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eborrheic dermatitis treatment with stellate ganglion block -a case report-

        송장,김건우,문기호,송정윤,김병건,정종권,이춘수,차영덕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6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69 No.2

        Seborrheic dermatitis is a chronic recurrent inflammatory disorder presumed to be caused by increased sebaceous gland secretion, metabolic changes in the cutaneous microflora, and changes in the host immune function. Stellate ganglion block (SGB) is known to increase the blood flow rate without altering the blood pressure, heart rate, or cardiac output, to stabilize hypertonic conditions of the sympathetic nerves, and to affect the endocrine and immune systems. It is us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autonomic nervous system disorders of the head, neck, and upper limbs. The authors report the first case of successful treatment of a patient with seborrheic dermatitis through repeated SGB trials.

      • 졸업생 추수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 모델에 관한 연구

        송장 경인여자대학 1997 경인논집 Vol.- No.5s

        우리나라 전문대학들은 외적 내적 원인에 의해 날로 심해져 가는 대학(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 혹은 각 전문대학)간의 경쟁속에서 스스로의 특성을 살리기 위한 산학협동의 일환으로서의 추수지도라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심각한 인식을 가지고 있지만 실상을 조사해 본 결과는 추수지도의 개념정의조차 제대로 내리고 있지 못한 상태에서 미취업 졸업생에 대한 지속적인 신상 파악과 취업 알선이나 현장 방문을 통한 일회성 지도등의 추수 '관리'차원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식과 기술이 급변하는 오늘날의 산업환경 속에서 우리 졸업생들의 실질적인 수요자격인 산업체를 만족시켜야만 격심한 경쟁을 이기고 수월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정말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다면 현재 행해지고 있는 방식의 전문대학 추수지도는 결코 만족스러운 것이 되지 못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인식에 바탕을 두고 졸업생 추수지도의 필요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검토해 본 후, 기존의 '추가교육', '재교육'등에 대한 개념 정의에 졸업생 추수지도의 특징을 가미한 '전문대학 졸업생 추수지도'에 대한 개념정의를 시도해 보았으며, 본격적인 추수지도와 계속교육의 시대에 대비하여 기존의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및 시행 모델들을 검토, 분석하고 전문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하는 추수지도라는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전문대학 졸업생 추수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 모델'을 고안 제시하였다.

      • 생득설 Innate Hypothesis과 특정영역 가설 Domain-Specificity의 타당성 검토

        송장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회 1995 영어영문학연구 Vol.17 No.-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보면, 현 단계에서는 ‘일반 인지능력으로부터 언어능력을 구분시킬 수 있다’고 말해주는 어떤 분명한 증거도 찾을 수가 없고, 더구나 독립된 언어능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발생학적으로 주어진 것인지에 대해서는 위에서 제시된 방법으로 밝힐 수가 없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 따라서 생성 문법이 그 이론의 기초로 삼고 있는 생득설과 특정 영역 가설이 옳은 것으로 검증받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향의 증거를 찾거나 인간의 과학이 두뇌의 신비를 완전히 밝혀낼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 영어 복수 명사구의 중의적 해석에 대한 연구

        송장 경인여자대학 1997 경인논집 Vol.- No.6

        본 논문은 배분적 해석과 집합적 해석 사이의 중의성 문제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검토하고 있다. 전반부에서는 집합적 해석과 배분적 해석을 중심으로 한 문장의 중의성 논의가 동사구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그렇지 않으면 주어로 사용된 복수 명사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종전 연구들의 검토를 통해 이러한 중의성 논의가 주어로 사용된 복수 명사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밝히게 된다. 이러한 전반부의 결론을 바탕으로 후반부에서는 복수 명사구의 중의성에 대한 정의와 중의적인 해석의 범위 결정 문제를 주로 논의하게 되는데, Gillon(1987, 1992)의 주어 중심 중의성 이론이 종전 이론보다 나은 점을 먼저 검토한 후 그가 제시한 '최소 커버'라는 개념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예들이 있음을 보이고 이 개념과 종전에 사용되던 '커버'라는 개념을 상호 배타적인 환경에 적절히 적용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Comparison of dexmedetomidine and epinephrine as an adjuvant to 1% mepivacaine in brachial plexus block

        송장,심희용,이동주,정종권,차영덕,이두익,김건우,한정욱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66 No.4

