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외 초등학교 외부 공간의 기능, 위치, 시설의 특성 분석

        성이용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a proper planning way about the exterior space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inquiring into the method of organizing the exterior space in cases of elementary school at foreign country. The scope of the target cases to inquire into is as follows. The special scope is limited at the exterior space of foreign elementary school, not domestic cases which are planed uniformly. From the time-based point of view, the completed 8 cases become the inquiry target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study the exterior space of foreign elementary school case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functional point of view the static space, for example garden, is located at the roof top and courtyard, the dynamic space is located at the ground level. Second, the exterior space of elementary school is located at the various level such as ground in the air, ground and underground. Especially the roof top space of the building is preferred as the exterior space mainly. Third, in an aspect of the facilities of the exterior space some furniture for rest and exercise are shown mainly. And the sports facilities are appeared variously, for example basketball stand, seesaw, playground, slide and track etc.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가 아닌 해외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다양한 외부 공간 구성방식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의 외부 공간에 대한 적절한 계획 방향을 제시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 대상이 되는 사례를 선정하기 위한 범위는 다음과 같다. 공간적 범위로는 획일적인 외부 공간을 계획하는 우리나라의 초등학교의 사례가 아닌 해외 초등학교의 사례의 외부 공간을 중심으로 제안한다. 시간적 범위로는 현재 2000년을 이후의 준공된 사례 8개를 수집하였다. 해외 초등학교의 외부 공간의 특징을 비교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 공간의 기능상 정적공간은 정원으로 옥상 및 중정에 위치하고, 동적공간은 지상층에 위치한다. 둘째, 외부 공간의 위치는 공중, 지상, 지하에 다양하게 나타나고 특히 건물 최상층의 공간인 옥상 공간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셋째, 시설은 휴게 공간의 벤치와 운동시설과 관련된 기구가 많이 나타나는데 운동시설은 농구대, 시소, 놀이터, 미끄럼틀, 트랙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 KCI등재

        복합용도개발 내 쇼핑몰의 리모델링을 통한 계획 특성비교연구

        성이용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help remodeling shopping malls of mixed use development in our country which were permanently been building from now on through comparative studying on method of plan characteristics through remodeling plan of the shopping mall in Mixed-use Development. The research subject is limited in COEX Mall comparing space formation and arrangement type through plan analysis begin and after plan remodeling. The method of the study is analyzing space lay out, classification of facilities and Spatial change of existing space based on analyzing the drawings of remodeled Coex Mall. The characteristics of begin and after remodeling plan are compared through various analysis about the change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facilities and the space correlation by zoning of architectural spa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We can find some change in remodeling shopping mall. : First, the scale and necessity of key tenant are changed. Second, the main theme of shopping malls is changed. Third, keeping spacial enlargement of shopping mall is appeared as entering of huge store in shopping mall. Lastly, the change of the aisle is appeared. 코엑스 몰은 2000년 5월 우리나라 최초의 복합용도개발로 개장하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른 노후화와 코엑스몰의 시설에 대한 새로운 매장과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2012년 새로이 전면적인 리모델링을 하였다. 이 리모델링은 현재 우리나라의 여러 복합용도개발 내의 쇼핑몰에 시초가 되는 것으로 현재 코엑스몰과 같이 우리나라 복합용도개발의 원조격인 센트럴시티 역시 리모델링 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복합용도개발 내 쇼핑몰의 리모델링에 의한 계획 특성에 대한 비교를 통해 앞으로 계속 이루어질 리모델링 쇼핑몰 설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코엑스 몰로 한정하여 리모델링의 전후의 평면 분석을 통한 공간형성 및 배치방식을 비교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리모델링된 코엑스몰을 중심으로 도면분석을 통한 공간배치, 시설분류, 기존의 공간 변화를 분석한다. 건축적 공간에 대한 조닝에 의한 공간 상관성과 시설의 분류에 따른 변화 등 다양한 분석을 통해 리모델링의 전 후 계획 특성을 비교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키테넌트의 규모 및 필요성의 변화이다. 둘째, 쇼핑몰의 주요 테마의 변화이다. 셋째, 대형매장의 입점에 의한 공간의 대형화가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통로의 변화로 나타난다.

