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펀의 특성을 적용한 어린이보호구역 디자인 연구 - 안내표지와 노면표시를 중심으로 -

        손창범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7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8 No.50

        공공시설물이나 사인(Sign)은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시스템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인구의 증가와 산업화에 따라 비정서적인 도시 공간을 보다 인간적이고 안정감을 주는 도시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한 공공디자인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펀(Fun)의 개념은 광고, 예술 뿐 아니라 사회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보호구역의 개념을 파악하여 공공시설물로서의 디자인 기준을 세우고, 펀(Fun)의 특성을 적용하여 디자인 개발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단순한 안내의 기능을 넘어 창조적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어린이보호구역 디자인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어린이보호구역에서의 펀(Fun)디자인은 표현방법에 따라 그 효과의 차이는 있겠지만 결과적으로 재미와 즐거움을 준다는 공통점이 있다. 시설물로서의 디자인 기본준칙은 ①사용 높이 및 넓이, ②안전성, ③교체의 용이성, ④미적 요소, ⑤경제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펀(Fun)의 특성을 적용한 시각적 디자인 개발 방향은 캐릭터, 키덜트, 아이러니, 스토리텔링, 놀이의 다섯 가지 표현유형 적용에 따라 하위 개념인 변형, 일탈, 착시, 반전, 연상, 과장, 함축이라는 일곱 가지 표현요소를 적절히 조합하여 개발하고 분석함으로써 재미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어린이보호구역 공공시설물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다. Public facilities and signs follow international standard systems. However, public designs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to remake non-emotional urban space by population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more human and stable urban environment. Therefore, the concept of 'Fun' has affected not only advertising and art but also the overall social culture. This study aims to set standards for public facilities b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school zones and to suggest how to develop a design by applying the properties of Fu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ign school zones capable of creative communications beyond simple functions as a traffic sign. Although the effects of Fun designs in school zones vary according to representation methods, they have common features of providing entertainment and fun. Basic design rules for facilities in school zones are required to consider the following conditions: ①height and width for usage, ②safety, ③ease of replacement, ④aesthetic element, and ⑤economic efficienc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rve as a public facility for school zones capable of providing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by developing and analyzing after appropriately combining seven representing elements such as transformation, deviance, optical illusion, reversal, association, exaggeration, and implication as a sub-concept with the application of five representation patterns such as character, kidult, irony, storytelling, and play.

      • KCI등재

        컴퓨터 배경화면 이미지의 의미연구

        손창범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1 No.25

        현대인은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정보화 시대에 있어 컴퓨터를 전제로 한 생활환경은 시간이 갈수록 그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컴퓨터는 직장에서는 업무용으로 가정에서는 인터넷과 정보 활용의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 이제는 공공장소 어디서나 컴퓨터를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는 컴퓨터를 사용함에 있어 컴퓨터를 처음 켜는 순간부터 모니터가 꺼지는 순간까지 컴퓨터의 배경화면을 보게 된다. 한번 설정된 컴퓨터 배경화면은 랜덤으로 돌아가는 화면일 수도 있고, 또는 컴퓨터 운영체제(OS)에서 제공되는 하나의 이미지일 수도 있지만 모두가 사용자의 기호(嗜好)에 의해 선택되어진다. 사용자의 선택이나 임의로 설정된 배경화면은 사용자가 임의로 바꾸지 않는 한 동일한 화면을 오랫동안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설정된 배경화면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계속 바라보게 된다. 컴퓨터 배경화면은 컴퓨터 사용 환경에 있어 많은 시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노출 되는 중요한 이미지이다. 본 연구자는 이와 같은 점에 주목하였다. 많은 시간을 시각적으로 보게 되는 컴퓨터 배경화면이 주는 의미의 본질을 그레마스 기호학을 통해 파악하여 사용자는 무엇을 원하고 보게 되는지 조명해 보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장시간 컴퓨터 생활환경에 노출된 현대인들의 심상에 심리적인 안정과 업무적인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컴퓨터 배경화면은 가고 싶은 장소, 갖고 싶은 대상, 가상 또는 미지의 세계를 보여 주고, 컴퓨터 환경이나 장식무늬의 역할을 한다. 이렇게 볼 때 심상을 담는 공간으로서 새로운 시도와 연구는 더욱 확대될 것이다. A modern is living in the information age. In the information age, the weight of computer is increasing in a living environment. The computer is used for business at work site and as a tool for internet and information literacy at home. Now we are able to find a computer anywhere in public places. We will see the computer background image from the moment the computer is turned on until the monitor is turned off when we are using it. The background image of computer which is set can be randomly selected or can be one image provided by computer operating system (OS), but it is selected by the users' preference. The computer background image which was set by the user's selection or random will keep one image for a long time unless the user change the setting arbitrarily, and the user will look at the computer background image which is set once continually whe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So the background image of the computer is important image which is exposed visually to user for a long time.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is point.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the essence of the significance of the background image of the computer which is seen visually for a long time so aims to shed light on the fact through Greimas semiotics what the user hope to see and will see. Therefore, it aims to increase mental stability and business efficiency of a modern who is exposed to the computer life environment for a long time. Computer background images you want to go places, and want to keep the target, the virtual, or image to show the world, the computer plays the role of environmental and decoration. In this sense, the space containing the image as a new attempt, and research will be expanded further.

