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송재익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1 초등국어과교육 Vol.28 No.-
글깨치기는 글자를 소리 내어 읽은 것으로만 한정해야 한다. 의미 이해나 깊이 있는 독해, 맞춤법 학습은 차츰 시간이 지나면서 아이들이 배워나가는 것이지 글깨치기 단계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따라서 아이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입말이 발달되어, 들은 낱말이나 문장을 이해하게 되는 다섯 살 정도가 글 깨치기를 할 수 있는 알맞은 때다. 통글자식은 배우지 않는 글자는 읽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글깨치기의 목적은 모르는 글자도 읽을 수 있는 데까지 나아가는 것이다. 그렇게 하려면 글자와 소리가 대응하는 원리를 찾게 해야 한다. 따라서 낱자식을 기본으로 해야 한다. 닿소리 이름 익히기는 글 깨치기를 어렵고 힘들게 만들 뿐이므로, 낱자의 소릿값을 알게 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그리고 닿소리와 홀소리를 익히는 순서도 자주 쓰는 것부터, 모양이 간단한 것부터, 소리내기가 쉬운 것부터 익혀야 효과가 있을 것이다.
송재익 청람어문교육학회 2024 청람어문교육 Vol.- No.98
이 글은 문학 갈래에 대한 몇 가지 논쟁을 정리해 보고 문학 갈래를 문학 교실에서 다룬다면 어떻게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할지 그 방향을 탐색해 본 글이다. 문학의 큰 갈래를 몇 가지로 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서로 생각이 다르다. 문학의 갈래를 나누는 기준에 대해서도 서로 생각이 다르다. 이름씨꼴 갈래 이름보다는 매김씨꼴 갈래 이름을 쓰자는 주장도 있다. 갈래를 규정하기 어려운 문학에 대해서 연구자마다 생각이 다르다. 먼저 문학 갈래를 가르치고 배우는 일이 필요한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둘째, 배우는 이의 수준에 맞게 문학 갈래에 대한 지식이나 내용을 다듬고 손질해야 한다. 셋째, 문학 갈래에 대한 여러 쟁점을 소개해 주어야 한다. 넷째, 학생들이 관심이나 흥미를 보이는 문제를 탐구 과제로 정하여 함께 탐구해 볼 수 있다. This article summarizes some controversies about literary genres and considers how to teach literary genres in literature classrooms.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on the question of how to define the major genres of literature. There are different ideas about the criteria for dividing literary genres. There is also an argument for using adjective genre names rather than noun genre names. Different researchers have different opinions about literature, whose genre is difficult to define. First, we need to consider whether teaching and learning literary genres is necessary. Second, the knowledge or content of literary genres must be refined and refined to suit the level of the learner. Third, various issues regarding literary genres should be introduced. Fourth, students can choose issues of interest as research tasks and explore them together.
