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장티푸스 진단에 있어서 Vi-Indirect Fluorescent Antibody Test의 민감도 및 특이도

        장경희,류동렬,박성하,박병규,이준구,염준섭,최영화,송영구,김현숙,정윤섭,김준명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4

        목 적 : 장티푸스는 체액의 세균배양검사에서 Salmonella typhi의 분리로 확진하지만 조기진단을 위해서는 혈청학적인 검사가 도움이 된다. 저자 등은 1989년 이후 장티푸스진단에 S. typhi의 Vi항원을 이용한 간접형광항체법 (Vi-indirect fluorescent antibody test : Vi-IFAT)을 도입하였다. 이에 지난 7년간의 검사결과를 토대로 Vi-IFAT의 민감도 및 특이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89년부터 1996년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에 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여 Vi-IFAT가 의뢰된 환자 중 발열의 원인이 확진된 7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Vi-IFAT에 있어서 양성반응은 1:64이상으로 하였다. 결 과 : 1) 세균배양검사에서 확진된 장티푸스 환자 178예 중 168예에서 양성반응을 보여 민감도는 94.4%이었다. 항체가는 1:64가 89예, 1:128이 36예, 1:256이 27예, 그리고 1:512가 16예이었다. 위음성이었던 10예의 항체가는 1:32가 7예, 1:16이하가 3예이었다. 2) 발열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장티푸스 이외의 다른 질환으로 확진된 566예 중 538예에서 음성반응을 보여 특이도는 95.1%이었다. 항체가는 1:32가 117예, 1:16이하가 421예이었다. 위양성이었던 28예의 항체가는 1:64가 23예, 1:128이 5예이었으며, 장티푸스 이외의 살모넬라증이 4예, 요로계감염이 10예, 소화기계감염이 6예, 호흡기 계감염이 5예, 악성 종양이 2예, 그리고 바이러스 감염이 1예이었다. 3) Vi-IFAT 양성인 196예 중에서 장티푸스는 168예로 양성예측율은 85.7%이었으며, Vi-IFAT 음성인 548예 중 장티푸스 이외의 발열질환은 538예로 음성예측율 98.2%이었다. 4) 배양검사와 Widal test 사이의 일치율 (Kappa value)는 0.28로 poor agreement를 보였으며 Vi-IFAT와 Widal test 사이의 Kappa value는 0.74로 good agreement를 보였다. 그러나 배양검사와 Vi-IFAT 사이의 Kappa value는 0.86으로 excellent agreement를 보여 일치율이 가장 높은 검사는 배양검사와 Vi-IFAT라 할 수 있겠다. 5) 장티푸스 환자에 있어서 Vi-IFAT의 양성율은 발열기간이 1중 미만인 환자에서는 68%, 1내지 2주인 환자에서는 89.5%, 2주이상인 환자에서는 100%이었다. 결 론 : Vi 항원을 이용한 간접형광항체법 (Vi-IFAT)은 장티푸스 진단에 높은 민감도 및 특이도를 가지며, 또한 조기진단에 있어서도 임상적으로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 : Typhoid fever is diagnosed by culture or serological study. The confirmative diagnosis of typhoid fever is made by culture of the causative organism usually from body fluids. Serological test is a supportive diagnositic tool, which is useful for early diagnosis. In Severance Hospital, Vi-indirect foluorescent antibidy test(Vi-IFAT) using the Vi-antigen of Salmonella typhi has been used in the diagnosis of typhoid fever since 1989. We investigated the test results from the past 7 years, in order to clarify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Vi-IFAT.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done on patients whose chief complaint was fever and who were tested using Vi-IFAT in the Severance Hospital from 1989 to 1996. The positive value for Vi-IFAT was defined as 1:64 or higher. Results :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Vi-IFAT for typhoid fever was 94.4% and 95.1%, respectively.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85.7% and 98.2% respectively. Positive rates of Vi-IFAT after fever onset increased with time and 68% were positive before the first week. From the first to the second week, 89.5% were positive and after the second week, 100% were positive. Conclusion : Vi-IFAT is not only a valuable serologic test for the diagnosis of typhoid fever, but also useful in the early diagnosis of the disease.