      • KCI등재후보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 부대복리시설의 구성특성에 관한비교 연구

        성이용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raw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facilities at mixed-use residential tall buildings in Korea through some cases. The case analyzing was focused on 16 cases which were true to the Tall Buildings definition of Korean Building Act And then the community facilities of 16 cases were analyzed with divided to 3functional area -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leisure facility and the facility for gathering. Facility factors in each functional area were analyz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from the perspective of layout and heigh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ll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was planed as exclusive space in the lower part of tall building. Second, large sporting facilities in case of leisure facility were located at separate building like some commercial facility cases or often planed at higher part of tall building like sky lounge. Third, guest room and multi-purpose room of the facility for gathering were located at midrise or higher part consider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all building or good view.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이 가지는 사례를 통한 다양한 부대복리시설의 특성을 연구하는데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우리나라의 건축법에 의한 초고층 정의에 맞는 16개의 사례의 부대복리시설을 사회복지시설, 여가시설, 집객시설의 3개 시설로 나누어 각 시설 요소를 중심으로 수평적인 배치인 주거시설과 상업시설의 일체 또는 분리로 나누어 조사하며 수직적인 배치인 높이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시설은 모두 저층부에 전용공간으로 계획되어진다. 둘째, 여가시설은 운동시설의 경우 대공간일 경우 상업시설과 같이 사용하며 초고층에 맞는 스카이라운지와 같은 고층부에 위치하는 시설이 생겨난다. 셋째, 집객시설의 게스트룸과 다목적실은 초고층 건축물의 특성이나 조망을 위해 중층부나 고층부에 계획하는 추세가 나타난다.

      • KCI등재

        국내외 초등학교 내 중정공간의 형태와 유형에 관한 비교연구를 통한 특성 분석

        성이용,윤희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quired into the type of lay-out of elementary school included courtyard through research compared with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country. Korea and though the comparison the type of domestic and foreign case. The method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hanges of courtyard concepts and the characters of space orgarnization will be drawn. Second,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the courtyard-typed elementary school will be chosen, and then some planning Data such as architecture scheme, design concepts and drawings will be collected. So the types of courtyard-typed elementary will be drawn. The results through the comparison research the courtyard-typed elementary school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area are as follows. The domestic elementary school was mainly planned as quadrangular-type in view of shape, planned as center three-sided type in view of layout and planned as high-rise section type and complex section type in view of elevation section. But the foreign cases of elementary school have various courtyard type.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교의 교사 배치에 있어서 중정을 포함하고 있는 국외의 중정형 초등학교와의 비교를 통해 중정배치의 형태와 유형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관련문헌조사를 통해 중정의 개념과 변천과정 및 공간구성 특성을 살펴보고, 둘째, 국내, 국외의 조사대상 중정형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이를 토대로 각 건물의 건축개요, 설계개념, 각종 도면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중정이 가지는 유형을 분석 및 연구하고자 한다. 국내, 외 중정형 초등학교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중정의 형태에 따른 분류를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형태는 사각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중정의 배치는 중심부 3면형 50%, 중심형 25%, 나머지 자유 분산형, 건물사이 손가락형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정의 단면에 따른 분류는 고층 단면형과 복합단면형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필로티, 썬큰형이 하나씩 나타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국내의 초등학교는 형태는 사각형, 배치는 중심부 3면형, 단면은 고층 단면형 및 복합 단면형으로 계획 되어지고 있으나 국외 사례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와 교지의 배치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성이용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1