한․미 간 UTB 공시 사례 비교를 통한 K-IFRS 2123호 도입 효과와 개선방안
송재익,박시훈,김갑순 한국세무학회 2021 세무학 연구 Vol.38 No.3
K-IFRS No.2123 has been applied for financial year starting on or after 1 January 2019, is a new IFRS Interpretation clarifies accounting treatments related to corporate income tax under uncertainty. K-IFRS 2123 is similar but not actually identical to ASC 740-10 (usually known as FIN 48) of US GAA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IFRS 2123 disclosure regulations introduced in 2019 and propose limitations and improvements to the disclosure requirements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isted entities under US GAAP and IFRS/K-IFRS in the U.S. and Korea. K-IFRS No.2123 addresses how to apply the recognition and measurement K-IFRS 1012 when there is uncertainty in the treating corporate income taxes. Thus, this study compared the provisions of ASC 740-10 and K-IFRS 2123, which stipulate tax accounting under uncertainty, and derived the needs of improving the syste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our groups cases (U.S. companies listed in the U.S., European companies listed in the U.S., and Korean companies listed in the U.S.,and Korean companies listed in Korea. Proposal of the improvements of K-IFRS 2123 present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First, K-IFRS 2123 provides relatively vague criteria for judgment or information used in assumptions and estimates, with fewer items of the disclosure requirements themselves compared to ASC 740-10 under US GAAP and K-IFRS also states the company should determine by itself whether the disclosures be disclosed or not. Consequently, an entity’s response or behavior would be made in a way not to disclose in most cases with the basis K-IFRS 2123.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pdate or adds the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annotations in the form of amendments to the Interpretation, etc. Second,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K-IFRS 2123,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detailed and clear accounting, disclosure requirements and relevant example cases through the revision of the Interpret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ar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isclosures required by K-IFRS 2123 and ASC 740-10 and analyzes the disclosure cases of listed companies in the U.S. and Korea by categorization to present the K-IFRS 2123 disclosure status and propose future improvement. 2019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된 K-IFRS 2123호는 법인세 처리의 불확실성과 관련된 회계처리를 명확히 하는 새로운 IFRS의 기업회계기준해석서이다. K-IFRS 2123호는 US-GAAP에 따른 ASC 740-10(일반적으로 FIN 48로 알려짐)과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본 연구에서는 US-GAAP에 따른 ASC 740-10에 따라 UTB 관련 주요 사항을 모두 공시하고 있는 미국의 상장기업 사례와 한국 기업의 IFRS 2123호 최초 공시사례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바탕으로 2019년에 도입된 IFRS 2123호 공시규정의 실효성과 공시내용의 조세회피측정치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시규정의 한계점과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K-IFRS 2123호는 법인세 처리에 불확실성이 있을 때 K-IFRS 제1012호의 인식 및 측정 요구사항을 어떻게 적용할지 회계처리에 필요한 사항을 다룬다. 이에 본 연구는 불확실성하의 법인세 회계처리를 규정하고 있는 US-GAAP에 따른 ASC 740-10와 K-IFRS 2123호의 규정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4가지 유형(미국 상장기업 중 우리나라 소재 자회사 등이 감사보고서를 공시한 기업, 미국에 상장된 한국 기업, 미국에 상장된 유럽기업, 한국에 상장된 한국기업)을 구분하여 해당하는 대표기업 사례를 공시내용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제도의 개선 필요성 및 그 방향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K-IFRS 2123호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K-IFRS 2123호의 경우 US-GAAP에 따른 ASC 740-10에 비하여 공시요구사항 자체의 절대적인 항목 수도 적고 그 내용도 판단 근거나 가정과 추정 시 사용한 정보 등으로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공시사항 자체도 공시할지 말지의 여부를 판단하라고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의 반응 또는 행동은 공시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규정을 근거로 대부분의 경우 공시하지 않는 방향으로 의사결정을 할 것이다. 따라서 주석공시 요구사항을 해석서 개정 등의 형태로 반영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실무적인 항목별 판단 및 회계처리에 대한 내용의 경우 현재는 분쟁 가능성 및 불확실성의 기준을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해석서 개정을 통하여 결론도출근거 등을 더욱 상세하고 명확하게 규정하고 관련 사례 등을 추가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K-IFRS 2123에서 요구하는 주석공시사항과 ASC 740-10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미국과 한국의 상장기업의 공시사례를 유형별로 비교 분석하여 K-IFRS 2123 공시현황과 향후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송재익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2 초등국어과교육 Vol.29 No.-
오늘날 교과교육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내용교수지식(PCK)은 여느 교수법이나 교수 모형과 다르게, 교사가 교과의 내용을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게 잘 가르치는 솜씨로, 교사 개인의 경험이나 실천에서 얻는 슬기란 점에서 교사의 교과 전문성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잣대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연구들이 쌓이면서 내용교수지식에 대한 풀이가 연구자들마다 다르고, 내용교수지식이 담고 있는 것들이 너무 많아져 교사가 하는 일이나 교사의 전문성과 다르지 않게 되어버렸다. 또한 내용교수지식은 교사의 실천 속에서 암묵지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틀이나 얼개로 뚜렷이 나타내기 힘들다. 그리고 내용교수지식은 교과의 내용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교과 내용 중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내용교수지식의 테두리를 좁힐 필요가 있고, 어떤 틀이나 모형으로 보이기(명시지)보다는 교사의 경험과 실천 속에서 만들어 나가는 솜씨나 슬기(암묵지, 실천지)로 다루어야 한다. 또한 교과 내용을 반드시 배우고 익혀야 하는 절대 진리로 여길 것이 아니라, 지식을 다시 구성하고 새롭게 만들어나가는 밑감(소재, 자료) 정도로 여겨야 한다.
