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청소년기의 변화에 대한 부모-자녀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청소년·부모 FGI를 중심으로

        소수연,안지영,양대희,김경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4 청소년상담연구 Vol.22 No.1

        This study aimed to obtain basic data to find prevention methods of various problems which can occur in early adolescence and maladjustment problems in late adolescence by comparing perceptions of parents and adolescent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adolescence. For this, 12 first- and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16 parents of children in early adolescence were interviewed in depth, and the interview content was transcribed and analysed. As a result, the data was organized into 4 subjects, which are "Aspects of Transition in Early Adolescence", "Anxieties and Conflicts Perceived by Parents and Adolescents in Early Adolescence", "Coping Methods for the Transition, Anxieties, and Conflicts in Early Adolescence" and "Supports that Parents and Adolescents Want", with 28 categories and 106 sub-categories. The adolescents and parents reported similar experiences and thoughts on the aspects of transition, anxiety, conflicts and coping methods, but the two groups also showed perception differences on where they put more importance and interests. In addition, it was showed that the adolescents wanted psychological support from their parents and the parents needed information of early adolescence, parenting methods, and parent education for healing their emotional difficulti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parents and adolescent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adolescence and perception o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it provided basic data to develop a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children in early adolesc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기의 청소년과 부모를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고 있는 초기 청소년기의 특성과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초기 청소년기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와 후기 청소년기의 부적응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를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1, 2학년 남·여 학생 12명, 초기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 16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인터뷰 내용은 참여자들의 동의를 얻어 녹음되었다. 연구자 4명은 인터뷰 내용을 전사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기 청소년기의 변화 양상’, ‘청소년·부모가 인식한 초기 청소년기 고민 및 갈등’, ‘초기 청소년기 변화양상 및 고민·갈등에 대한 부모의 반응 및 대처’, ‘초기 청소년기 고민·갈등에 대한 청소년의 대처 및 청소년이 생각하는 부모의 대처’, ’초기 청소년기 청소년이 부모로부터 원하는 지원‘, ’초기 청소년기 부모가 원하는 지원‘ 등 6개 주제, 28개 범주, 105개 하위범주로 정리되었다. 참여한 청소년과 부모들은 초기 청소년기의 변화 양상 및 이 시기의 고민과 갈등, 대처방법 등에서 유사한 내용을 보고하기도 하였으나 각각 중요하게 생각하거나 관심을 갖는 내용들에서는 인식의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또한 청소년들은 부모로부터 심리적 지원을 원하며 부모들은 초기 청소년기에 대한 정보와 양육태도나 부모의 정서적 어려움을 치유 받는 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초점의 대상이 되고 있는 초기 청소년기의 특성과 부모-자녀 관계의 인식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추후 초기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 불안․우울 경험과 회복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소수연,주지선,조은희,손영민,백정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1 청소년상담연구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xperiences of anxiety and depression and the recovery process among adolescents in order to identify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anxious and depressed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s well as in-depth interviews with 8 adolescents who had counseling experience for anxiety and depression.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Themes were grouped into 3 domains and 20 categories. According to the results, anxiety and depression were triggered by both environmental factors and personal factors, which led study participants to experience avoid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ifficulties in daily life, self-harm, and suicidal ideation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were referred to counseling by their parents or teachers who recognized such struggles. Participants also recalled that through the experience of having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counselors, they were able to control their emotions, understand themselves better, and learn coping strategies to use when they were anxious and depressed, which helped reduce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Based on the data analysis, we also summarized and presented the stages of the recovery process from anxiety and depression. This study is a meaningful empirical study in that it identified the recovery process from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through exploring not only their experiences of these mental health issues but also their counseling experience to deal with those issues.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우울 청소년에 대한 효과적인 상담개입 방법을 탐색하기 위해 청소년의 불안․우울 경험과 회복 과정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 불안․우울의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불안․우울로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는 청소년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합의적 질적 분석(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을 사용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총 3개 영역, 20개 범주로 정리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불안․우울은 환경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으로 촉발되며, 이로 인해 연구 참여자들은 대인관계 회피, 일상생활의 어려움, 자해 및 자살 사고 등을 경험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은 이와 같은 변화를 인지한 부모나 교사의 권유로 상담을 받게 되고, 상담자와의 신뢰로운 관계 경험 등으로 감정조절과 자기이해가 가능해지고 불안․우울할 때 대처방법을 습득하여 증상이 감소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인터뷰 분석 내용을 토대로 청소년 불안․우울 회복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불안․우울 청소년들의 경험과 상담을 통한 회복 과정을 밝히는 경험적인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상담자의 화상상담 경험에 관한 연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소수연,백정원,이지은,이수림,김지훈,정진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1 청소년상담연구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youth counselors and to explore various attempts to overcome them. For this purpose, prior research related to video counseling was reviewed, and 10 counselors from the Youth Counseling Welfare Center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factors were derived using MAXQDA 2020, a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gram. The interview contents were organized into 3 categories, 9 subcategories, and 26 concepts. The main categories are ‘Awkwardness and difficulty in face-to-face and other video counseling’, ‘Efforts to overcome fear of video counseling: an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 method’, and ‘Prospects for video counseling’. While conducting video counseling, the study participants complained about the awkwardness of the new counseling method, and the difficulties in creating and structuring the video counseling environment and emotional contact with the client. It appears that they are adapting by trying various methods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In addition, it is predicted that video counseling will become one of the new media counseling methods in the fu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ought effective ways to operate video counseling from various angles in the future through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youth counselors at the beginning of video counseling.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상담자들이 경험한 화상상담의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화상상담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상담자 10명을 3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자료 분석 프로그램인 MAXQDA 2020을 사용하여 요인을 도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총 3개 범주, 9개 하위범주, 26개 개념으로 정리되었다. 주요 범주는 ‘화상상담에 대한 어색함과 어려움’, ‘화상상담의 두려움 극복을 위한 노력: 효과적인 상담개입 방법 시도’, ‘화상상담 대한 전망’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화상상담을 실시하면서 새로운 상담방법에 대한 어색함과 화상상담 환경조성과 구조화, 내담자와의 정서적 접촉의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이들은 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시도하며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앞으로 화상상담이 새로운 매체상담방법 중 하나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본 연구는 화상상담이 청소년상담 현장에서 본격적으로 실시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청소년상담자들의 실제적인 경험을 통해 추후 화상상담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유용성 척도 개발

