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홍로’ 사과 과원 재식거리에 따른 기계전정 활용

        손진향(Jin Hyang Son),오주열(Ju Yeol Oh),김현수(Hyun Soo Kim),홍정진(Jeong Jin Hong),정은호(Eun Ho Jeong),장영호(Young Ho Chang)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현재 농촌 인구의 약 2/3가 60세 이상이고, 65세 이상인 비율도 38%에 달하는 고령화 사회로 노동력 절감 및 관리 작업의 효율화를 위해 기계화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사과 재배에서 전정 작업 노동은 전체 노동의 15%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노동력 절감을 통한 기계전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과 과원 재식거리에 따른 기계전정 효율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경남농업기술원 사과이용연구소 시험포장인 3.5 × 2.0, 1.5, 1.0m로 재식된 ‘홍로’/M9 시험포장에서 기계전정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정 시기 및 방법은 동계 및 하계전정으로 구분하여 손전정, 손 + 기계전정, 기계전정으로 실시하였다. 전정 정도는 열간 길이 대비 최하단 측지를 기준으로 열간 너비의 20% 길이로 기계전정을 하였다. 동계전정 시 전정 소요시간과 전정량을 비교한 결과, 재식거리 3.5 × 2.0, 1.0m에서는 손전정에 비해 기계전정이 소요시간이 적었다. 재식거리 3.5 × 1.5m에서는 손전정과 손 + 기계전정 소요시간이 비슷했고, 기계전정이 소요시간이 적어 노동력이 절감되었다. 전정량은 재식거리 3.5 × 2.0, 1.0m 기계전정에 비해 손전정이 50% 이상 많았다. 하계전정 시 전정 소요시간과 전정량을 비교한 결과, 재식거리 3.5 × 2.0, 1.0m에서는 손전정에 비해 손 + 기계전정, 기계전정이 소요시간이 적었고, 재식거리 3.5 × 1.5m에서는 손전정에 비해 기계전정이 약 2h/10a 정도 소요시간이 적었다. 전정량은 재식거리 3.5 × 2.0, 1.0m 기계전정에 비해 손전정이 약 27~50% 정도 많았다. 수확량을 비교한 결과, 재식거리 3.5 × 2.0 1.5, 1.0m 손전정과 기계전정 이 약 5~6ton/10a으로 비슷하여 손 + 기계전정의 약 4ton/10a 보다 많았다. 세장방추형 특성상 기계전정을 했지만 주간 사이에도 손전정 노력이 많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재식거리 1.0m에서 단가지가 형성되어 기계전정 활용도가 높았다고 판단된다. 밀식재배 과원의 세장방추형보다 2차원적인 수형을 구성하여 기계전정의 활용성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에 대한 신뢰, 소진,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유진 ( You Jin Son ),김혜진 ( Hye Jin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6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에 대한 신뢰가 소진을 매개로 하여 이직의도에 주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원장에 대한 신뢰를 독립변인으로, 이직의도는 종속변인으로, 그리고 소진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한 가설적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유아교사의 원장에 대한 신뢰는 소진과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주고 있으며, 소진을 거쳐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하여 원장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뢰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아교사의 소진과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하여 기관 내 조직에서의 구성원 간 신뢰관계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trus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rincipal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medium of burnout. A hypothetic research model was set up on the basis of earlier studies after trust in principals,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were respectively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as a mediator variable. As a result of making an analysis, the trus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rincipals was found to have exerted a negative influence 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at was identified as a variable to affect turnover intention through burn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ed the importance of the trus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rincipals, and suggest that an effort to build trustworthy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should be made to lower the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법원주림(法苑珠林)』 권제6(卷第六) 육도편(六道篇) 귀신부(鬼神部)의 구성과 특징 : 감응연을 중심으로