        The playground is the largest area in the elementary school site, so playground has an important effect on lay-out of the elementary school.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 of lay-out in the elementary school through inqui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layground and school buildings. The method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tren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organigation about the elemantary school playground will be examined through related study researches. Second, the domestic cases of the playground-typed elementary school will be chosen, and then some planning Data such as architecture scheme, design concepts and drawings will be collected. So the types of playground-typed elementary will be drawn. Third, the ananlyzed type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 –shape, lay-out and section and then analyzed, 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layground and the school build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ypes will be drawn.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research between the playground and the school building of the domestic elementary school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playgrounds and buildings were divided in analysis cases. Second, the form of playground was mainly planned as the quadrangular shape, playground was located at the ground level in aspects of section. Third, the playgound was mainly planned as south-fore type and east-centered type. To conclude, the playground and school buildings are entirely separated in south-fore type and east-centered type cases. The school buildings enclose the playground like ‘ㄱ’ shape or ‘ㄴ’ shape in weat-fore type and north-rear type cases.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내의 교사와 교지의 상관 관계를 통해 초등학교 배치 유형을 연구하는데 있으며 교지 중 가장 큰 공간인 운동장을 중심으로 하여 운동장의 배치에 있어 교사동의 배치의 유형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관련문헌조사를 통해 현재 연구되고 있는 초등학교 운동장의 연구 추세 및 공간구성 특성을 살펴보고, 둘째, 국내 초등학교 대상으로 각 건물의 건축개요, 설계개념, 각종 도면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내의 운동장이 가지는 유형을 분석 및 연구하고자 한다. 셋째, 분석한 유형을 형태, 배치, 단면에 따른 분류로 나누어 분석하여 국내 초등학교의 교사동과의 상관 관계 및 유형을 밝힌다. 국내 초등학교의 운동장과 교사동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분석 사례는 모두 교지인 운동장과 교사인 건물은 분리되어 계획 되고 있다. 둘째, 운동장의 형태는 주로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단면은 지상이 주로 이루어진다. 셋째, 배치는 남측 전면과 동측 중앙형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운동장과 교사동을 비교하면 남측 전면과 동측 중앙형은 교사동이 완전 분리되어지며 서측전면 및 북측후면은 교사동이 ㄱ 또는 ㄴ형으로 운동장을 감싸고 있는 배치로 분석되어진다.

      • KCI등재

        도시 재생적 관점에서의 역세권 광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도시 재생 뉴딜 사업 구포 이:음 광장 중심으로 -

        성이용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talize urban regeneration of Gupo-dong for the population inflow of diverse classes prepared for the reduction, finally make suggestions for revitalizing Gupo Station Plaza, the central space of Gupo Station.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based on the development plan applied to the basic ideas analyz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theme and detailed elements of the square space is derived from the analysis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spac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focused urban counter-tax square space.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1060-470 members (244,000㎡) of Gupo-dong, Buk-gu, Busan, and time-based scope is the current status are research conducted in the second half of 2019 during the project implementation period from 2018 to 2022.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improvement points of the square into three alternatives are summed up, and review the urban square function and the reverse square function through the green space, experience space and service space. First, it was analyzed that residential conditions for local residents were poor. Second, with the rapid aging rate (10.74 percent) since 2027, the influx of the population in Gupo Station was analyzed to be a very important factor by revitalizing the plaza. Thir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Gupo Station Square itself are media facades, among the functions of the Reverse Square, the functions of the light and green are needed, and the consciousness(event) which is the functions of the urban plaza, was derived as a very important element. 본 연구는 인구의 감소에 대비하여 다양한 계층의 유입을 위한 구포동 도시재생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포의 중심 공간인 구포역 광장 활성화 방안을 제안 하고자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고찰에 기본으로 도출한 기본구상을 대상지에 적용한 개발 계획을 토대로 도시재생 뉴딜사업 중심 시가지형 역세권 광장 공간의 물리적 환경 및 공간 특성과 요소를 분석한 광장 공간의 테마화와 세부 요소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1060-470번지 일원(244,000㎡)이며 시간적 범위로는 현재 2018 ~ 2022년으로 사업 시행기간 중 2019년 하반기에 현황 및 연구로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광장의 개선점을 3개의 대안으로 정리하여 녹지공간, 체험공간, 서비스 공간으로 통하여 도시 광장 기능과 역전 광장 기능을 고찰하였다. 첫째 지역주민 정주여건이 열악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둘째, 2027년 이후 급격한 고령화(10.74%)가 진행 되면서 구포역 일대에 광장 활성화로 인구의 유입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분석 되었다. 셋째, 구포 역세권 광장은 광장 자체가 가지는 물리적인 특징은 미디어 파사드가 있으며 역전광장의 기능 중 경관의 기능으로 조명이나 녹지 등의 공간이 필요하고 도시 광장의 기능인 의식(이벤트)의 기능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도출 되었다.