        소수연,조은경,조은희,박선우,전환희,이동형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6 청소년상담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the utility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Youth Counselors so that the instrument can be used to monitor and improve the quality of such programs. Firstly, we decided to adopt the concept of transfer of education training from related research literature and designed a model including ‘training design factors’, ‘individual factors’, and ‘organizational factors’ which affect the transfer while training. Also the final assessment tool was comprised of two instruments: one for right after and the other for two months after the training. Along with additional questions asking for validity check, the scale was administered to 629 Youth Counselors who completed refresher training for youth counselors in 2015. We conducted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veloped instruments are as follows. Measurement for right after the training consist of 30 questions in total: 10 for contents and competence of trainers, 7 for motivation for transfer and studying, and 6 for self-efficacy. The other instrument for measurement of two months after the training consist of 21 question: 7 for transfer of education training, 5 for support of superior, 4 for support of peers, and 5 for support of groups. Both instruments were found reliable, considering high inter-item consistency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In Measurement for right after the training, the reliability test of the assessment tools yielded a Cronbach α of .965. And in measurement of two months after the training, the reliability test of the assessment tools yielded a Cronbach α of .916.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se evaluation tools are designed to train professionals for their own improvement. Furthermore, It has greater significance in that we can investigate how the given training would be maintain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을 이수한 청소년상담사가 보수교육에서 학습 한 내용을 현업에 복귀한 후 실무에 적용하는지를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훈련전이 개념을 적용하여 보수교육 유용성 척도를 개발하였고, 평가 실 시 시점에 따라 교육 직후와 교육 2개월 후, 2종의 평가도구로 구성하였다. 선행연구, 내용타당도 검증과 연구진 합의를 통해 도출한 56개 최종 예비문항을 2015년 청소년상 담사 보수교육 이수자 중 상담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청소년상담사 629명에게 실시하여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직후 척도는 ‘교육내용/ 강사역량’, ‘전이동기’, ‘학습동기’, ‘자아효능감’ 4개 요인, 총 30개 문항으로, 교육 2개월 후 척도는 ‘교육훈련전이’,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조직의 지원’ 4개 요인, 총 21 개 문항으로 확정되었다. 교육 직후 척도의 내적일치도(Cronbach's α)는 .965로 확인되 었고, 하위요인별로는 교육내용/강사역량 .951, 전이동기 .952, 학습동기 .908, 자기효능 감 .925이었다. 교육 2개월 후 척도의 내적일치도(α)는 .916이었고, 하위 요인별로는 교 육훈련전이 .910, 상사의 지원 .915, 동료의 지원 .906, 조직의 지원 .868이었다. 본 연구 는 청소년상담 전문 자격제도에서 양성하는 자격증 취득자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보 수교육의 유용성을 측정하는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보수교육 을 이수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교육에서 학습한 내용을 활용하고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상담 사례지도 모형 개발