        손진(Son, Jin) 한국불교연구원 2022 불교연구 Vol.56 No.-

        본고는 당대(唐代)에 편찬된 중국의 대표적인 불교유서인 『법원주림(法苑珠林)』 권6의 육도편(六道篇) 제4 귀신부(鬼神部)의 편찬 구조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귀신부 마지막 부분에 있는 감응연(感應緣) 배열의 의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육도편에는 ‘육도(六道)’에 당연히 있어야 할 ‘아귀부(餓鬼部)’가 아니라 그 대신에 귀신부를 두고 있다. 즉, 중국에는 불교가 전래되기 이전부터 독자적인 귀(鬼)와 명계(冥界)에 관한 관념과 문화가 오래 동안 축적되어 왔기 때문에 그러한 전통적 관념과 문화를 무시하고 불교적 개념만을 바탕으로 한 아귀부(餓鬼部)를 편찬하는 것은 불가능하였을 것이다. 귀신이라는 상위 개념 속에 육도 중의 아귀를 넣고, 불교 이전부터의 전통적인 명계관과 불교적 명계관 양쪽을 포괄하는 ‘귀신부’를 세운 것으로 보인다. 귀신부 감응연은 우선 아귀와 명관(冥官)이라는 두 종류의 귀신이 연속하여 등장하는 「송 사마문선(宋司馬文宣)」 설화로 시작된다. 이어서 조령(祖靈)으로서의 귀신이 사람에게 명계를 보여주면서 불교에 귀의할 것을 말하는 「송 왕호(宋王胡)」 이야기를 배치하였다. 다음으로 그 두 이야기의 주제를 반복하면서 불교에 의한 구제를 더욱 강조한 「송 이단(宋李旦)」 설화와 마찬가지로 시작 부분의 두 이야기의 주제를 역사상 인물의 설화로 반복한 「영양 정선지(滎陽鄭鮮之)」를 배치하여 불교 설화적 의의를 좀 더 명확히 하였다. 그리고 전통적인 명계관과 불교적 명계관의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귀신의 형상을 그려낸 「당 목인천(唐眭仁蒨)」으로 『법원주림(法苑珠林)』 권6 육도편 제4 귀신부 감응연(感應緣)의 불교설화 부분을 정리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mpilation structure of chapter 4 The Six Realms of Rebirth” (六道篇第四) “Ghosts and Spirits” (鬼神部) of the Fayuan Zhulin (法苑珠林 Forest of Gems in the Garden of the Dharma) fascicle 6 (卷六), which is a representative Chinese Buddhist text published in the Tang Dynasty. By doing so, it explains the intention of the arrangement of Miracle Stories (感應緣) at the end of Ghosts and Spirits (鬼神部). “The Six Realms of Rebirth” in Fayuan Zhulin does not contain the expected Fascicle of Hungry Ghosts (餓鬼部), but instead has the Fascicle of Ghosts and Spirits. In other words, indigenous concepts and cultures about ghosts and the netherworld had accumulated for a long time before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a, and it would have been impossible to compile the Fascicle of Hungry Ghosts based solely on Buddhist concepts while ignoring the traditional ghost culture. Hungry ghosts (餓鬼 egui, Sk. preta) seem to have been added to the category of ghosts, and the Fascicle of Ghosts and Spirits seems to have been established which encompasses both traditional and Buddhist views of the netherworld. The specific contents and composition of “Ghosts and Spirits” Miracle Stories (感應緣) begins with the Sima Wenxuan of the Song Dynasty (宋司馬文宣) story, where the hungry ghosts (餓鬼) and netherworld officers (冥官 mingguan) appear in succession. The Wang Hu of the Song Dynasty (宋王胡) follows, where ghosts as ancestral spirits show the netherworld to people and tell them to return to Buddhism. Next, like Li Dan of the Song Dynasty (宋李旦), who repeated the themes of the two stories and emphasized salvation through Buddhism while repeating, Zheng Xianzhi of Yingyang (滎陽鄭鮮之), who repeated the themes of the two stories at the beginning as mythical historical characters, was place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Buddhist tales. In addition, the Buddhist tale of Miracle Stories was summarized with Mu Renqian of the Tang Dynasty (唐睦仁蒨), which depicts a new ghost form by combining traditional and Buddhist views of the netherworld. Fayuan Zhulin Fascicle 6, “the Six Realms of Rebirth” (六道篇) of “Ghosts and Spirits” (鬼神部) connects the themes of the tale from Miracle Stories in succession and offers an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theme of convergence by combining the traditional and the Buddhist view of the netherworld, and combining ghosts as netherworld officers and hungry ghosts suffering from sin.

