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의어유집(朝鮮醫語類集)』에 나타난 의학용어에 대해

        송영빈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동서인문학 Vol.0 No.59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medical terms in Korea and Japan through an extensive analysis of the book “Chosen Yigo Ruishū” which was written by Japanese naval medical officer Suzuki Yuzō in 1894. The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ree perspectives: 1) the correspondence of index words in “Chosen Yigo Ruishū” and “Yigo Ruijū Zōtei (醫語類聚 増訂)” (Okuyama Torafumi, 1878) were analyzed following the assumption that Suzuki used another medical glossary as a reference to select index words, considering how short it took him to make the publication;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book and other reports about his work were examined following the assumption that he selected words that were related to or frequently used in his duties as a navy commander in the Incheon district,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entries in this book is only 243 words; 3) a comparative analysis of “Medical Terminology”(Korean Medical Association, 2020) and “Japan Medical Terminology”(The Japanese Association of Medical Sciences, 2020)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entries in this book in Korea and Japan in the present (i.e. after 126 years of time have passed since original publication). Through this analysis, it became clear that there have been no significant changes in medical terms since the publication of “Chosen Yigo Ruishū” in Japan, but the easy-to-understand medical terms that were labeled as “Colloquial Words” in this book are registered as standard terms by Korean Medical Association in Korea. 『조선의어유집(朝鮮醫語類集)』 은 1894년에 일본인 해군 군의 스즈키 유조가 집필한 한국어 의학용어집이다. 이 책이 어떤 배경에서 어떠한 의도를 갖고 편찬되었으며 이 책에 수록되어 있는 의학용어가 어떤 성격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되지 않았다. 이 책은 제목에서 보는 것처럼 한국어 의학용어를 수록한 용어집이다. 특히 1894년이라는 간행 연도에서 볼 때 본격적으로 한국에서 서양의학 용어집의 번역은 물론 의학 교과서조차 번역 발간되기 전이라는 점에서 한국에서 의학 교과서가 나오기 시작한 것은 1908년 『무씨 산과학』부터이다. 은희철 정인혁 송영빈(2013),「3장 우리나라 의학용어의 역사」 『아름다운 우리말 의학용어 만들기』, 커뮤니케이션북스, pp. 140∼144. 이 책에서 수록하고 있는 한국어 용어에 대해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당시에는 일본어 의학용어 자체가 확립되지 않은 시기였으며 저자의 서문대로 급하게 표제어를 선정했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그 접근법이라는 것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관점에 한정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당시 스즈키가 의학용어집을 집필하면서 참조한 의학용어집이 있었을 것이라는 가정이다. 이것은 앞서 언급한 대로 짧은 시간에 용어를 선정했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두 번째는 그의 당시 한국에서의 역할과 이 책의 표제어 사이에는 분명 영향 관계가 있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세 번쩨는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일본어와 한국어 용어의 성격 규명이다. 이러한 문제를 풀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당시 그가 이 책을 쓰는데 참조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오쿠야마 도라후미(奥山虎章)의 1878년 이 책의 표지와 영문 머리말에 의하면 1877년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간기에는 메이지 11년 3월 20일 간행된 것으로 적혀 있어서 1878년이 정확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기술에서는 1878년으로 한다. 『医語類聚 増訂』 이후의 기술에서는 이를 특별히 명시할 필요가 있을 경우를 제외하고 『유취』로 부르기로 한다. 과의 비교를 통해 이 책의 성격과 가치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로 한다. 다만 이 용어집에 실린 한국어 의학용어 중에서는 해독이 불가능한 것이 많아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 연구로 미루고 일본어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기로 한다.