        Background: Dexmedetomidine extends the duration of nerve block when administered perineurally together with local anesthetics by central and/or peripheral action.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duration of nerve block between dexmedetomidine and epinephrine as an adjuvant to 1% mepivacaine in infraclavicular brachial plexus block. Methods: Thirty patients, scheduled for upper limb surgery were assigned randomly to 3 groups of 10 patients each. We performed brachial plexus block using a nerve stimulator. In the control group (group C), patients received 40 ml of 1% mepivacaine. In group E, patients received 40 ml of 1% mepivacaine containing 200 μg of epinephrine as an adjuvant. In group D, patients received 40 ml of 1% mepivacaine containing 1 μg/kg of dexmedetomidine as an adjuvant. Sensory block duration, motor block duration, time to sense pain, and onset time were assessed. We also monitored blood pressure,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and bispectral index. Results: In group D and group E, sensory block duration, motor block duration and time to sense first pain were prolonged significantly compared to group C.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D and group E. Conclusions: Perineural 1 μg/kg of dexmedetomidine similarly prolonged nerve block duration compared to 200 μg of epinephrine, but slowed heart rate. Thus, dexmedetomidine is expected to be a good alternative as an adjuvant to local anesthesia in patients who are cautioned against epinephrine.

      • 심장폐우회술 없이 시행한 간구역절제술과 하대정맥 및 우심방 혈전제거술의 마취 경험 - 증례 보고 -

        송장,이홍식,한정욱,정종권,김현주,신혜란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07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2 No.4

        The tumor thrombu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extending into the right atrium (RA) via the inferior vena cava (IVC) may cause fatal complications such as heart failure and pulmonary embolism. Surgery for removal of thrombus in the RA usually needs aid of cardiopulmonary bypass (CPB). We report a case of successful anesthetic management for simultaneous liver segmentectomy and IVC and RA thrombectomy without CPB.

      • KCI등재

        오금하동맥 폐색 환자에서 경피적 경혈관 풍선 혈관성형술: 임상적 결과 및 영향인자

        송장,이승진,정혜두,임재훈,장남규,이근배,임남열,김재규 대한영상의학회 201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5 No.3

        Purpose: To assess the efficacy of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PTA) in patients with infrapopliteal arterial disease, and to determine the influencing factor for prognosi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55 patients (60 limbs) with infrapopliteal arterial stenosis or occlusion underwent PTA. Atherosclerotic risk factors, clinical symptoms, TransAtlantic Inter-Society Consensus (TASC) classification, and vascular wall calcification were evaluated before PTA. The number of patent infrapopliteal arteries was estimated, and the outcome was evaluated by symptom relief and limb salvage. Results: Technical success was achieved in 53/60 limbs (88.3%) and 81/93 arteries (87.1%), TASC classification (p = 0.038) and vascular calcification (p = 0.002) influenced on technical failure. During follow-up, 26 of 55 limbs (47%) achieved symptom relief and 42/55 limbs (76%) underwent limb salvage. Non-diabetic patients (9/12, 75%) were superior to diabetic patients (17/43, 40%) in terms of symptom relief (p = 0.024). TASC classification and vascular wall calcification influenced on symptom relief and limb salvage. The number of patent infrapopliteal arteries after PTA influenced symptom relief (p < 0.001) and limb amputation (p = 0.003). Conclusion: PTA in patients with chronic critical limb ischemia is worthwhile as a primary treatment. The influenc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before PTA, and PTA should be performed in as many involved arteries as possible. 목적: 오금하동맥의 협착 또는 폐색이 있는 환자에서 시행한 경피적 경혈관 풍선 혈관성형술(PTA)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 PTA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오금하동맥의 협착 또는 폐색이 발생하여 PTA를 받았던 55명의 환자, 60 하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시술 전 동맥 경화성 위험인자, 임상 증상, TASC 분류, 혈관 석회화와 시술 전과 후의 정상적 혈류를 가지는 오금하동맥의 수를 평가하였고, 시술 후 증상 개선율과 하지 보존율을 추적하였다. 결과: 기술적인 성공은 53/60 하지(88.3%), 81/93개 혈관(87.1%)에서 있었고, TASC 분류(p = 0.038)와 혈관 석회화(p = 0.002)가 심할수록 실패 확률이 높았다. 시술 후 26/55 하지(47%)에서 증상 호전이 있었고, 42/55 하지(76%)에서 하지를 보존하였다. 당뇨병 환자(17/43, 40%)에 비해 비당뇨병 환자(9/12, 75%)에서 증상 개선율이 높았다(p = 0.024). TASC 분류와 혈관 석회화가 심할수록 증상 개선율과 하지 보존율이 낮았고, PTA 후의 정상적 혈류를 보이는 오금하동맥의 수가 많을수록 증상 개선율(p < 0.001)과 하지 보존율(p = 0.003)이 높았다. 결론: 만성 중증 하지 허혈 환자에서 PTA는 일차적 치료로서 충분한 유용성을 가진다. 또한 시술 전 PTA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며, 시술시 가능한 많은 병변에 재개통술이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