      • KCI등재

        대전시 은행 1구역 도시 환경정비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비교 연구

        성이용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thod for revitalization of eunhaeng 1 district of the old downtown in Daejon The method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physical settings and human activity at Eunhaeng 1 district in Daejon(which are the target of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for the Urban regeneration in Daejon) compared with the Jan Gehl’s research focused on the urban regeneration of Christ Church area in New Zeal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ehicle traffic volume was appeared a lot and the public transport volume was appeared less in comparison with other district. Second, the amount of the parking is a lot at the parking lot and the bike lane, and the bike lane is not separated with the pedestrian passage. Third, the facilities and open space were appeared of low frequency. Finally, the traffic volumn of the pedestrian passage was appeared of very low frequency, and the old ages use them mainly as compared to other ages. The results of Study is as follows. The preventing vehicles from flowing into the area and the diversity of the space in the area for revitalization. 연구의 목적은 대전광역시 내의 원도심의 은행 1구역을 활성화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현재 원도심 도시재생 관련 활성화의 기존 문헌을 통해서 본 연구의 차별화를 도출하고 얀 겔의 연구 방법을 분석한다. 둘째, 얀 겔의 뉴질랜드 크라이스트 처치의 연구 방법에 사용한 조사 분석 방법을 참조하여 현재 은행 1구역의 현황을 파악한다. 연구 대상지는 인터넷을 이용한 도면분석, 관찰조사, 인터뷰 등을 참고하여 수집하고 분석한다. 셋째, 은행 1구역을 대상으로 보행량, 대중교통 현황, 교통량, 자전거 도로 현황, 주차장 현황, 시설 현황, 오픈 스페이스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차량 통행량은 타 지역과 비교하여 많이 나타나고 대중교통 통행량은 적게 나타난다. 둘째, 주차 및 자전거 도로는 주차의 양이 많고 자전거 도로는 보행로와 구분이 없다. 셋째, 시설과 오픈 스페이스는 매우 적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행 통행량은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아주 적게 나타나며 연령대가 많은 사람들이 주로 사용한다. 분석 결과로 활성화를 위한 구역 내의 자동차 유입 억제와 공간의 다양성이 필요하다.

      • KCI등재

        공유 주택의 평면구성 및 커뮤니티 특성에 관한 연구

        성이용,김내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1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계속적으로 증가 중인 공유 주택을 중심으로 커뮤니티 공간을 분석하여 앞으로 개발 되어질 공유 주택에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지역적인 범위는 공유 주택이 가장 많이 형성되어 있는 서울시로 한정한다. 또한 논의하고자 하는 커뮤니티의 공간적인 범위는 공유 주택 내부로 한정하여 주택 내의 구성원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커뮤니티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공유 주택은 신축보다는 기존의 리모델링을 통해 이루어지며 기존의 커뮤니티 공간을 리모델링하면서 공유주택의 컨셉과 맞게 계획한다. 둘째, 각 커뮤니티 공간은 모두 1층에 두어 자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커뮤니티 공간으로는 카페가 가장 많으며 공부방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젊은 층의 이용도가 높은 프로그램을 배치된다. 최근 여성 전용 공용 주택이 많이 지고 있는 추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develop the community space in the share house through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 the share house. The regional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which is the city the share house is formed most in Korea. In addition,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at the inside of the share house, so we focuse on the community formed among the members in the share house.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In Korea, shared housing is constructed through remodeling existing buildings rather than constructing new ones, and is the community space of existing building is plann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shared housing. Second, each community space is located on the first floor to maximize autonomy. Finally, the café is the most common in community space, and the study room is showing up recently. The program which is mainly used by the young is arranged as a study room. Lately, the number of share house for women only are increasing.

