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Memes on Social Media

        손현영,전재훈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2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2 No.3

        Recently, the spreading of various fashion content on social media such as Instagram and TikTok has developed into a phenomenon of rapid information sharing. The various fashion content being shared include users’ personal opinions, trending humor, and social controversies that spread through the addition of phrases and editing of images. This is called a ‘fashion meme’, and just as human genes transmit biological information through replications, the sharing of memes delivers information through imitation and rapid modification. Meme sharing is creating a new cultural phenomenon formed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by generations who value fun and easy connections. Fashion-related memes appear in diverse forms on social media, and the process of content imitation and transfer has rapidly accelerated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essential nature of a meme which is imitated and reproduced and that of the fast-changing social media. This study conducted a case analys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memes on Instagram and TikTok. First, fashion memes that induce communication about outfits and looks, and memes that raise social issues related to fashion could be seen as two types of memes with different subjects. Second, there were three common characteristics of fashion memes on Instagram and TikTok, which were spontaneity of social media users caused by subjective sharing of fashion memes, topicality due to people’s sharing of widely known fashion contents, and criticism in sharing personal opinions about fashion. Although the forms of fashion memes in both media were different, information on fashion was to be delivered, and users who shared it perceived fashion memes as a communication medium.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role of fashion memes as a cultural communication medium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actively appearing in the field of fash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methods through the subject of fashion memes and social media users.

      • KCI등재후보

        내시경 췌관괄약근 절개술 339예의 임상적 적용 및 안전성

        손현영,이성구,송문희,한지민,최은광,김종철,이상수,서동완,김명환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5 Clinical Endoscopy Vol.31 No.3

        Background/Aims: Endoscopic pancreatic sphincterotomy (EPST) has been performed more frequently in recent years. However, it is less widely practiced than biliary sphincterotomy due to lack of firm scientific data regarding its indication and safety.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EPST with regard to indications, complications, and safety.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EPST performed in three hundred thirty nine patients from January 2000 to April 2004. Results: Complications occurred in 37 patients (10.7%) which included pancreatitis, hemorrhage, perforation, cholangitis, sepsis, and stenosis of sphincterotomy site. They were successfully managed by medical treatment. No mortalities were reported. Conclusions: EPST is a relatively safe procedure in various pancreatic diseases. Incidence of long-term complications awaits further investigations. EPST enlarges our endotherapeutic armamentarium and deserves additional evaluation. 목적: 내시경 췌관괄약근 절개술(endoscopic pancreatic sphincterotomy, EPST)과 췌관배액술이 만성췌장염을 비롯한 췌장질환 치료의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으나, 그 적응증과 안전성에 대한 자료의 부족으로 내시경 담관괄약근 절개술(endoscopic biliary sphincterotomy, EST)에 비해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EPST의 합병증은 3.2~15.7%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PST의 적응증, 합병증 및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4년 4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EPST를 시행한 33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전체 339명의 환자 중 EPST 단독으로 시행한 경우가 252예(74.3%), EST를 같이 시행한 경우가 87예(25.7%)였다. 적응증은 췌관 결석 142예, 췌관 협착 97예, 췌장 가성낭종 35예, 완전형 분할췌 19예, 불완전형 분할췌 13예, 췌장암 9예, 누공 17예,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IPMN) 9예, 오디괄약근 기능이상이 8예였다. 합병증은 총 37예(10.91%)에서 발생하였고, 의미있는 출혈 6예(1.8%), 췌장염 15예(4.4%), 천공 3예(0.9%), 협착 9예(2.7%), 감염 4예(1.2%)였다. EST를 함께 시행한 군과 EPST 단독으로 시행한 군 간의 합병증 빈도의 차이는 없었다. 주췌관 EPST는 287예, 부췌관 EPST는 46예, 주췌관과 부췌관 모두 EPST를 시행한 경우는 6예였고 각 군간의 합병증의 빈도 차이는 통계학적 의미가 없었다. 췌관배액술을 함께 시행한 경우나 만성 췌장염 환자에서 EPST를 시행한 경우 췌장염의 빈도가 낮았지만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내과적 치료로 모두 호전되었으며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은 없었다. 결론: 내시경 췌관괄약근 절개술은 다양한 췌장질환의 내시경 치료에 이용될 수 있으며 기존에 보고된 EST나 EPST의 합병증 빈도와 큰 차이가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제주도지역에 분포하는 미기록 나방 채집 현황