      • KCI등재

        가나시마 다이스이(金島苔水)의 근대 한국어 학습서 5종에 나타난 편찬 방침의 변화에 대하여 : 어휘 목록 수록 단어의 변화를 중심으로 

        송영빈 한국일어교육학회 2020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5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nges in compilation polic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ive modern Korean language textbooks by Kanashima Taisui that were published between 1904 and 1906. To this en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words on the vocabulary lists was conducte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prefaces, tables of contents, Korean notation, and grammatical errors of the textbooks, but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the area covered by the resent stud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nges of the compilation policies of these materials in greater detail by analyzing them from a lexical perspective that has not yet been addressed in previous studies, an approach leading to a deeper insight into linguistic content. 이 논문은 1904년부터 1906년 사이에 간행된 가나시마 다이스이의 한국어 학습 교재 5권의 어휘 목록에 등장하는 단어를 통해 이들 교재의 편찬 방침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나시마는 이들 5종의 교재를 약 1년 7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에 편찬한다. 이러한 점에서 이들 5권의 교재에 대해 연구자들이 주목한 것도 사실이다. 기존 선행 연구들에 서는 이들 교재에 대해 주로 서문과 목차, 한국어 표기, 문법 등에 주목하여 이들 교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 에서는 기존 연구와는 관점을 달리해서 어휘 목록에 나타난 단어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가나 시마의 편찬 방침의 변화를 추적하고자 한다. 어휘에 초점을 둔 이유는 교재 편찬에 있어서 우선 고려되어야 할 사항 이 어휘 목록의 작성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어떤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할지가 정해져야 하며 교재에서 다루어야 할 어휘가 정해지고 나면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문법을 적절히 배치하고 이에 맞는 회화문의 구성 도 가능하다. 이러한 가정에서 이 논문에서는 기존 선행 연구에서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던 이들 5권의 교재의 편찬 방 침의 변화를 면밀히 추적하여 이들 교재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평가를 내리고자 한다.

      • KCI등재

        Outcomes of Pregnancy in Women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A Single Center Experience in Korea

        송영빈,박승우,김준형,신대희,조성원,최진오,이상철,문주령,허준,강이석,이흥재 대한의학회 2008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3 No.5

        Pregnancy outcomes in pati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have not been fully assessed in Korea. Forty-nine pregnancies that occurred in 34 women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who registered at our hospital between September 1995 and April 2006 were reviewed. Spontaneous abortions occurred in two pregnancies at 6+1 and 7 weeks, and another two underwent elective pregnancy termination. One maternal death in puerperium occurred in a woman with Eisenmenger syndrome. Maternal cardiac complications were noted in 18.4%, pulmonary edema in 16.3%, symptomatic arrhythmia in 6.1%, deterioration of New York Heart Association (NYHA) functional class by ≥2 in 2.0%, and cardiac death in 2.0%. Independent predictors of adverse maternal cardiac events were an NYHA functional class of ≥3 (odds ratio [OR], 20.3), right ventricular dilation (OR, 21.2), and pulmonary hypertension (OR, 21.8). Neonatal complications occurred in 22.4% of pregnancies and included preterm delivery (16.3%), small for gestational age (12.2%), and neonatal death (2.0%). Independent predictors of adverse neonatal events were pulmonary hypertension (OR, 6.8) and NYHA functional class ≥3 (OR, 23.0). Pregnancy in women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ternal cardiac and neonatal complications. Pre-pregnancy counseling and multidisciplinary care involving cardiologists and obstetricians are recommended for women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contemplating pregnancy.

      • KCI등재

        『日韓會話三十日間速成』을 통해 본 가나시마 다이스이(金島苔水)의 인물상

        송영빈 한국일본근대학회 2020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9

        This study analyzed the three aspects of Kanashima Taisui’s personality that have been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from a more content-centric perspective. Previous studies assumed that Kanashima was 1) a non-expert of the Korean language, 2) an army interpreter, 3) a staff member at a publishing house. The present study points out the need of a cautious approach to these three inferences as they are in fact made upon different perspectives of evaluation criteria. Through the present study, it became clear that to objectify these inference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Kanashima Taisui’s personality through a precise analysis of the texts, including analysis on his linguistic ability, the details of the given situations of the dialogues included and their texts. 이 논문에서는 가나시마 다이스이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논의된 인물상에 대해 가나시마의 『日韓會話三十日間速成』을 통해 검토했다. 기존 연구에서 언급된 그의 인물상은 ① 한국어 비전문가, ② 육군 통역, ③ 출판사 편집국 직원이라는 추정이다. 이러한 추정은 각각 근거에 입각한 추정이다. 다만 한 인물에 대한 평가는 다양한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선행연구에서는 충분히 조명되지 않은 여러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 ① 한국어 비전문가라는 점에 대해 비록 공적인 기관에서 교육 받거나 가르치지는 않았지만 가나시마는 당시 한국어에 대해 상당한 능력을 갖고 있었다고 판단된다. ② 육군 통역이라는 기존 연구에 대해서는 그 가능성이 농후함을 부정할 수 없지만 ③의 출판사 편집국 직원이라는 점과 함께 고려하면 이 부분에 대해서는 시간적 경과를 고려해서 전직 군인이었고 『速成』 집필 당시에는 출판사에서 일했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주장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