      • KCI등재

        영화사 타이틀 시퀀스의 의미분석 연구 - 로만 야콥슨(Roman Jakobson)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모델 중심으로 -

        손창범,최광춘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9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0 No.60

        The title sequence is an image that notifies a viewer image that compressed a title/ a content or one that notifies viewers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ovie. The film distributor "Top mark", one of the title sequences, has been exposed to the viewers repeatedly for a long time and become a familiar image. ‘Top mark’ simply started with showing the symbol of a film distributors, and is being developed into fantastic expressions containing the content of a movie or using computer graphic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what contents film distributors’ Top mark contains ther than symbols and then we would propose expression of symbol mark in movie. For this, we analyzed the images us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al model of Roman Jakobs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op mark, the title sequence of the film distributor, emphasizes the symbol in addition to showing it, and furthermore there is forwarding and sharing functions that makes viewers have an expect to company and movies with the meaning of it and its name, value and scale, separate story. Moreover, the symbol mark representation in the image implies following contents. The light or scene composition emphasizes the meaning of symbols; make them expect the company or images. As decorating fantastically via separate storytelling, it conveys corporate image to viewers. 타이틀 시퀀스는 영화 등의 영상에서 제목이나 내용을 압축한 영상, 또는 영화와 관계된 내용을 관객들에게 알리는 영상이다. 타이틀 시퀀스의 하나인 영화배급사 ‘톱 마크’는 오랜 시간 동안 관객들에게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익숙한 영상이 되어왔다. ‘톱 마크’는 단순히 영화배급사의 심벌을 보여주는 것에서 시작하여 영화의 내용을 담거나 화려한 컴퓨터그래픽 기술을 동원한 환상적인 표현들로 발전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배급사의 ‘톱 마크’가 심벌 이외에 어떤 내용을 담는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영상에서 심벌마크 표현 방법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로만 야콥슨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화배급사 타이틀 시퀀스인 톱 마크는 심벌을 보여주는 것 이외에 심벌을 강조하고, 기업과 기업명의 의미, 가치와 규모, 별도의 이야기로 관객에게 기업과 영화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하는 전달적 기능과 공유적 기능이 있다. 또한, 영상에서 심벌마크 표현은 뒤에 나올 내용을 암시한다. 빛이나 장면구성으로 심벌의 의미를 강조하거나 기업이나 영상에 기대를 하게 한다. 별도의 스토리텔링으로 환상적으로 꾸며 관객에게 기업의 이미지를 전달한다.

      • KCI등재

        플로팅 홀로그램에서의 영상표현 연구 - 홀로그램 피라미드를 중심으로 -

        손창범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7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8 No.52

