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onostatic/Bistatic/Multistatic 미세도플러 영상을 융합한 효과적인 탄도미사일 식별 연구

        손재환,차상빈,정주호,최인오,박상홍 한국정보기술학회 2023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1

        탄도미사일은 탄도 궤적을 따르는 미사일의 한 종류이며, 탄두의 낮은 레이더 단면적(RCS, Radar Cross Section) 및 고속의 특성으로 인하여 큰 위협이 되고 있다. 특히 중간단계에서 탄도미사일 요격 시 탄두와 매우 유사한 RCS 및 속도를 가지는 기만체로 인하여 요격 성능이 매우 저하될 수 있으므로, 최근 두 표적의 미세운동 차이로 인한 미세도플러(MD)를 사용하여 구별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단일 레이더를 사용하여 2차원 시간-주파수 영상에서 구분이 수행되므로, 미세도플러 대역폭이 큰 관측각에서 구분율이 높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매우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최근 개발된 모노스태틱/바이스태틱/멀티스태틱 미세도플러 영상형성 기법을 활용하여 미세도플러 영상을 형성한 후, 이를 융합하여 관측각도 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는 구분결과를 얻는 기법을 제안한다. The ballistic missile(BM) is a kind of missile following the ballistic trajectory and is a major threat due to the low radar cross section(RCS) and the high speed. Especially, when intercepting BM in the midcourse phase, the intercept accuracy can significantly decrease due to the decoy with the RCS and the velocity similar to those of the warhead. For this reason, researches to classify the warhead and the decoy are actively carried out by exploiting micro-Doppler(MD) caused by the difference of the micro-motion. However, because most of researches are conduced by using a single radar, the classification accuracy is high if the target is observed at an aspect angle yielding wide MD bandwidth and if not, the accuracy can be degraded considerably. To solve this problem, we suggest an efficient method robust to the variation of the aspect angle by fusing MD images obtained by using the recently proposed monostatic/bistatic/multistaitc modeling methods.

      • KCI등재

        대학생의 자존감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재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7 청소년상담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compassion on college students' depression and anxiety. A sample of 318 college students in Chungbuk was employed. The scale used in this study was Korean Symptom Checklist 95(KSCL95), Rogenberg Self-Esteem Scale(RSES) and Korean Self-Compassion Scale(KSCS).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in relation to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using the bootstrap metho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and self-compass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depression. And self-compass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elf-esteem. Second, same as the result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self-compass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anxiety. However, unlike the result of depression, self-compassion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self-esteem. By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for reducing depression and anxiety using self-esteem and self-compassion were further discussed. Also, future research suggestions were provid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울 및 불안에 있어 자존감과 자기자비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지역 대학생 318명을 대상으로 Rosenberg 자존감 척도, 자기자비척도, 우울 및 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KSCL95를 실시하였다. 자존감은 자기자비를 매개로 하여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을 하고 매개모형을 설정하여 bootstrapping 방식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우울의 경우에는 자존감이 자기자비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자존감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효과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에 있어서 자기자비는 자존감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의 경우도 자존감은 자기자비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기자비를 매개로 하였을 때 자존감은 불안에 직접효과를 가지지 못하여 자기자비의 완전매개모형을 지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울과 불안에 있어 자존감과 자기자비가 다르게 기능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즉 자존감은 자기자비를 통하여 우울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자기 가치를 제고하는 자존감의 직접적 특성 또한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불안의 경우에는 자존감 자체로 불안에 영향을 주기 보다는 자기자비가 가진 자기 수용성 혹은 자기 진정성 등을 통해 개입하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청소년상담연구 동향 및 청소년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청소년상담연구」 학술지를 중심으로