      • 이식형 피하 중심정맥 카테터와 관련되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상균 형태의 진균혈중 4예

        조영준,류동렬,장경희,최영화,송영구,박은숙,김준명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5

        면역 억제 환자에서 동정시 오염이거나 무해한 군락으로 여겨지던 사상균 형태의 진균들이 감염의 원인으로 규명되고 있다. 이는 광범위한 세포독성 항암제의 사용과 동반된 백혈구 감소증과 광범위 항생제의 사용, 수술과 카테터의 삽입 등과 연관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이식형 피하중심정맥 카테터를 삽입하고 있는 악성 종양환자에서 항암 화확요법 중 카테터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상균 형태의 진균혈증을 나타낸 4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Mold form fungi such as Fusarium, Acremonium, and Sporothrix species are thought to represent contamination or harmless colonization when isolated from immunocompromised patients. More recently, the pathogenic role of these fungi has been clearly established. The role of implantable subcutaneoue central catheters as potential portals of entry for mold form fungus has been underestimated. We describe four cases of implantable subcutaneous central catheter related mold form fungemia in patients with cancer. One patient responded well only after removal of the implantable subcutaneous central catheter, two patients responded after catheter-removal and Ⅳ fluconazole but one patient did not in spite of catheter-removal and amphotericin B.

      • 관통성 흉부손상에 의한 구역기관지 파열의 기관지성형술 : 1례 보고 Report of a case

        류한영,김정태,김대준,임상현,노환규,소동문,이철주,송영구,황성철 아주대학교 1996 아주의학 Vol.1 No.2

        Rupture of segmental bronchus is an uncommon injury, although the frequency of penetrating chest trauma continues to escalate. Early diagnosis and meticulous repair are essential for good chinical results in there patients. Here we report a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segmental bronchial rupture resulting from a penetrating thoracic injury. The patient is a 38 years old male who was injured while riding a motorcycle by its handle on the left chest. The initial symptoms were dyspnea and chest pain. An open wound with foreign body was visible on the anterior axillary line of the left chest. The preoperative chest x-ray revealed a hemopneumothorax, and a foreign body density in the left chest. Cardiac injury was ruled out using computed tomography of the chest. The operation was performed with a standard left posterolaleral thoracotomy incision through the fifth intercostal space. There were ruptures of the anteromedial basal and superior segments of the left lower lobe with deep lung laceration. Also massive air leakage was observed through the wound sites. Injury of the major vessels and heart was not seen. The bronchoplasty with debridment of the ruptured bronchial edges and primary anastomosis with interrupted nonabsorbable sutures was performed successfully. The postoperalive course was uneventful.

      • 1979∼1984년 및 1991∼1996년에 있어서 자연판막 심내막염의 역학 및 임상양상 비교

        박성하,유태현,염준섭,최영화,이충렬,장경희,송영구,조승연,김준명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4