베트남전시 한국군의 독자적 작전지휘권 행사와 채명신 사령관 역할 연구
송재익 육군군사연구소 2014 군사연구 Vol.- No.137
ROK and the U.S. agreed to transfer the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the Korean forces on December 1, 2015. North Korean nuclear missile threats occurred last year, ROK and US decided to have estimates on the terms and periods for the repostponement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OPCON) in the first half of 2014 in the 45th SCM. I think that there is significance to study how the Korean Forces conducted the operational command(OPCOM) independently in the Vietnam war. As the U.S. army intervenes in the Vietnam war under the goal of preventing communization of South-East Asia. US requested dispatch of troops to nations of the alliance in 1964. ROK started to dispatch its troops to Vietnam after dispatch's bills pass of congress, the issue of OPCOM arose, and Chae Myung Shin, the first Korean commander in the Vietnam war, made a big role to obtain original OPCOM. When Commander Chae commander passed away last year, he was buried in the Vietnam war veteran burials of soldiers following his will, being the first to be buried in the National Cemetery as a former general. In the 50th year anniversary of the dispatch of ROK army in Vietnam war, I would like to highlight the role of the commander Chae Myoung Shin to conduct original ROK forces OPCOM. 한국군의 전시작전통제권을 2015년 12월 1일 전환받기로 하였으나 작년 10월 제45차 SCM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전작권이 전환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보고, 정부는 재연기 판단을 2014년 상반기에 한국군의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위한 조건과 시기를 결정하기로 하였다. 이런 시기에 베트남전쟁시 유엔사(UNC) 통제 하에 있던 한국군이 어떻게 하여 독자적인 작전지휘권을 행사할 수 있었는지 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1960년대 초 미국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공산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베트남전에 개입하면서 추가 병력이 필요하자 1964년 5월 동맹국 한국에 파병을 요청하였다. 1964년 7월 국회에서 파병안이 통과되고 한국군은 4차에 걸쳐 파병을 하였다. 1, 2차 파병은 이동외과병원, 태권도 요원, 건설지원단 등 비전투요원이었으나 1965년부터 전투부대가 파병되면서 한국군에 대한 작전지휘 문제가 대두되었다. 파견되는 한국군 전투부대가 독자적인 작전지휘권을 확보하고 베트남전에서 군사작전을 할 수 있었던 것은 한국정부의 노력과 특히 초대 주월사령관인 채명신 장군의 역할이 컸다. 채명신 사령관은 한미 작전회의시 미군으로부터 시간을 얻어 베트남전시 한국군의 독자적인 작전지휘권 행사 당위성을 주월 미군사령관 및 참모들을 대상으로 설득을 통해 독자적인 작전지휘권 행사 허락을 받아내었다. 또한 채명신 사령관은 작년 별세 후 고인의 유언에 따라 월남전 참전용사 제2묘역에 안장됐다. 묘비의 표지석에는 “그대들 여기에 있기에 조국이 있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채명신 장군은 장성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현충원 사병묘역에 안장됐다. 한국군 베트남전 파병 50주년 기념 특집에 한국군의 독자적 작전지휘권 행사에 관해 채명신 사령관 역할을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중・러 군사협력 변화와 동북아 안보 영향 연구: 한반도의 지정학 시각을 중심으로
송재익 세종연구소 2021 국가전략 Vol.27 No.3