        손재환,소수연,손영민,이지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0 청소년상담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trends in publications in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KJYC)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KJYC, commemorating its 10thanniversary.Thisstudyreviewed 315 manuscripts published in KJYC from 2009 to 2019 focusing on the areas of topics of interest, methodologies, study participants, and intervention programs. The study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In addition,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youths-related intervention programs published in the journal. The meta-analysis analyzed 30 studies that had the either experimental group-control group design or pre-post test design. Meta-analysis results showed that both fixed and random models had significant effects. This study also conducted a meta-ANOVA for the subgroups on targets and the subgroups on program approach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bgroups on targets had significant effects in all subgroups in a fixed model, and the subgroups on program approaches were significant in some subgroup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is journal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상담연구」의 등재학술지 선정 10주년을 맞아 그동안 게재된 논문의 동향을 파악하고 추후 학술지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315개의 논문을 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프로그램 개입별 영역으로 세분화 하여 정리하였다. 분석은 연구 영역별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각 영역의 추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학술지에 게재된 청소년관련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36개를 정리하고, 이중 실험집단-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증을 실시한 30개 연구들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메타분석 결과는 고정효과모형과 무선효과모형 모두 효과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대상별, 프로그램 접근별로 하위 그룹을 구성하여 메타 ANOVA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등 대상별 효과크기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고등학생과 후기청소년 대상 연구들에서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교육, 청소년동반자 등 프로그램 개입접근별 효과크기를 살펴 본 결과, 효과크기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이중 후기청소년지원 프로그램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논의하고, 추후 본 학술지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열등감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특성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재환 한국재활심리학회 2018 재활심리연구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있어 열등감이 특성불안을 매개로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것을 위해 충북지역 고등학생 및 대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척도, 특성불안척도, 열등감 척도를 조사하고 척도의 정규성 검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측정모형 검증, 구조모형 검증, bootstrapping 방식으로 간접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결과 열등감, 특성불안, 스마트폰 중독이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가졌다. 그리고 구조모형 검증을 통한 각 변인 간 경로는 열등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성불안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미하였다. 또한 열등감이 특성불안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열등감이 특성불안을 매개로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간접효과(매개효과)에 대한 bootstrapping 방식의 검증 결과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등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직접효과도 유의미하였다. 즉 열등감은 특성불안을 부분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의의를 기술하였으며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개입 프로그램을 위한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학교폭력 가 · 피해 유형분류를 위한 현장 전문가 대상 개념도(concept mapping) 분석

        손재환,이대형,이현진,유춘자,정진선,김수현,박소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청소년상담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점차 다양해지고 복잡한 양상으로 변해가고 있는 학교폭력 문제에 대해서 현 장 전문가들은 어떻게 학교폭력 유형을 구분하고 있는지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서 Kane과 Trochim(2007)의 개념도(concept mapping) 분석 방법과 절차를 사용하여 117센터, Wee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 현장 전문가들이 어떻게 학교폭력 유형을 개념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학교폭력 가 · 피해 유형에 대한 기존 문 헌 고찰과 현장 전문가들 대상 인터뷰를 통하여 학교폭력 가 · 피해 호소 문제 목록을 도 출하고 이를 현장 전문가 137명에게 유사한 것 끼리 분류하게 하였다. 분류된 자료에 대해서 다차원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가 · 피해 세부 유형을 구분하는 차원과 유형 군집을 살펴보았다. 가해 유형은 크게 ‘성적 가해 여부’ 차원과 ‘가해 심각 성 정도 차원’으로 분류가 되었으며 세부 7개의 유형 군집이 나타났다. 피해 유형은 크 게 ‘일차적-이차적 피해’ 차원과 ‘피해 심각성 정도 차원’으로 분류가 되었으며 세부 5개 의 유형 군집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에 대한 연구의 의의, 제한점을 제시 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how school counselors are classifying the school violences which is getting more complicated and various. For this purpose, Kane and Trochim's (2007) concept mapping analyzing method was applied to understand how experienced school violence counselors, such as 117 center, Wee center, CYS-Net center counselors, have perceived and classified school violence. In this process, we first investigated the literature and interviewed counselors on school violence. Through it we have derived a list of the problems of school violence, and a list of the problem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similarity in meaning. 137 counselors participated in this work.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analysis for this data. As a result, The offender type of school violence has been classified as two-dimensional, such as existence of sexual violence and the severity of violence. The type was classified into subgroups of seven. Then victim type of school violence has been classified as twodimensional; first-secondary victim and the severity of victimization. This type has been classified into groups of five.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Key words