      • KCI등재

        통일수도 입지로서의 교하 지역 풍수적 평가

        손진수 ( Son Jin So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3

        본 연구는 한반도 통일 후 수도 입지로서의 교하 일대를 풍수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평가 대상지는 세 곳이다. 그 첫째는 최창조와 윤여덕이 통일한국의 혈장으로 추천한 교하중학교(현재 파주특수교육지원센터) 자리이고, 둘째는 과거 교하현의 읍치가 있었던 현재 인조의 왕릉인 장릉 일대이며, 셋째는 장릉 천장에 따라 읍치가 이전된 현재의 교하초등학교터이다. 현장답사를 통한 풍수적 판단 결과, 파주특수교육지원센터는 현무에서 혈장까지의 용세변화과정이 명확하지 않고 청룡 쪽의 허결함과 산과 물의 흐름이 동일한 산수동거가 단점으로 나타났으나, 수구가 관쇄된 점은 장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릉은 입수맥이 분명하고 사신사가 유정하며 용호가 겹겹이 교쇄하고 있고, 물의 흐름이 용수 합국을 이루고있는 점은 장점인 반면, 장릉 능역은 개발할 수 없는 지역이므로 장릉 아래 부분을 중심으로 볼 때는 수도가 입지할만한 충분한 면적이 되지 못하는 점이 드러났다. 끝으로 교하초등학교는 현무에서 개장과 천심이 이루어져 입수맥이 분명하고 청룡과 백호가 혈을 유정하게 감싸고 있음이 장점이지만, 수구관쇄가 부족한 점과 주산인 장명산이 훼손되었음이 단점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세 지역은 모두 통일수도가 입지하기에 풍수적으로 여러 가지 단점들이 드러난 데다 수도로서의 충분한 면적을 가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 지역만으로 한정해서 볼 때는, 파주특수교육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보고 국면을 확장할 경우가, 통일수도 입지로서의 면적과 도시개발 측면에서 상대적 우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Gyoha region as the capital site for the future reunified Korea in the perspective of Fengshui. For this purpose, three locations in the region were considered: Paju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former Gyoha Middle School), which was recommended by Choi Changjo and Youn Yoeduck; the JangReung area, where the Gyoha local government was originally located during the early Chosun Dynasty; and Gyoha Elementary School, which was also the Gyoha local government site after it was selected as a royal grave site. This research concludes as follows: Paju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does not clearly show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Hyeonmu to Hyol and the shoulder side of Cheongryong is weak and not clear, and it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the coexistence of mountain and water with the flow in the same direction. However, it has the advantage of the Sugu being closed firmly. The JangReung area has an abundance of water but its Hyeonmu does not show powerful spirit. In addition, its area is not large enough to be a capital site. The Gyoha Elementary School shows strong stream from Hyeonmu to Hyol and its surrounding mountains are cozy, but its shortcoming is that Jangmyeongsan has been severely damaged, so rarely functioning as a guardian mountain. In conclusion, these three locations have shortcomings in Fengshui`s perspective and their scanty land sizes and therefore, they are not suitable to be a capital site. However, if one location should be selected in the Gyoha area, it would be Paju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as it has more advantages in its land size and urbanization potentials than JangReung or Gyoha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환경개선펀드의 운용 특성에 관한 연구 : 산업단지내 부동산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손진수(Son, Jin-Soo),서진형(Seo, Jin-Hyeong) 한국부동산법학회 2021 不動産法學 Vol.25 No.2

        최근 노후한 산업단지의 구조개선을 위한 사업으로 환경개선펀드에 의한 개발사업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개선펀드 투자로 인한 부동산개발사업을 분석하여 주요 특징을 도출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개발사업의 운영이라는 측면에서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적인 특성으로 인해 민간사업자의 출자비율과 사업주간사의 자본금비율이 높아 사업의 안정성이 증가한다. 둘째, 지식산업센터와 같은 선분양형상품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셋째, 수도권지역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펀드사업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민간사업자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과 지역간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향후 손실발생사업 발생시의 처리 기준과 분양형 사업방식 중심에 대한 정책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 Recently, development projects by environmental improvement funds have been rapidly growing as a renovation project of aging industrial complexe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s caused by fund investments and to derive key feature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continuous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of the development project are as follows: First, public characteristics of funds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project due to the high ratio of private investment and the capital ratio of SPC. Second, pre-sale products such as the Knowledge Industry Center account for a high proportion in fund projects. Third, the propor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high in fund projects.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fund projects, measures to increase the credibility of private developers and efforts to bridge the gap between regions are needed. An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et the criteria for handling loss-generating businesses and a policy direction to pre-sale development projects.