        소수연,서미,장유진,조은희,이지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9 청소년상담연구 Vol.27 No.1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supervision model for youth counseling to better equip supervisors and supervisees working in youth counseling centers with required skills and capabilities. For this purpose,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youth counseling an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10 supervisors and 10 supervisees from youth counseling centers were conducted. Incorporating feedbacks from experts in practice and in academia, the supervision model was finally created. The model consists of three main phases-preparation,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follow-up-, corresponding to a time sequence in which a supervisory activity is usually done. In particular,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essential tasks that should be performed by the supervisor in her supervision session and the tasks that may be selectively addressed when the related issues arise are suggested as separate domain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asks or functions presented at all stage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expertise of the supervisor, a supervisor competency was conceptualized as a foundational base. Responsive to the needs of those working in youth counseling centers, the supervisio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may provide practicing supervisors with clear guidelines as to how to perform their supervisory role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사례지도 기능과 상담자들의 상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적합한 청소년상담 사례지도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상담 사례지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근무하는 슈퍼바이저 10명과 슈퍼바이지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모형에 대해 현장 및 학계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청소년상담사례 모형이 최종 확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청소년상담 사례지도 모형의 주요 단계는 슈퍼바이저가 실제 사례지도를 준비, 진행, 평가하는 흐름에 따라 3단계로 구성되며, 이는 준비 단계, 실행 단계, 평가 및 추수 단계이다. 특히 실행 단계에서는 슈퍼바이저가 사례지도에서 반드시 수행해야 할 필수 과업과 해당 이슈가 발생했을 때 다룰 수 있는 선택 과업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또한 슈퍼바이저의 전문성이 모든 단계의 사례지도 과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 슈퍼바이저 역량 강화 요인을 전체 사례지도 과정의 근간이 되는 것으로 개념화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일하는 실무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사례지도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현장의 슈퍼바이저들에게 사례지도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해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따돌림 예방을 위한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이 인간관계 태도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소수연 학생생활삼담소 1999 학생생활상담 Vol.18 No.-

        본 연구는 요사이 사회 문제가 되고 있는 집단 따돌림의해결 방안으로 청소년들에게 따돌림 예방을 위한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인간관계 태도와 사회효능감, 일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초등학생 17명과 고등학생 9명, 총 26명으로 이들은 각 학교의 담임선생님과 상담선생님이 평소 대인관계에서 다소 위축되어 있거나 공격적이라고 지각한 학생과 프로그램에 흥미를 가지고 자진하여 신청한 학생들이었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재구성한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을 2시간씩 8회기, 총 16시간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받지 않았다. 각 집단에 사전과 사후에 걸쳐 인관관계 태도와 사회효능감, 일반효능감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간관계 태도 점수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그러나 사회효능감과 일반효능감에는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연구 초기단계인 집단 따돌림의 문제를 예방이라는 시각에서 접근하였고, 실제로 예방차원의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한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에 관한 수퍼바이저의 지각 연구

        소수연,장성숙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3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supervision outcomes and it is important for them to explore the way to achieve supervision outcomes. This study reviewed on effective supervision components for outcomes of supervi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effective components was turned out to be a supervisory relationship, a development of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feedback, and supervisor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ies. Supervisors and supervisees both considered that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is the most core factor in supervision. But supervisors regarded feedback as more important than development of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supervisees valued development of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more than feedback. There were differences to contents perceived by supervisors and supervisees in each component. I discussed about this issues from the viewpoint of supervisors than that of supervisees. And i made a suggestions for the needs of study on perception of supervisor. I summarized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nd discuss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conclusion. 수퍼비전의 성과와 관련된 주제는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사이며, 수퍼비전 성과를 높이는 방안에 대한 탐색은 매우 의미있는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퍼비전 성과와 관련된 연구들이 주로 수퍼바이지 관점에서 이루어져 온 것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고, 문헌 검토를 통해 수퍼비전 성과에 영향을 주는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수퍼비전 관계, 상담 기술 개발, 피드백, 수퍼바이저 특성 및 역량 등 네 가지가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로 도출되었다. 이중 수퍼비전 관계는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 모두에게 수퍼비전의 핵심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그러나 수퍼바이지들은 실제 상담에 사용하는 상담 기술 개발을, 수퍼바이저는 평가 역할을 하는 피드백을 다른 요소들보다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지각하고 있었다. 또한 각 요소별로 세부 항목에 따라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지각에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결론에서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수퍼비전 운영 기준 마련과 수퍼바이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후속 연구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 품성계발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

        소수연,양대희,이상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5 청소년상담연구 Vol.23 No.2