        목 적 : 최근 선진국에서는 류마티스성 심장질환의 감소, 감염성 심내막염의 소인이 되는 심장질환을 앓는 인구들의 평균 생존기간의 증가, 그리고 전 인구의 평균 연령의 증가에 따른 퇴행성 심장 질환의 발생증가 등으로 인해 자연판막 심내막염의 역학 및 임상 양상에 변화가 오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우리나라에서의 자연판막 심내막염의 역할 및 임상양상의 시기적 변화를 규명하고 하였다. 방 법 : 1980년대 (1979∼1984) 및 1990년대 (1991∼1996)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자연판막 심내막염으로 진단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1979∼1984년에 진단된 46명을 Ⅰ군, 1991∼1996년에 진단된 40명을 Ⅱ군으로 하였으며, 의무기록을 중심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1) 남녀비는 Ⅰ군과 Ⅱ군이 각각 28.18 (1.56:1), 25:15 (1.67:1)로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고 평균 연령은 Ⅱ군이 Ⅰ군보다 많았으며, 특히 50세 이상의 고연령층에서 Ⅱ군이 Ⅰ군에 비해 높았고 50대 연령층에서 Ⅱ군이 Ⅰ군에 비해 많았다. 2) 선행되는 심장질환은 Ⅰ군에서는 대동맥 판막 역류층이 가장 많았고 Ⅱ군은 승모판막 역류증이 가장 많았으며 각 질환별로 빈도수는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3) 혈액배양 검사 결과 Ⅰ군은 69.6%, Ⅱ군은 62.5%에서 세균이 동정되었고 두 군에서 모두 α-용혈성 연쇄상 구균이 가장 많이 동정되었다. 4) 각 판막별로 우종 (vegetation)의 발생에 있어서 두군을 비교해 본 결과 Ⅱ군이 Ⅰ군에 비해 2개 이상의 판막을 침범한 경우가 의의있게 많았다. (P=0.022). 5) 합병증은 두 군에서 모두 울혈성 심부전증이 가장 많았으며 Ⅱ군이 Ⅰ군에 비해 판륜농양의 발생이 의의있게 많았다(P=0.03). 6) 수술적 치료는 Ⅱ군에서 Ⅰ군에 비해 의의있게 더 많이 시행하였고 (P=0.003) 두군간에 의의 있는 사망률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최근 들어서 자연판막 심내막염에 이환된 환자들의 평균연령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고 수술적 치료 기술의 발달 및 합병증 빈도의 감소로 인해수술적 치료가 많이 시행되고 있으며 50세 이상의 고연령층에서는 자연판막 심내막염의 기저질환이 류마티스성 심장질환에서 퇴행성 심장질환으로 변호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자연판막 심내막염의 역학 및 임상양상이 최근 미국이나 유럽에서 보고되는 것과 유사한 양상으로 점차 변화될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조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 The changes in the epidemiology of native valve endocarditis have been known in western countries recent years due to the decrease in the incidence of rheumatic heart disease, increased longevity of patients with valvular or congenital heart diseases, and the increase in degenerative heart disease due to the increase in the average life span of the general popul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native valvular endocarditis fro two different time periods. Methods : We compared native valve endocarditis patients diagnosed from 1979∼1984 (group Ⅰ) with those diagnosed from 1991∼1996 (group Ⅱ). We used modified Duke's criteria for the diagnosi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window program. Results : In our study, mean age of the population was higher in group Ⅱ and significantly larger number of patients were over the age of 50 in group Ⅱ. Involvement of multiple valves with vegetations and perivalvular abscess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group Ⅱ. Also,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of patients from group Ⅱ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pidemiolocal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nfective endocarditis in Korea may change to resemble those in western countries. Further studies regarding this subject are needed.

      • 인면역결핍바이러스감염에서 Ribavirin의 Lamivudine에 대한 길항효과

        허애정,남정구,장경희,염준섭,최준용,송영구,김성순,이주실,이꽃실,김영근,김명수,박우일,김준명 대한화학요법학회 2002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20 No.1