      • KCI등재

        유아의 전쟁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원경(Son Won-kyoung),유진(Shon Yoo-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전쟁놀이 실태와 이에 대한 어머니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에 위치한 유아의 어머니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83.2%(158명)가 전쟁놀이를 하고 있으며 남아(93.3%)가 여아(70.9%)보다 전쟁놀이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은 자녀가 재미있어서, 또는 친구와 어울리려고 전쟁놀이를 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자녀의 전쟁놀이를 허용하는 어머니(18.5%)가 금지하는 어머니(11.6%)보다 많았으며, 교사가 전쟁놀이를 허용해 주기를 바라는 어머니(18.8%)가 금지해주기를 바라는 어머니(14.1%)보다 많았다. 어머니들은 전쟁놀이의 긍정적인 측면을 이해하고 있었으며 예전보다 허용하는 비율도 높아졌다. 이에 유아의 전쟁놀이가 진정한 의미의 놀이가 될 수 있는 방안을 교사와 부모가 적극적으로 도색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ther's awareness about children's war play. 214 mothers were selected to response to a questionnaire which asks children's war play in three parts, the present condition, mother's awareness and management of war pla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children did war play(83.2%) and boys did more than girls. Second, mothers responded to the reason of children's war play children were enjoying their war play and wanted to play with friends. Third, most mothers thought war play was helpful to children's development and they let their children do war play and they wanted to for teachers approve children's war play positively as well. Fourth, mothers worried about watching violent TV programs and playing with violent toys of children. To minimize violence of TV programs and toys, effective ways need to be suggested variously in the future.

      • KCI등재

        중국 승전류를 통해 본 승려의 죽음

        손진(Son, Jin)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硏究 Vol.- No.97

        중국불교의 僧傳에는 승려의 죽음 전후와 관련된 여러 사례를 볼 수 있다. 승려가 자신의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임종 과정에서는 어떠한 일들이 있어났는가에 대해서 중국의 승전을 대표하는 「고승전」 과 「속고승전」 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승전에서는 승려의 임종 전후를 죽음을 맞이하는 자의 태도, 死者를 보내는 측의 태도 그리고 승전의 찬자가 이에 대해 갖는 관심을 위주로 하여 서술하고 있다. 승전 속 고승들은 살아 있을 때의 수행에 더하여 임종의 짧은 기간에 정토원생을 바라면서 觀佛, 懺悔 등을 하였다. 또한 齋會와 開講을 통하여 미리 죽음에 대해 고별하면서 衣資를 배분하거나 葬法을 유언하고 있다. 이 가운데 觀佛 등은 임종의례가 되어갔다. 죽음이 임박한 순간에 선업을 쌓아 정념하여 得道와 往生하고자 한 승려들의 임종 전후는 대부분 율과 경론이 설한 바에 따른 것이었다. 또한 死者를 보내는 측은 유언과 율에 따라서 葬儀를 하였다. 그들은 승려의 죽음을 애도하면서 동시에 고승의 感果, 往生 여부 등에 관심을 가졌다. 그러므로 중국불교의 승전류에서는 승려의 죽음에 나타난 다양한 생리적 변화, 色相의 변화, 瑞祥 등을 통하여 고승의 得道와 往生을 전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According to Daoxuan( 道宣, 596–667), who wrote Xu Gaoseng Zhuan (續高僧傳), the significance of the rules of conduct from the basic chapters on nursing and funerals in Sifen LüShanfan Buque Xingshi Chao(四分律刪繁補闕行事鈔) is explained. Disciples and congregation, who were to let the deceased go, performed the funeral and built a tower in accordance with the deceased’s testament and Vinaya. In addition, they mourned the eminent monk’s death and were strongly interested to know the benefits of enlightenment or reincarnation. In some cases, the eminent monk directly spoke of his spiral awakening just before his death, but if he did not mention it, the disciples reported on the auspicious signs, such as physiological changes in the deceased"s qi of warmth, and appearance of tongue and fingers, and judged them as signs of the birth in the Pure Land and enlightenment. When Huijiao (慧皎) described shenyi(神異) and Daoxuan depicted gantong(感通), even if these were similar expressions such as xianlu of Daoism, its purpose was to claim spiritual awakening, enlightenment, and birth in the Pure Land. Although birth in the Pure Land can be thought of as immortality in a sense, but both the ideological background and the way it was performed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at of traditional Chinese rituals. Showing shenyi and gantong to deliver the signs of enlightenment and the birth in the Pure Land are some of the most distinguished features of the view on life and death as gleaned from The Biographies of Mon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