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송민정,조경자,송준선,노종렬,최승호,남순열,김상윤,김성배,이상욱 대한병리학회 2014 Journal of Pathology and Translational Medicine Vol.48 No.5
Background: The pathogenesis of radiation-induced sarcomas (RISs) is not well known. In RIS, TP53 mutations are frequent, but little is known about Mdm2-p53 interaction, which is a recent therapeutic target of sarcomas. Methods: We studied the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Mdm2 and p53 of 8 RISs. The intervals between radiation therapy and diagnosis of secondary sarcomas ranged from 3 to 17 years. Results: Mdm2 expression was more common in de novo sarcomas than RISs (75% vs 37.5%), and p53 expression was more common in RISs than in de novo cases (75% vs 37.5%). While half of the RISs were Mdm2(–)/p53(+), none of de novo cases showed such combination; while half of de novo sarcomas were Mdm2(+)/p53(–), which are a candidate group of Mdm2 inhibitors, only 1 RIS showed such a combination. Variable immunoprofiles observed in both groups did not correlate with tumor types, except that all of 2 myxofibrosarcomas were Mdm2(+)/p53(+). Conclusions: In conclusion, we speculated that both radiation-induced and de novo sarcomagenesis are not due to a unique genetic mechanism. Mdm2-expression without p53 overexpression in 1 case of RIS decreases the future possibility of applying Mdm2 inhibitors on a subset of these difficult tumors.
수평적 보상격차가 조직 내 개인성과 분포와 조직의 연구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
송민정,양혁승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선행연구에 따르면 개인의 성과분포는 개인의 행동을 반영하는 성과를 기준으로 할 경우 정규분포를 따르고(Beck, Beatty, & Sackett, 2014), 결과적으로 나타난 성과를 기준으로 할 경우 멱함수분포를 따른다(lotka, 1928; O’boyle Jr. & Aguinis, 2012). 개인성과 분포에 관한 기존 연구는 그 분포가 어떤 모양인지를 확인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졌으며, 왜 이러한 분포가 발생하는지를 설명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허 출원을 기준으로 한 R&D 연구자들의 개인성과 분포를 사용하여 차등보상제도가 개인성과 분포의 편향(skewness)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그러한 분포의 편향 정도가 조직 수준의 연구개발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였다. 검증을 위해 2005년 1차 인적자본기업패널 조사에 참여한 기업들의 그 이후 특허 출원 자료를 확보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 간 차등보상의 정도가 큰 조직에서 개인성과 분포가 더 편향되게 나타난다는 것과 조직 내 개인성과 분포의 편향 정도가 클수록 조직 수준의 연구개발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조직 내에서 구성원들 간에 성과에 있어 큰 차이가 관찰되는 것이 구성원들의 역량이나 행동을 반영한 실제 성과의 차이로부터 기인한 것이 아니라, 그것들이 결과를 기준으로 하는 성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차등보상제도가 양의 되먹임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작용한 결과에 의한 것임을 암시해준다. 즉, 특정 시점에 관찰되는 구성원들 사이의 성과 차이는 보이는 것보다 훨씬 작은 차이로부터 기인할 수 있으며, 조직 내 기회와 자원을 차등적으로 배분하는 제도가 양의 되먹임이라는 메커니즘을 통해 만든 결과로 볼 수 있다.
송민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3 No.1
현대의 도시환경, 건축의 흐름은 복합화, 대형화의 추세로 복합공간의 형태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다양한 기능만큼이나 사용자들의 다양한 움직임이 존재하는 복합공간에서 사용자의 능동적인 이동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공간의 시지각적 효과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 화면에 여러 개의 소실점을 갖는 다시점은 역동적 형태의 시각적 전달에 의해 가상적으로 공간의 움직임을 연상하게 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소실점을 통해 부동적이고 고정적이며 자체완결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는 단일시점과 달리, 사람들의 능동적인 움직임을 유발시킨다. 다시점은 형태 생성프로세스에 따라 해체구조, 디지털미디어, 프로그램에 의한 공간화의 유형으로 나뉘고 각 유형따라 비틀기와 탈중력, 비대칭과 접기, 열린구조로 각기 다른 역동적 형태의 구성적 특성을 나타낸다. Multi-space form is becoming a main stream in a contemporary city environment and the trend of modern architect with the multi-functional and the preference for the big size. I want to suggest a new direction as to visual-cognitive effect of space which can cause an active moving pattern of users. A multi-visual perspective which has multiple disappearance points in a picture(canvas, scene, screen) is associated by the dynamic form of visual conveyance. Thus, in contrast to the single-visual perspective with the self-complete, stable and fixed characteristics through the disappearance point, it induces a dynamic motion of human. A multi-visual perspective is divided into the forms of deconstruction, digital media and programming, according to the form-generating process and each types show different dynamic form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 respectively such as twist, gravity-free, asymmetry and open-structure.