      • KCI등재

        청소년들의 Wee스쿨 참여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손재환,전미이,이정주,정주희 한국교육개발원 2013 한국교육 Vol.40 No.4

        본 연구는 최근 심각성이 더해가는 학교부적응과 관련하여 위탁대안학교인 Wee스쿨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험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부적응으로 C지역 Wee스쿨에서 교육을 받은 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Wee스쿨 교육에 참여하기 이전과 참여하는 과정, 참여직후의 경험들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들의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질적 면접을 실시하였고, 면접 내용을 주제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Wee스쿨 참여이전의 경험으로는 ‘학교에 가지 않아 Wee스쿨에 의뢰됨’, ‘교사 학교분위기, 또래 관계, 가족으로부터 스트레스를 경험함’, ‘부적응 방식으로 스트레스를 대처함’ 범주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Wee스쿨 참여과정의 경험으로는 Wee스쿨을 통한 긍정적 변화요인들이 확인되었는데 크게 세 개의 범주로 확인되었다. ‘이전 학교보다 자유롭고 분위기도 좋음’과, ‘교사의 적극적인 관심과 또래들의 배려로 유대감이 회복됨’, ‘일반 학교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교과 과정이 도움이 됨’이 변화요인들이었다. 이어 Wee스쿨 참여 이후 경험을 살펴본 결과 학생들의 변화된 모습에 대한 내용을 얻을 수 있었다. 크게 세 가지 변화로 ‘나 스스로의 변화’, ‘가족이 따듯하게 변화됨’, ‘내적 통제감을 갖게 됨’이었다. 마지막으로 결과에 대한 적용 및 연구의 의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adolescents' experience participating in Wee school. For this purpose, the qualitative interview was used with ten students who came back to their school after the program in Wee school. Data from the interview were analyzed with the method of subject analysis. As a results, their previous experiences before participating this program were categorized as the recognition for problem behavior, the experience of previous stress and the way of dealing with stress. During the program of Wee school, their experiences were revealed to 3 categories which are positive changing factors such as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school atmosphere, the personal relationship, and programs. As the result of participants' experiences after the programs, the study showed 3 categories about students' positive changes such as the perception of own changes, the changing perception about the family, and the recognition of inner control. Lastly, this study presents the application, implication, and restriction.

      • KCI등재

        절사센서의 표면거칠기 특성에 관한 연구

        손재환(Jae-Hwan Son),이호영(Ho-Young Lee),박철우(Chul-Woo Park),노준호(Joon-Ho Roh),한창우(Chang-Woo Han),오창환(Chang-Hwan Oh),서민교(Min-Kyo Seo) 한국산업융합학회 2007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10 No.4

        These days, various and complex threads are developed,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utting a thread sensors for checking a cut thread in severe environment and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cutting a thread sensors. The analysis of variance(ANOVA) method is very useful method on the quality evaluation field. In this study, the quality is evaluated by one way layout ANOVA method with the surface roughness data. The experiment is carried out by 3 sensors and the result show that the sensors have the good quality in precision.

      • KCI등재

        치과용 시술기구(Micro Handpiece)재료의 특성평가 및 표면품질에 대한 연구

        손재환 ( Jae-hwan Son ),한창우 ( Chang-woo Han ),최상일 ( Sang-il Choi ),김용중 ( Yong-jung Kim ),최창진 ( Chang-jin Cho ) 한국산업융합학회 2006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9 No.3

        As Industrialization gets more and more advanced, human technological medical apparatus for dentistry has been developed. Such a medical apparatus have to let precision revolution and torque control facilitate. Consequently, Development of Micro hand-piece with strong durability should be required. Moreover, It's also very important to evaluate performance of such a Micro hand-piece,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y of Material and ANOVA have been known as useful methods in the field of Quality Evaluation. For Verification of Quality Evaluation, It has been evaluated by One-way layout ANOVA based on the data of Surface Roughness Test. Anyhow, This test has been respectively carried out by 3 kinds of Test and Superior performance has appeared in the Test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