와 자아개념이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살펴보면 부정적정서가 자아개념보다 진로의사결정을 더 많이 설명해주는 반면, 자아개념은 부정적 정서상태보다 진로준비행동을 더 많이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년기 무효화 환경과 고통 감내력 부족이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자기표현의 매개된 조절효과

        송지숙,구본용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1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invalidating childhood environment, distress intolerance on adolescent non-suicidal self-injury(NSSI) and whether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self-expression. This study analyzed 730 data collected to aged 13∼19 adolescent in Gyeonggi Provinc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V2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more experience of the invalidating childhood environment, the more NSSI increases and the more distress intolerance, the more increased the adolescent NSSI. On the other hand, self-expression has been shown to decrease NSSI. The invalidating childhood environment has been shown to the mediating role of distress intolerance, self-expression was found to moderating role. Finally,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self-expression was confirm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유년기 무효화 환경, 고통 감내력 부족이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표현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재학 중인 13∼19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집한 73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24.0을 이용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년기 무효화 환경 경험이 많을수록 비자살적 자해가 증가하고, 고통 감내력이 부족해질수록 비자살적 자해가 증가하지만, 자기표현은 비자살적 자해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년기 무효화 환경은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통 감내력 부족이 매개역할을 하고, 자기표현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표현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SCOPUS

        현삼의 액체배양에서 체세포배 형성에 대한 치상조직과 생장조절제의 영향

        송지숙,임완상,채영암 韓國藥用作物學會 1998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6 No.4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대량 번식 방법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현삼 조직의 액체배양에서 직접 체세포배 발생에 미치는 치상조직과 식물 생장조절제의 상호영향을 조사하였다. 식물체의 부위에 따라 전혀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잎, 줄기 및 엽병조직을 치상한후 체세포배 발생 정도를 살펴본 결과 줄기 절편을 배양하였을 때 체세포배 발생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유식물체로 발달되기까지 약 3주의 기간이 소요되어 빠른 속도로 성장이 이루어진 반면, 뿌리의 형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엽병을 접종 재료로 하여 3주간 배양하였을 때는 직접체 세포배를 통한 shoot는 형성은 되었으나 줄기 절편에 비해 체세포배 발생율은 낮았으며, 뿌리 발생도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잎조직을 액체 배지에 치상하였을 경우 체세포배 발생에 소요되는 기간이 줄기와 엽병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었으며 , 배양 8주 후에는 완전한 식물체로 발달하였다. 액체배양에서 체세포배 형성에 영향하는 생장조절제로는 BA효과가 컸으혀, BA에 옥신류인 IAA와 NAA를 첨가함에 따라 탈분화가 진행되어 체세포배 발생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짧은 배양 시간 동안 많은 유식물체를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은 BA 05 mg/ l 나 1.0 mg/ l 로 첨가시킨 NS 액체배지에 줄기 부위를 치상 조직으로 이 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이었다. The factors affecting direct somatic embryogenesis from different parts of explant in liquid culture of Scrophularia buergeriana were investigated. Direct somatic embryogenesis was dependent on the explant tissues and stem was the most efficient explant. Rapid shoot development occurred on stem after 3-week culture but roots were not developed yet. Plantlets were not formed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after 3-week culture of petiole. Though direct somatic embryo was not observed from leaf segment culture for 3 weeks, normal plantlets were developed after 8-week culture. BA played the main role for somatic embryogenesis in liquid culture and adding of either IAA or NAA caused rather adverse effects. Culture of stem segments in MS liquid medium with BA at 0.5 mg/ l or 0.1 mg/ l was proved to be the most efficient method for producing plantlets through direct somatic embryos.

      • KCI등재

        청소년의 유년기 무효화 환경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간에 고통 감내력 부족과 비자살적 자해 결과기대의 이중매개 효과

        송지숙,구본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유년기 무효화 환경, 고통 감내력 부족, 비자살적 자해 결과기대,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청소년의 유년기 무효화 환경과 비자살적 자해 간에 고통 감내력 부족과 비자살적 자해 결과기대가 이중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13세부터 19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737부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22.0)를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각각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년기 무효화 환경과 비자살적 자해 간에 고통 감내력 부족이 정(+)적인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유년기 무효화 환경과 비자살적 자해 간에 비자살적 자해 결과기대도 정(+)적인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유년기무효화 환경과 비자살적 자해 간에 고통 감내력 부족, 비자살적 자해 결과기대의 이중매개효과가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이처럼 유년기 무효화 환경과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 부족과 비자살적 자해 결과기대가 이중매개함으로비자살적 자해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의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