송민정,한수미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4 No.-
The consumer recognizes the brand a little more effectively when they are able to distinguish pattern, and color, as well as type. Consequently in order for consumers to be able to recognize the quality of the product easily, the brand logo design the must consider a readability and an aesthetic characteristic and must be created. Besides, it was analyzed that the logo designs with the original pattern element and color element the object brands only play roles in helping consumers remember the brand easily and puts an emphasis on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object brands and other brands, which also helps consumers remember the products easily. Through the patterns and colors out of visual components of a brand logo design, consumers are able to easily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each brand has, showing a profound associative reaction. As for a specific analysis for the study, this thesis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s of a associative reaction through the patterns and colors of logo designs on consumers' behaviors by selecting 6 brands out of national representative brands for household appliances in Korea, investigating the logical background what aspects the association about brand logo designs react on consumers and examining whether or not the images associated through the brand logo designs actually help consumers reminded of the object brands. 브랜드 로고 디자인은 시각적 구성요소인 형태, 색채, 서체 등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인지되기 쉽게 디자인 되어야 한다. 또한 소비자들이 제품의 특성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가독성 및 심미성을 최대한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브랜드 로고 디자인의 유형과 특성 등의 이론적 고찰과 생활용품 브랜드 로고 디자인의 시각적 구성요소 형태와 색채를 분석하여 브랜드 로고 디자인의 연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브랜드 로고 디자인의 독창적인 형태와 색채는 소비자들에게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인식되고, 브랜드 로고 디자인의 연상이 소비자들에게 빠르고 쉽게 기억되어 제품 구매에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페르디난트 호들러 (Ferdinand Hodler, 1853-1918)의 (1893) 연구
송민정 미술사문화비평학회 2019 미술사문화비평 Vol.10 No.-
본 논문은 페르디난트 호들러(Ferdinand Hodler, 1853-1918)의 <선택받은 자 The Consecrated One>(1893)에 관한 연구이다. 호들러는 죽음의 경험으로 형성된 인간의 보편적인 운명에 대한 철학을 바탕으로 작가의 내면을 표현하였다. 호들러의 초기작은 비관적 종말론으로 보편적 운명인 죽음을 두려워하고 고뇌하는 인물상을 그렸다. 그러나 호들러는 1892년에 뒤팽과 아들 헥토르와의 재결합으로 안정을 찾게 되어, 삶과 죽음이라는 생의 이중적 구조와 보편적인 주제를 낙관적인 시각으로 탐구하기 시작했다. <선택받은 자>는 이시기의 과도기적 작품으로 다수의 인물이 등장하는 기념비적 회화이다. 호들러는 <선택받은 자>에서 여성 이미지들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하였고, 소년과 작은 정원을 화면의 정중앙에 배치하여 평행주의를 적용하였다. 평행주의란 호들러의 작품 전반에 나타나는 조형언어로 화면의 구성방식을 의미하는 형식적인 측면 뿐 아니라, 호들러가 평생 동안 추구한 보편적 가치인 내용적인 부분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호들러의 평행주의는 자연을 관찰하면서 그 거대한 운행과 모습이 형성하는 통일감을 바탕으로 정립되기 시작하였다. 호들러가 평행주의에 대한 개념 정립이 자연의 질서와 통일감에서 시작됐다면 이론적 근거는 샤를르 블랑(Charles Blanc, 1813-1882)의 조형예술의 문법 Grammaire des Arts du Dessin(1867)의 영향이었다. 블랑의 저서에 서는 종교적 신성함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집트 미술의 반복 대칭을 강조하였으며, 호들러는 이러한 특징을 <선택받은 자>에서 활용하였다. <선택받은 자>는 이러한 형식적 특징과 함께, 기도하는 나체의 소년과 천사들 그리고 추상화된 배경으로 신비롭고 신성한 종교적 분위기와 상징성이 풍부한 작품이다. <선택받은 자>의 주제는 ‘봄의 도래를 알리는 전령’과 ‘구원을 의미하는 기독교적 도상’ 으로 분석된다. 첫 번째 주제는 범신론에 근거한 자연숭배사상으로 봄의 부활과 재생, 젊음의 생명력에 대한 경의를 표현하였다. 호들러의 종교는 프로테스탄트교였지만 1892 년 장미십자회 전시와 19세기 말 여러 가지 신비주의에 관심을 가지면서 범신론적인 주 제를 표현하였다. 두 번째 주제는 아들 헥토르와 천사들을 통해 드러나는 기독교적 구원의 개념이다. 호들러는 유년시절 가족들의 죽음에 대한 강박관념을 극복하기 위해, 칼뱅의 선민사상을 기반으로 아들의 구원을 기원하고 있다. 