        배경 : HIV 감염자 수의 증가와 다양한 치료제 개발로 인해 HIV 감염자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HCV 감염이 HIV 감염의 자연경과 및 사망률에 악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병원균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HIV가 HCV의 질병경화를 악화시킬 수 있음이 밝혀지면서 동시감염의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약물 상호작용도 그 주요 관심사 중 하나이다 RBV과 다양한 항레트로바이러스제제들간의 약물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결과 ZDV과 d4T에 대하서 길항작용을, ddI에 대해서는 상승작용을 보임이 밝혀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뉴클레오시드 유사체들과 세포내 대사과정을 달리하는 3TC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분주하여 부관되어 있던 세포주 MT-4를 48-72시간마다 계대배양하여 1.96×10^(6)cell/㎖의 수준으로 유지하였고, 96 well plate에 각 well 당 1.0×10⁴cells/㎖씩 분주하였다. ZDV(0.0001-1000μM/L)과 3TC(0.00001-100mM/L)의 농도를 각각 10배씩 희석하여 투여한 후 세포를 5일간 배양하여 각농도에서의 세포독성을 MTT assay로 평가하였으며, RBV(2μM/L) 투여전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항바이러스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MT-4세포에 각 well 당 100 TCID_(50)의 HIV-1 strain HTLV-Ⅲ을 첨가하여 감염시킨 상태에서 유사한 방법으로 ZDV과 3TC의 농도를 10배씩 희석하여 투여한 후 37℃, 5% CO₂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1주일후 상층액을 얻어 HIV-1 p24 core profile ELISA를 사용하여 p24 Ag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고, IC_(50)를 평가하였다. 약물들과 함께 RBV을 투여한 후 같은 방법으로 세포독성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평가하였다. ZDV, 3TC를 단독투여한 결과와 RBV을 함께 투여한 결과를 비교분석 하기 위하여 Wilcoxon rank sum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 ZDV 단독투여시 CD_(50)는 36.8μM이었고 RBV을 함께 투여시 CD_(50)가 39.9μM로 증가하였으며, 3TC의 경우 RBV 투여전후의 CD_(50)는 각각 2357.2μM, 2248.8μM이었다. MTT assay상 ZDV 0.01 및 0.1μM/L 농도에서 (p=0.003, 0.039), 3TC 100μM/L 농도에서(p=0.027) RBV 투여 전후 세포생존율의 차이를 보였다. 3TC 단독 투여시에 비해 RBV과 병용투여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24 Ag 생성이 증가하였고 (p=0.007) 이러한 결과는 ZDV에서와 유사하였다(p=0.026). ZDV 단독투여시 IC_(50)는 0.03μM였고, ribavirin을 함께 투여후 0.067μM에서 0.152μM로 2.3배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결론 :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RBV 투여가 3TC의 세포독성 및 항바이러스효과를 감소시키며 이러한 길항작용은 농도의존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연구는 이전에 제시된 연구들과 함께 RBV이 항레트로바이러스제제와 병합투여 되었을 때 약물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 중요한 자료중 하나가 될 것이다. HIV/HCV 동시감염자에서 상용량의 RBV을 병용투여할 경우 3TC의 농도가 낮게 유지되어 HIV의 내성을 유도할 가능성을 내포한다고 볼 수 있겠으나, 실제로 직접 임상에 적용하기는 어려우며 생체내에서의 이들 약물의 상호작용 및 대사변화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생체내에서의 약동학 및 약력학적 평가를 포함한 광범위한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One of the main concerns of interferon/ribavirin(RBV) treatment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HIV)/Hepatitis C virus(HCV) coinfected patients is that of drug-drug interactions. Recent studies reveal that RBV is antagonistic with zidovudine(ZDV), stavudine(d4T) and synergistic with didanosine(ddl). The phosphorylation of lamivudine(3TC) utilizes the enzyme deoxycytidine kinase. Manipulation of 3TC phosphorylation is a possible therapeutic strategy for modulating antiretroviral efficacy and cytotoxicity of 3TC. Methods : MT-4 cell lines were maintained in RPMI 1640 growth medium as a cell suspension 1.96 × 106cells/㎖), doubling approximately every 48-72 hr. Cells were incubated with ZDV(0.0001-1000mM) and 3TC(0.00001-100mM)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RBV(2uM) in 96-well microtiter plates and cytotoxicity was determined using modified MTT assay. At the end of the 7 days, the cell-free supernatant was serially diluted and samples(100uL) were then assayed for p24 antigen with ELISA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 on HIV-1 replication. The results were expressed in terms of the 50% inhibitory concentration(IC50). Analysis was done by Wilcoxon rank sum test. Results : 3TC alone significantly reduced p24 antigen production, with an IC50 0.067mM and addition of RBV increased the IC50 approximately 8.4 fold (0.563mM). However, at higher concentration of 3TC, the antagonistc effect of RBV was lost The decrease in the cytotoxic and antiviral efficacy of ZDV in the presence of RBV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have demonstrated reduced ZDV activation. Conclusion : The addition of RBV siginificantly reduced cytotoxicity and antiretroviral efficacy of 3TC in MT-4 cell lines and the antagonistic effect of RBV is concentration dependent. This study provides further insight into the complex interaction between RBV and 3TC in vitr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