In the era of US-China race in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China and Russia have become unusually active in military cooperation. China and Russia are not just military cooperation, but are conducting combined operational exercises and are conducting ground exercises as well as at sea and in the ai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in Sino-Russian military cooperation relations amid changes in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 order in Northeast Asia centered on the Korean Peninsula, analyze the impact of strengthening military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Russia on Northeast Asian security, and predict changes in military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Russia in the 2020s. Starting with the 2005 “Mission of Peace,” the drill has been carried out every year or every other year, and since 2012, the combined training of the ‘Joint Sea’ has been held. And China and Russia are developing into multilateral combined exercises, with Mongolia and other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Eastern-2018 drill. In particular, China-Russia military exercises were conducted in various ways in 2019. In April, near Qingdao joint naval drills in July, and trained combined flight drill in the East Sea and East China Sea. In September, the Chinese military also participated in the “Central-2019” joint military exercise, mobilizing 128,000 Russian troops. And on July 23, Sino-Russian bombers, fighter and, AWACS came into our KADIZ without permission and, in this situation. And Russia AWACS, A-50 invaded Dokdo territorial air for 7 minutes. Korean fighter planes had a scramble out and warning shots and Japan's Air Self-defense Force fighter jets engaged in this situation. So, Korea, China, Russia and Japanese military aircraft were tangled in their 30 airplanes on the East Sea. The fact that neighboring countries conduct military exercises on the ground, at sea and in the air as combined military exercises poses a major threat to security of South Korea and Northeast Asia due to high-level military cooperation. 21세기 들어 미중의 경쟁시대에 중・러는 단순한 군사협력이 아니라 연합작전훈련 수준으로 해상 및 공중뿐만 아니라 지상에서도 훈련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하는 동북아 지역의 국제질서 역학 관계 변화 속에서 중・러 군사협력 관계 변화를 지정학적 시각으로 분석하여 최근 중・러의 밀월 관계 의도를 파악하고, 중・러의 군사협력 강화가 한반도 및 동북아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도출된 영향을 토대로 2020년대 중・러 군사협력 변화를 전망하는 것이다. 중・러는 2005년 ‘평화의 사명’을 시작으로 매년 또는 한해 걸러 실시하고 있으며, 2012년부터 해상연합 훈련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리고 중・러의 ‘동방-2018’훈련에 몽골 등이 참여하며 다자 연합훈련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2019년 중・러 군사훈련은 다양하게 실시되었다. 4월에는 칭다오(靑島) 인근에서 해군 합동훈련, 7월에는 동해와 동중국해에서 연합 비행훈련, 9월에는 러시아 병력 12만 8000명을 동원하여 ‘중부-2019’ 합동군사훈련에 중국군도 참여하였다. 특히 2019년 7월 23일 중・러 폭격기, 전투기, 조기경보통제기들이 동해상에 만나 우리의 방공식별구역을 무단 진입하였으며, 러시아의 A-50 조기경보통제기가 독도 영공을 7분 동안 침범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그리고 2020년 3월 25일 중국 정찰기 1대가 KADIZ를 무단진입 하였으며, 2020년 12월 22일에는 중・러 군용기 19대가 KADIZ에 무단진입하고 이탈하였다. 향후 중・러는 더욱 군사협력을 발전시켜 나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한국의 대선과 한미일 공조를 시험하기 위해 2021년 후반기 및 2022년 전반기에 KADIZ에 대한 추가 도발을 예상할 수 있다. 이제 중・러는 연합 군사훈련을 넘어 연합작전 수준으로 한국 및 동북아 안보에 큰 위협이 된다고 평가할 수 있다.
