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리튬 2차전지용 완전 고체형 고분자 전해질

        송기상,이원실,이인재,서동학 한국공업화학회 2002 공업화학 Vol.13 No.4

        고체형 고분자 전해질은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실용화 가능한 이온전도도인 10^-3 S/㎝를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온전도도의 향상을 위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있다. 이들 방법의 커다란 두 가지 맥락은 고분자의 Tg를 낮추거나, 이온 이동의 에너지를 낮추는 방법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빗살형(PEO comb-type) 공중합체, 실록산 및 포스파진 같은 유연성 고분자의 공중합, 기타 고분자 플렌드, 필러 첨가형 컴퍼지트, 단일이온종 전도체(Single Ionic Conductor, SIC) 합성, 결정구조에 의한 이온 이동 통로의 설계 연구 등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온전도도 10^-3S/㎝를 달성한 완전 고체형 고분자 전해질은 보고된 바 없으며 보다 새로운 개념의 전해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체형 고분자 전해질의 개발 현황 및 연구 방향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Presently, polymer lithium batterie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by many research groups, and they are in constant search of a novel polymer electrolyte. High specific energy and power, safe operation, flexibility in packaging, and low cost of processing are the characteristics sought in a polymer electrolyte for uses in lithium batteries. Various concepts are being investigated to develope a novel polymer electrolyte with high ionic conductivity in the range of 10^-3 S/㎝. Some representative concepts are the usage of polyethyleneoxide comb type copolymers; copolymers with flexible polymers (polysiloxane, phosphazene, etc.); and polymer blends. Other concepts make use of polymer electrolytes; composites with fillers and single ionic conductors; and ion transporting crystal structures. However, no one strategy has yet led to a "breakthrough" in the technical application. For a pure solid polymer electrolyte, the maximum ionic conductivity of 10^-4 S/㎝ at room temperature has been reported thus far. In this study, the current concepts and development trends in pure solid type polymer electrolytes are reviewed.

      • KCI등재

        실업계 고교 컴퓨터 교육에서 직업기초능력 계발의 필요성과 과제

        송기상,홍지영,한병래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4 No.1

        정보기술로 인한 일터의 변화는 다각화되고 급변하는 직업세계에 적응할 수 있는 직업인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나라와 기관에서는 인적자원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능력을 강조하는 '직업기촌으력'을 제안하고 있으며, 그러한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학교 교육에서 이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컴퓨터 교과 교사를 대상으로 현재 컴퓨터 교육을 통한 능력 계발 정도를 조사한 결과, 교사들은 상당히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으며 컴퓨터 수업이 '컴퓨터 사용능력' 계발 위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에서 이러한 전반적인 직업기초능력 계발의 필요성과 문제점을 분석 하였으며, 이를 위해 '상황 내에서'의 학습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멀티미디어 수업을 위한 학교 전산망 설계

        송기상,이태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99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 No.1

        교육정보화의 진전에 따라 많은 학교에 전산망이 설치되고 있지만 실제 전산망을 구축함에 있어 학내 정보의 이용과 관련한 자료가 부족하여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 등에서 요구되는 성능을 갖는 전산망을 설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네트윅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초·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네트윅 된 멀티미디어 수업을 지원하는 학교 전산망 설계방법과 멀티미디어 수업자료와 학급 크기에 따른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네트윅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영재 교육을 위한 전뇌 이론 기반 협동학습의 정의적 효과 분석

        송기상,김순화 韓國英才學會 2011 영재교육연구 Vol.21 No.2

        21세기는 지식의 홍수 시대라 일컬어질 만큼 지식을 많이 아는 것보다 알고 있는 지식을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또한 개인으로서의 문제 해결 능력에 더하여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한 팀 구성원 간의 문제 해결 능력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영재성을 지닌 학습자들에게도 미래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로 성장하도록 협동 학습을 통한 문제 해결 과정을 도입하여 이 같은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석한 42명의 중등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뇌(全腦: Whole Brain)이론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을 그룹으로 나눈 뒤 협동 학습을 실시하였고 학습 동기의 사전 사후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협동 학습 수업 과정 중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뇌 이론에 기반을 둔 협동 학습은 학습의 정의적 요소 중 하나인 학습 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었고, 상호작용 또한 활발하게 일어남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영재들에게 있어서 전뇌 이론에 기반을 둔 집단 편성 방법이 학습의 정의적 영역인 학습 동기 향상과 상호작용 촉진 측면에 있어서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e 21st century is called as the "Age of knowledge flood", and thus the importance of the ability which can use knowledge creatively is more emphasized. Also, not only individual problem solving but also solving problems through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with group members are needed, and therefore, it is requested to train potential gifted learner working together with others to practice cooperation and eventually grown up as a competitive human resource to adapt successfully in future environment. In this paper,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in gifted learners, members for cooperative learning group has been selected using whole brain theory from the 42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ummer gifted learner vacation program. From the analysis of th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frequency of interactions whole brain based cooperative learning is effective for enhancing both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actions. Therefore, the whole brain based cooperative learning is an effective pedagogy for enhancing the motivation as well as facilitating interactions within gifted learners.

      • KCI등재

        Development and pilot test of ICT in education readiness indicators in the global context

        송기상,김혜숙,서종원,김창환 한국교육개발원 2013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10 No.2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be included in education indicators. The ICT indicators will not only measure the readiness level of ICT use for each country’s educational development, but also diagnos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country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This study also addresses the following international indicator set of eight domains of ICT in education, Policy, Infrastructure, Human Resources, Curriculum, Educational Service, Educational Resources, Use, and Equity, based on the Korean experience of ICT in education implementation for K-12 education. Throug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and feasibility study of pilot data from different countries, we developed 82 indicators from eight domains. Thirty-five of the 82 indicato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ICT4ED (ICT for Education Development) readiness in 2010. Based on the data submitted from 11 participating countries, we present descriptive data for each domain and calculated; concurrent validit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omains and the international index. In addition, we present the case of Armenia as an example of diagnosing a country using the indicators of ICT4ED, and show that the developed indicators are useful for identifying imminent issues of ICT4ED in a specific country.

      • KCI등재

        원격 컴퓨터교육 평가를 위한 설문분석 시스템 개발

        송기상,전도홍,고형주,김명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99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 No.3

        원격 교육은 학교 교육과 연계 또는 경쟁하며 또 다른 교육의 한 부분을 이루어 가고 있다. 웹 기반 교육은 교수자에 의해 주어지는 전통적인 학교 교육과 달리 학습자가 교육과정을 선택한다는 측면에서 보다 학습자 중심적이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의 의견과 요구를 조사하여 시스템 및 교육 내용을 빠르게 수정·보완하는 작업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으로 웹상에서 설문을 작성하고 전국의 연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설문 분석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KCI등재

        원격 컴퓨터 교육을 위한 형성평가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

        송기상,홍지영,한병래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0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3 No.1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들이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에 따라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 컴퓨터 교육을 위해 퀴즈를 통한 형성평가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컴퓨터 학습은 많은 개념을 포함하고 있어 학습하기 어렵고, 원격교육은 시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나 학습자의 강한 동기를 요구한다. 또한 형성평가는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학습과정에 대한 안내를 해주는 좋은 자료가 되지만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부담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이 점에 대한 보완책으로 퀴즈형 형성평가 프로그램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설계하고 구현하여 보았다. 웹기반 원격 컴퓨터 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 본 프로그램은 학습과정을 학습자 및 교수자에게 피드백하고, 캐릭터 및 아이템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도록 하였다. 학습자는 더 높은 동기를 가지고 원격 컴퓨터 학습에 임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