        플로팅 시스템은 유사 홀로그램이라 할 수 있지만, 최근 디스플레이의 발전과 홀로그램 구현 방법에 대한 기술적 보완을 통해 공연과 전시, 방송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플로팅 방식은 영국의 헨리 더크(Henry Dirk)가 1862년에 고안한 오래된 기술이다. 오늘날 플로팅 홀로그램은 보완, 발전되어 새로운 영상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어 디스플레이에 대한 영상표현의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플로팅 방식 입체 영상의 역사적인 배경과 개념, 원리를 고찰하고, 활용 방안 및 향후과제를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플로팅 홀로그램인 홀로그램 피라미드 영상의 효과적인 영상표현방법을 연구하여 향후 홀로그램 영상제작에 있어 기초를 다지고자 한다. 연구결과 홀로그램 피라미드의 영상제작에 있어 효과적인 영상표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표현은 컴퓨터그래픽(CG)이 효과적이다. 둘째, 비주얼이 화면을 넘어가지 않는 것이 효과적이다. 셋째, 비주얼은 평면적인 2D이미지 보다는 3D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넷째, 3D이미지 비주얼을 회전하면 효과적이다. 다섯째, 여러 개의 비주얼 요소가 있는 경우 주피사체 앞, 뒤에 배치하여 공간감을 주어 연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섯째, 실사 물체와 영상을 함께 연출하면 효과적이다. 일곱째, 피라미드의 각 면에 해당하는 영상을 보여주면 효과적이다. 앞으로 홀로그램 미디어에 대한 꾸준한 연구와 활용은 새로운 영상을 갈구하는 수용자들이 있는 한 계속 연구되고 시도될 것이다. Floating system can be called similar hologram, but it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erformance, exhibition, broadcasting, etc. through recent technical supplementations of display development and hologram realizing method. Floating is an old technology invented in England in 1862 by Henry Dirk. Today, floating holograms are complemented and developed to meet the needs of people who are pursuing new videos, so various study of image representation about display is necessary As the method of this study, we will consider the historical background, concept and principle of floating stereoscopic videos, and try to find out how to use them and future tasks. In addition, we will study the effective image representing method of the hologram pyramid video which is a floating hologram, and intend to learn the basics of producing hologram video in the future. As a result, the effective image representing method of producing hologram pyramid video is as follows. First, computer graphics (CG) is effective for representing. Second, it is effective that the visual does not proceed to the screen. Third, it is effective to use 3D videos rather than 2D. Fourth, 3D image visuals are effective when they are rotated. Fifth, if there are several visual elements, it is effective to arrange them in front of and behind the main subject to produce a sense of space. Sixth, it is effective to direct real objects and videos together. Seventh, it is effective to show the video corresponding to each side of the pyramid. Continuous research and application of hologram media will continue to be studied and tried as long as there are consumers who crave new images.

      • KCI등재

        공공안내 그림표지에서의‘여성표현’에 관한 연구 - 양성평등 관점을 중심으로 -

        손창범,유석,양해진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9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0 No.19

        공공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각 지자체별 디자인 붐이 일어나고 있다. 정부에서도 이에 맞추어 공공안내 그림표지이라는 기준안을 마련하여 공공용 픽토그램의 표준화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대별되는 공공디자인에 있어 다문화주의와 정체성을 반영하는 다양성 추구 또한 대두되고 있다. 특히 공공 픽토그램은 대표적인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으로서 다문화주의의 등장과 여성 권익의 향상과 함께 양성평등의 관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공공 픽토그램에 나타난 여성표현을 분석하고 양성평등 관점에서의 ‘여성표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공공용 픽토그램에 있어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볼 때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이나 사회적 성 역할은 전통적 관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성 역할 사회화이론을 종합해 보면 전통적 성 역할 사회화 이론들은 남성적이 아니라면 여성적이라는 이분법적인 사고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공공용 픽토그램에 양성성의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더불어 픽토그램에 있어 문화의 다양성과 함께 사회 전반에 여성의 지위와 역할 향상은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Local governments are giving much interests to the public design nowadays. And Korean government made announcement of the "Public picture sign guidence" which is the guide about the standard of the public pictogram. But it is still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multiculturalism and various identity of the social groups. Especially, the public pictogram is the most typical socail communication which is on the issue by appearance of multi-culturalism and increasing of the right of female. In current of the times, we are trying to look into the expression about the female, with the view point of the gender equalities in the public pictogram. In the public pictopram, social roles of gender, with the view point of the gender equalities, would seem to be a traditional conception. Synthetically, the social roles of gender theory is caused by dichotomous consideration, male or female. So, it is suitable to apply bisexual conception to the public pictogram. Therefore, socail position and right of female, with a diversity of culture, in the public pictogram is still a matter of debate.