        The research aims at developing effective character development program by drawing necessary virtues for elementary senior year students. First, to conduct current study, extensive literature survey was carried out to forge theoretical basis of the program. Then, focus group interview data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character development program experts were analyzed. Seco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through the test operation. the subjects were 43 4th to 6th grade students; they were given a demonstrative program. The study found out that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altruism, emotional control, observance of school rules, self-respec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empathy and considerate behavior did not. The opinions of participants and instructers and results of experts' supervision were reflected in modified final program.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eveloped a practical program, by finding out a virtue of character necessary for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precedent researches and interviews of experts, th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schools and counseling settings. In the end,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청소년에게 요구되는 품성 덕목을 함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현장 전문가 대 상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품성계발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나’, ‘우리’, ‘공동체’, ‘책임’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구성요소를 토대로 12회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와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학년-6학년 학생 43명을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이타성, 정서조절, 학교규칙 준수, 자기존중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공감과 배려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프로그램 지도자와 참여자들의 만족도와 평가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재 초등학교 고학년들에게 필요한 품성 덕목을 선행연구와 현장전문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도출하여 학교 및 상담 현장에 활용도 높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숙련된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수행에 관한 질적 연구

        소수연,장성숙 한국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6 No.2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experienced supervisors’ supervision performance processes and related factors. Ten experienced supervisors were interviewed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CQR. Six domains and 40 categories were revealed from analysis of interview contents. The supervision performance processes indicate structuring the supervision. Supervision contents mean that the supervisors focus on the supervision. The methods to conveying supervision contents were how supervisors deliver their feedback to supervisees. Supervisory relationship stands for th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s and supervisees. These four domains were essential factors of the supervision performance. Professional competences of supervisors interact with essential factors of supervision performances and lead to supervision outcomes. By exploring structuring the supervision processes, supervision contents, the methods to conveying supervision contents to supervisees, and developmental tasks of supervisor’s professional competences, the study provides fundamental data of supervision performances and presents the criteria of evaluation. 본 연구는 숙련된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여 수퍼비전 수행 과정과 수행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퍼비전 경험이 8년 이상인 수퍼바이저 10명에게 수퍼비전 실시에 대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합의적 질적 분석(CQR)을 사용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총 6영역, 40개 범주로 정리되었다. 6개 영역 중 수퍼비전 수행 과정은 수퍼비전의 조직화를 뜻하며, 수퍼비전 내용은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저가 주로 초점을 맞춰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퍼비전 내용을 전달하는 방식은 수퍼바이저가 수퍼비전에서 사용하는 피드백 방식이며, 수퍼비전 관계는 수퍼바이저와 수련자 간의 관계이며, 이 네 가지는 수퍼비전의 핵심 수행 요인이다. 수퍼바이저의 전문적 역량은 수퍼비전 수행 요인들과 상호작용하여 수퍼비전 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국내 숙련된 수퍼바이저들의 경험을 탐색하여 수퍼비전 수행 과정과 수행 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수퍼비전의 조직화, 수퍼비전에서 핵심적으로 다루어야 할 내용과 전달방식, 수퍼비전 목표와 성과의 기준이 되는 항목, 수퍼바이저로서의 전문성을 강화시키는 데 필요한 여러 발달 과제들을 도출함으로써 수퍼비전 수행과 평가의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는 근거 자료들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생 품성교육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소수연(Soh, Soo-You),성벼리(Seong, Byeori),문소희(Moon, So-He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최근 다양한 청소년 문제 해결을 위해 초등학생이 함양해야 할 품성 덕목을 도출하여 학교 또는 사회에서 실시할 품성교육 연구 및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와 품성교육 전문가 19명을 선정하여 현재 초등학교 고학년들에게 필요한 품성 덕목이 무엇인지에 대해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면접의 축어록에서 핵심문장을 추출한 뒤 총 60개의 진술문을 생성하여 이를 개념도 분석 단계에서 다차원척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이타성’, ‘공감·배려’, ‘공동체 의식’, ‘용기’, ‘자기이해 및 표현’, ‘규범준수’, ‘자기조절’ 총 7개 덕목이 산출되었다. 이는 관계지향적 차원과 자기지향적 차원, 사회적 영역과 개인적 영역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고학년에게 요구되는 품성 덕목 및 교육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 virtu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key components of character education researches and programs used in schools or communities by using a concept mapping method to deal with various youth problems occurring these days. A group interview with 19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xperts in character development programs was conducted to find out character virtues essential to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concept mapping stage, 60 statements extracted from the key sentences of the interview verbatim were analyzed using the multinational dimensional scaling (MDS) method. As a result, ‘altruism,’ ‘empathy and caring,’ ‘a sense of community,’ ‘courage,’ ‘self-understanding and self-expression,’ ‘obedience to norms,’ and ‘self-regulation’ have selected as seven virtues. These are classified as relationship-oriented or self-oriented, and social areas or personal area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the implications of the character virtues and character education required for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