        박영미,현영권,오시헌,채도영,리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제주지역은 연평균 16.5℃로 온난화가 진행된 아열대성 해양기후이다. 제주도 는 연평균 기온이 지난 100년간 지구평균 상승기온 0.74℃보다 2배이상 높은 1.6℃ 상승하여 기후온난화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지역으로 위도가 높은 섬지역에 도 아열대 나방류가 발견되고 있다. 이에 2010년 5월부터 아열대 나방류 분포확인 을 위해 제주도 및 제주도 인근 부속섬(추자도, 우도, 마라도)에 대해서 4년간 나방 류 채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11년도에 자나방과 2종(Heterolocha coccinea (Inoue), Mixochlora vittatas (Moore)), 밤나방과 2종(Adrapsa subnotigera Owada, Adrapsa ablualis Walker), 독나방과 1종 (Calliteara taiwana (Wileman)), 재주나 방과 1종(Quadricalcarifera nachiensis (Marumo)), 총 4개과 6종, 2012년도 자나 방과 1종(Chloroclystis excisa (Butler)), 밤나방과 2종(Hypena perspicua Leech, Phlogophora albovittata (Moore)), 포충나방과 2종 (Analthes insignis (Butler), Syngamia falsidicalis Walker), 총 3개과 5종, 2013년도 포충나방과 1종(Charitoprepes lubricosa Warren, 1896), 2014년도 잎말이나방과 1종 (Phaecadophora fimbriata Walsingham)), 포충나방과 2종 (Piletocera aegimiusalis (Walker), Pelena sericea (Butler)), 자나방과 1종(Apochima praeacutaria (Inoue)), 혹나방과 1종(Meganola triangulalis (Leech)), Erebidae 1종 (Asota heliconia (Linnaeus)), 총 5개과 6종의 미기록종을 발표하였다. 이에 지금까지 발견된 미기록 나방류들이 외래 유입 종인 지 아니면 일시적 비래나 기존 분포종 여부가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앞으 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 제주도 및 제주 부속섬에서 확인된 미기록 나방류 6종

        박영미,현영권,오시헌,채도영,리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제주도는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한 큰 섬으로 연평균 16.5℃로 사계절이 뚜렷 한 아열대성 해양기후이다. 제주도는 연평균기온이 지난 100년간 지구평균 상승 기온 0.74℃보다 2배이상 높은 1.6℃상승하여 기후온난화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 는 지역이다. 본 조사는 2014년 3월부터 8월까지 제주도 및 제주도 인근 부속섬(추 자도, 우도, 마라도)의 15개지역 24개지점을 대상으로 18회 유아등 조사를 실시하 였다. 그 결과 잎말이나방과 1종 (Phaecadophora fimbriata Walsingham)), 포충나 방과 2종 (Piletocera aegimiusalis (Walker), Pelena sericea (Butler)), 자나방과 1 종(Apochima praeacutaria (Inoue)), 혹나방과 1종(Meganola triangulalis (Leech)), Erebidae 1종 (Asota heliconia (Linnaeus)), 총 5개과 6종이 우리나라 미기록 종으 로 확인되어 보고한다.

      • KCI등재후보

        날씨 변화 학습에서 개념스케치 활용이 고등학생의 개념 이해도와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현영 ( Hyun Young Shin ),김학성 ( Hak Sung Kim ),정주 ( Jung Joo Soh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科學敎育硏究誌 Vol.34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날씨 변화 학습에서 개념스케치 활용이 개념 이해도와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날씨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개념스케치-학습할 개념의 특징, 원리, 절차, 관계 등을 설명한 글이 적혀있는 그림-를 활용한 수업을 적용하고 개념 이해도와 과학과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수업은 교과서 위주의 강의식 수업에 비해 날씨의 변화에 대한 개념 이해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과학과 관련된 학생들의 태도 변화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개념스케치 활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개념스케치 활용 수업이 흥미로웠으며 수업집중력이 향상되고 복습의 기회가 생겨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cept sketches on the understanding and scientific attitude in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f weather change. Among the various fields of meteorology, especially in weather change, we often deal with the change of the spatiotemporal change in an abstract way. So making use of `Concept Sketches`- simplified sketches which represent the main features, principles, processes and interrelationships of the learning contents using some concise explanations, signs and terms - could help the students learn the phenomena of weather change efficiently. This study`s aim was to check up the effect and analyze the results of the lesson including the concept sketches. As a result of this study, concept sketches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in understanding of weather change and in scientific attitude, too. In students` recognition research of concept sketches showed that students found the class more interesting with improved concentration and had a chance to review through concept sketching, which is helpful for their learning. Considering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study which applies concept sketching required the students to actively process their knowledge,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nderstanding of weather changes. Most of all, drawing the pictures which is a familiar activity helped the students to take part in the class eag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