      • KCI등재

        정부기관 카드뉴스의 구성과 이미지 표현방식 연구 - 대한민국 정책포털 정책브리핑 카드뉴스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김봉덕,손창범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7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8 No.52

        스마트 기기 보급의 확대에 힘입어 언론사, 기업체 외에도 정부기관에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서비스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콘텐츠는 이용자들에게 메시지 수용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진화하고 있는데, 가장 최적화된 형식중 하나가 카드뉴스이다. 카드뉴스는 빠르게 정보를 파악하고자 하는 소비 패턴에 맞춘 콘텐츠로 주제를 중심으로 한 내용의 구성방식과 이에 따른 차별화된 이미지 표현방식이 결합되어 수용성이 매우 높은 뉴미디어 콘텐츠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는 그동안 언론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 이어 정부기관의 소셜미디어 홍보전략으로 카드뉴스가 점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어떠한 표현방식으로 서비스되고 있는지를 집중 분석해 보았다. 분석대상은 정부기관의 대표적인 포털사이트인 대한민국‘정책브리핑’이다. 그리고 카드뉴스의 주요 분석을 위해 내용 전달에 따른 구성방식과 이미지 표현방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부기관 카드뉴스는 정보전달을 높이기 위해 내용의 구성방식에서 카드뉴스 콘텐츠적인 장점을 이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정보를 일반적으로 요약해 설명하는 나열형이 주로 사용되었고, 호기심을 통해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스토리 등은 매우 미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카드뉴스의 이미지 표현방식에서도 텍스트와 각종 이미지 자료를 종합적으로 접목한 복합 이미지물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그중에서도 개성 있는 표현이나 다양한 표현방식으로 비주얼 스토리텔링을 만들어낼 수 있는 일러스트레이션, 현장감 있는 화면을 연출할 수 있는 실사 이미지, 생동감을 나타낼 수 있는 동영상 등의 활용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As a result of the widespread use of smart devices, government agencies, in addition to mass media and businesses, are providing various forms of contents via social media (SNS). Such contents are advancing in order to increase users' message receptivity, and the most optimized form is card news. Card news refers to new media contents targeting consumers who want to get information fast, and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ed immediacy by using various composition methods combined with differentiated image expressions. This study analyzed how government agencies are using card news as part of promotional strategies via social media. The subject of this analysis is the Korea policy briefing card news, a representative portal service of the government. Major analyses of card news were conducted by classifying the composition method and image expression method, with the following results obtained: First, card news has not fully taken advantage of its strength in contents when delivering information. It is mostly summarized information in list format, with not much stories that effectively deliver information by arousing curiosity. Second, the image expression methods of card news mainly consist of complex images that integrate texts and various image materials. In particular, the use of expressions that show individuality, illustrations that can produce visual storytelling with various expression methods, actual images that can present onsite views, and videos that can deliver vivid effects seems to be quite low.

      • KCI등재

        Silica/Epoxy Hybrid Encapsulation with High Heat-Resistance and Low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이성범,이호식,손창범,김성희,이준영 한국고분자학회 2020 Macromolecular Research Vol.28 No.11

        As a matrix resin of silica/epoxy hybrid encapsulation material with high heat resistance and low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a tri-functional triglycidyl p-aminophenol (TGPAP) epoxy was successfully synthesized with the desired chemical structure by reacting epichlorohydrin with p-aminophenol using sodium hydroxide catalyst. In order to produce highly pure TGPAP with lower viscosity, a physical thin film vacuum distillation was carried out after synthesis, resulting in 97% purity with the viscosity of 700 cps at room temperature. Silica/TGPAP hybrid was fabricated using two kinds of ground fumed silica with different sizes of 20 μm and 9 μm.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hybrid was found to be as high as 185 oC. Viscosity of the hybrid was 30,000 cps at room temperature before curing, implying good processability. When two different sizes of silica were used with 1 to 1 weight ratio, very low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22.79 ppm/ oC was obtained. From thermal shock test, no cracks were observed even after 1,000 cycles of thermal shock between -40 oC and 125 oC when 67wt% (45.8 vol%) of silica was involved in the hybrid. In conclusion, silica/TGPAP hybrid with improved processability, superior thermal shock resistance and low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could be fabricated as electronic device encapsulation.

      • 면조명 광원용 광학수지의 황변 개선에 관한 연구

        정성철(Jung, Sung Chul),손창범(Sohn, chang Bum),박무룡(Park, Mu Ryou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15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5 No.5

        With demand for variety for automotive exterior design, the use of dot LED and LED flat lighting is increasing in automotive exterior lamp. In this study, we describe approaches to improve the yellowing problem of UV curing resin for flat lighting. We formulated UV curing resin with oligomer, monomer, ptoto initiator and additor to prevent to be yellowing. Aliphatic oligomer and multifunctional monomer were effective in improving. As a result, yellowing problem was improved and UV curing resin can be used in automotive temp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