宋載翼 울산과학대학 1979 연구논문집 Vol.4 No.-
內燃機關의 개스 流動은 機關性能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 중 流體의 送流能力을 파악한다는 것은 機關의 設計 및 特性을 알기 위해서 重要한 일이다. 本 硏究에서는 流體의 物性値를 變化시켜 밸브의 揚程의 變化에 따라 機關性能에 미치는 因子의 거동을 연구하는 目的을 두었다. I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ir flow has a great effect on output power. The coefficient of air flow decreases accroding to increases of the open and close area of valve and valve lift.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ing behavior of factor connected with engine performance acccoding to the change of valve left and material property value of air flow. The air flow is varied by the inlet pressure and crank angle.
송재익 판소리학회 2016 판소리연구 Vol.41 No.-
이 글은 판소리에서 이면과 더늠이 서로 관련이 있다고 보고, 더늠을 통해서 이면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채보 악보를 분석해봄으로써 그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본 글이다. 판소리에서 이면은 ‘사설과 예술적 표현의 들어맞음’이라는 간단한 뜻매김에서부터 ‘소리꾼의 판소리 사설의 해석의 의미’로 그 뜻을 넓혀 잡을 수 있으며 ‘사설을 바탕으로 한 예술적 표현의 새로운 창조’까지도 더욱 그 뜻이 넓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더늠은 ‘소리꾼들이 판소리의 예술성을 높이기 위해 특별히 개발해 낸 장기’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더늠은 이면을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소리꾼은 자신의 체험이나 세계관, 예술관을 바탕으로 판소리의 이면을 자기 나름대로 해석하고 자신이 해석한 관점에 맞는 예술적 요소를 창안하고 발전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더늠이 생겨나게 된다. 더늠은 대개 예술적 기량이 뛰어난 명창에 의해 개발되기 때문에 흔히 명창제 더늠이라 일컫는다. 예술적 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것이 음악인데, 그 가운데서도 악조를 중심으로 판소리 이면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판소리 여러 대목의 악보를 통해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더늠은 소리꾼들과 판소리 감상층이 요구하는 이면을 그려내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판소리는 우리네 삶의 감정의 복잡한 양상을 음악으로 담아내야 하기 때문에, 이면의 다양한 해석과 그에 따른 표현기법이 필요하다. 더늠은 이러한 다양한 표현을 가능하게 해주어 판소리 음악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준다. 요컨대, 판소리에서는 더늠을 통해 이면을 구현하고, 소리꾼들은 이면의 재해석을 통해 새로운 더늠을 창조한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myeon(a form of description interpretation) and Deoneum(personal style) in Pansori(a 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 By analyzing the music,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specific aspects of how Imyeon is embodied through the use of Deoneum. Imyeon in Pansori is simply defined as a suitability between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art. This concept is extended as an interpretation of a description of the singer. In addition, it can also be considered to be a new form of expression of art based on description. Deoneum is the singer’s specialty, which is developed by the singer to promote the artistry of Pansori. It plays an important part in expressing Imyeon. Pansori singers interpret the Imyeon of Pansori in their own way on the basis of their experiences, view of the world, and their view on art. They also devise and develop artistic elements that suit their viewpoint. In this process, a newly developed Deoneum is referred to as a master singer’s Deoneum because it is developed by a master singer who has excellent artistic skills. As the most important of the artistic elements is the music, I analyzed how Imyeon, through the Acjo(musical tone) of the music, is embodied in Pansori by studying the sheet music of several Pansori songs. As a result, I can confirm that Deoneum contributes to the expression of Imyeon that is required by Pansori singers and audiences. Since Pansori must contain an aspect of complex feelings that relate to our lives, it requires varying interpretations of Imyeon and expressive techniques in accordance with the interpretations. Deoneum enables these varying expressions and makes Pansori more meaningful. In short, in the Pansori, Imyeon is embodied through Deoneum, and singers create new Deoneum by reinterpreting Im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