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J. Margolis의 예술 작품의 존재론을 통한 무용 비평
손수현 영남춤학회 2016 영남춤학회誌 Vol.4 No.2
In this article, I tried to apply dance criticism based on the relativistic critique based on ontology of the works of art by Margolis. This application explored the applicability of dance criticism through the part of the description of the ontology of dance art which was presented in the article of "Dance Art Person Handwriting Nature" which he wrote about dance.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discussion of the marginalism, the criticism of dance art is not limited to the evaluation of the style considering only the movement of the body, but at the same time it claims to include cultural consideration because it has the cultural attribute of dance art, It can be said that it should include historical considerations because of the self - nature of dance art. In short, the scope of dance criticism is to evaluate the beautiful movements of the body, to evaluate the cultural part, and to evaluate the historical aspect. This view is more likely to be applied to the various dance works performed in modern times than in the classical ballet of the past, and that the Marxist relativistic criticism can consider various aspects of dance art than any other viewpoint It will be value. 마골리스는 인간이론을 토대로 인간과 예술 작품과의 유추를 통해서 예술작품의 존재론을 추론한다. 그러한 유추를 따라서 마골리스는 예술 작품이 단순한 물리적 대상이 아니고 물리적인 부분으로 환원되지 않는 부분을 가진 문화적으로 창발된 존재자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예술 작품이 문화적으로 창발된존재자라면 감상과 비평에 있어서 문화적 맥락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고,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는 것은 감상과 비평에 있어서 상대주의를 지지할 것이다. 이에 본 글에서는 마골리스의 예술 작품의 존재론에 근거하여 무용비평에 대하여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적으로 마골리스의 예술 작품의 존재론을 살펴보는데 있어서 비환원적유물론을 통하여 살펴볼 것이며, 그러한 예술 작품의 존재론과 마골리스의 예술비평인 상대주의에 대하여 살펴 본 후 무용비평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결국마골리스의 논의에 따르면 무용예술에 대한 비평은 신체의 움직임만을 고려하는 스타일의 평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과 동시에 무용예술의 문화적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화적인 고려를 포함해야한다고 주장하고, 마지막으로 무용예술의 자필적인 본성으로 인하여 역사적인 고려까지도 포함해야한다고 볼 수 있다. 요컨대 무용 비평의 범위는 신체의 아름다운 움직임에 대한 평가와 문화적인 부분에 대한 평가, 역사적인 측면에 대한 평가를 행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과거의 고전 발레에서보다도 현대에 행해지는 다양한 무용 작품에대하여 적용가능성이 더욱 높으며, 마골리스의 상대주의 비평은 다른 여타의관점에서 보다도 무용 예술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할 수 있다는 점이 그의 논의가 가지고 있는 가치일 것이다.
Cross-Lingual Post-Training (XPT)을 위한 한국어 및 다국어 언어모델 연구
손수현,박찬준,이정섭,심미단,이찬희,박기남,임희석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3
It has been proven through many previous researches that the pretrained language model with a large corpus helps improve performance in variou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ask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building a large-capacity corpus for training in a language environment where resources are scarce. Using the Cross-lingual Post-Training (XPT) method, we analyze the method's efficiency in Korean, which is a low resource language. XPT selectively reuses the English pretrained language model parameters, which is a high resource and uses an adaptation layer to lear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languages. This confirmed that only a small amount of the target language dataset in the relationship extraction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target pretrained language model. In addition,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del on the Korean language model and the Korean multilingual model disclosed by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and companies. 대용량의 코퍼스로 학습한 사전학습 언어모델이 다양한 자연어처리 태스크에서 성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은 많은 연구를 통해 증명되었다. 하지만 자원이 부족한 언어 환경에서 사전학습 언어모델 학습을 위한 대용량의 코퍼스를 구축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Cross-lingual Post-Training (XPT) 방법론을 사용하여 비교적 자원이 부족한 한국어에서 해당 방법론의 효율성을 분석한다. XPT 방법론은 자원이 풍부한 영어의 사전학습 언어모델의 파라미터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재활용하여 사용하며 두 언어 사이의 관계를 학습하기 위해 적응계층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관계추출 태스크에서 적은 양의 목표 언어 데이터셋만으로도 원시언어의 사전학습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한다. 더불어, 국내외 학계와 기업에서 공개한 한국어 사전학습 언어모델 및 한국어 multilingual 사전학습 모델에 대한 조사를 통해 각 모델의 특징을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