그리고 호들러는 묘목과 소년과 천사의 도상을 통해 십자가 책형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호들러는 <선택받은 자> 에서 아들의 구원뿐 아니라, 십자가 책형으로 인간의 원죄를 대속한 예수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여, 인류의 구원을 기원하는 보편적 인류애를 반영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호들러는 이 작품에서 천사를 성모마리아로, 소년을 어린 예수로도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가톨릭교에 대한 관심도 배제하지 않았다. 호들러는 <선택받은 자>에서 평생 동안 천착했던 종교성과 보편성을 개인적인 가치를 초월하여 성공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선택받은 자> 단 하나의 작품으로 작가의 인생관과 예술관을 포괄적으로 함축하고 있다. This thesis is study of The Consecrated One (1893) by Ferdinand Hodler (1853-1918). Hodler’s works have formed with the experience of death which is based on the philosophy about universal human destiny, he expressed the painter’s inward. The Consecrated One is the proper period of transitional work and is the monumental picture which, at first, appears the multiple figures in time of conversion with optimistic view of the world. Hodler has arranged side by side feminine images with an invariable space in The Consecrated One. And he applied the parallelism through arranging the boy and small garden at the middle of scene. The parallelism is only Hodler’s formative language which is not only the formal aspect of meaning about composition mode of scene but also the conception which contains the subject matter part, the universal value which Hodler pursuits during his whole life. As Hodler’s parallelism was observing the nature by him and he began to establish the huge revolution and shape which formed in based on unification sense. If Hodler’s conceptual establishment of parallelism began the order and unification sense of nature, the theoretical basis was affection of Grammaire des Arts du Dessin by Charles Blanc(1813-1882). Blanc’s work emphasized the repetitional symmetry of Egypt art for endowing the religious sacredness, and Hodler put to preactical use these features at The Consecrated One. The theme of The Consecrated One is analyzed with ‘the messenger who is notifying to come spring’ and ‘christian image which is meaning the salvation’ The first theme is based on the pantheism which is the thought of nature admiration, he expressed the respect about revival and rebirth of spring and vitality of youth. Hodler’s religion was protestant but, for the exhibition of Rose+Croix in 1892 and the craze of mysticism religion in late 19th century, because he was interested in various mysticism religions which is began theosophy therefore he could express the pantheistic theme. The second theme is the conception of christian salvation which reveals through son Hector and feminine angels. For overcoming of the insistent idea of family’s death in childhood, Hodler was praying his son’s salvation which was based on Calvin’s the idea of God’s elect. And Hodler symbolically expressed Jesus who redeems human original sin through the cross crucifixion, he intends to reflect the universal love for humanity which prays the human salvation. And also Hodler suggested the possibility which can be interpreted feminine angel as the Virgin Mary and interpreted boy as younger Jesus, so he did not exclude the concern about catholicism. Hodler successfully expressed to transcend the personal value in The Consecrated One which appeared religion and universality which searched during his whole life, and The Consecrated One is as a only work, it has comprehensively implied the author’s view of human life and of 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