      • KCI등재

        무장애 공간 인증 관련 초등학교 설계안 분석 연구

        성이용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3

        (Background and Purpose) Certification criteria and the installation criteria of convenience facilities in each faci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variety of reference materials for design planning in the future based on a barrier-free space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installation of internal facil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design plan. (Method) First, the concept and types of barrier-free spaces in elementary schools are analyzed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 surveys, and the research trends and analyses of facilities are examined. Second, data such as architectural outlines, design concepts, and various drawings of each building for national elementary schools are collected, and the types of barrier-free spaces in elementary schools are analyzed. Third, the types of and the correlation among barrier-free spaces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are revealed. Fourth, by analyzing elementary school plan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barrier-free spaces is deriv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interior facilities installation in the barrier-free space of current design. (Results) The proposal of the installation space will have to be considered with regard to planning (e.g., an additional install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The proposal to install the horizontal moving space should be complemented with an active safety device by implementing the measures of heterogeneity and dissimilarity on the floor finish. Conversely, dispersal of the vertical movement lines could be considered for the proposal to install vertical movement space in the barrier-free space. (Conclusion) By analyzing the study of the entry space, horizontal movement space, and vertical movement space, and focusing on the interior facility spac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even though the general entrance is well-planned as the entry of the barrier-free space, it needs to be considered in a plan that additionally installs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those with necessary handles. Second, although the corridors suggested as the horizontal movement spaces for barrier-free spaces are well-equipped, active safety devices should be installed due to the detail elements or floor division. Third, although the proposal for a barrier-free vertical movement space is well-planned for the stairs, it is rarely planned for the ramps; therefore, having a plan to add various ramps to move between the floors seems to be necessary. Lastly, in the case of the elevator, it was concluded that there should be an arrange of the elevator in a space where it is divided into two or more rather than installed in one space if the space is divided where the teachers are using. (연구배경 및 목적) 교육시설 중 가장 무장애(BF)인증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가 되는 곳이 초등학교이며 초등학교는 연령이 어린 학생들이 학교에서의 활동에 있어 장애 공간이 아닌 무장애 공간의 사용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 되기 시작하였다. 인증제도 평가지표가 건축물이라는 항목아래 용도 및 시설별 특성에 대한 고려 없이 모든 건축물에 일괄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건축물에 관련 같은 평가 기준 및 배점으로 인하여 인증 기준과 각 용도별 시설 내 편의시설 설치기준 사이에 차이가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장애 공간을 바탕으로 현재 초등학교 설계 계획 안의 내부시설 설치현황을 조사 하여 기초적 자료로 제공하며 향후 무장애 계획에 있어 설계 계획시 다양한 참고 자료로서의 목적을 가진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선행 연구를 조사 하여 초등학교 무장애 공간의 개념 및 유형을 분석하고 연구 추세 및 시설의 분석을 살펴본다. 둘째, 국내 초등학교 대상으로 힉교들의 건축개요, 설계 컨셉, 도면 등의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기본으로 초등학교 의 무장애 공간이 가지는 유형을 분석한다. 셋째, 분석한 유형을 국내 초등학교의 사례를 통해 무장애 공간 상관 관계 및 유형을 밝힌다. 넷째, 분석한 10개의 초등학교 계획안을 분석하여 무장애 공간 종합분석을 도출하여 현상 설계에 있어서 현재 무장애 공간의 내부시설 설치 현황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사례를 선정하기 위한 공간적 범위로는 우리나라 중 경기도에 있는 신축 초등학교의 현상 설계안을 중점으로 하였고, 시간적 범위로는 2016년부터 2018년 상반기 경기도 교육청 발주한 초등학교 사례 10개를 수집하였다. 또한 무장애 공간(barrier free)인증기준에 의거 반영한 공간으로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진입 공간 설치 제안은 편의시설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등의 계획적인 면에서의 고려도 필요하다. 수평이동 공간 설치 제안은 바닥의 마감은 이질, 이색의 조치를 하여 적극적인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한다. 수직이동 공간 설치 제안은 수직동선을 분산하는 것이 무장애 공간에 대한 고려 일 수 있다. (결론) 교사동에 한정하여 내부시설 공간을 중심으로 진입공간, 수평 이동 공간, 수직 이동 공간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무장애 공간의 진입공간 제안은 전체적으로 일반적인 출입구는 잘 계획 되어 있지만 필요한 손잡이 등의 편의시설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계획적인 면에서의 고려가 필요하다. 둘째, 무장애 공간의 수평 이동 공간 제안인 복도는 모두 잘 되어 있으나 디테일 요소나 바닥의 마감에 대한 구분으로 인한 적극적인 안전장치를 설치 하여 한다. 셋째, 무장애 공간의 수직 이동 공간 제안은 계단의 경우 잘 계획되어 있으나 경사로의 경우 거의 계획 되어지지 않아서 층간이동을 위한 다양한 경사로의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승강기의 경우는 교사동의 공간이 나누어지는 경우 한 곳의 공간에 설치가 아닌 두 곳 이상 나누어지는 공간에 대한 승강기의 배치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병영 생활관 시설 분류 개선에 관한 연구

        성이용(Sung, Lee-Yong),이상호(Yi, Sang-H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2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Facility classification for military barracks among military facilities. The military barracks are the place where soldiers spend most of their time. Thus, a new type of space in military barracks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soldiers and make the military more advanced for national defense. The research method was to derive problems through a survey of the previous literature and case studies and to select target places in the Army, Navy, Air Force, and Marine based on the derived problems. An improvement scheme was proposed by developing criteria for military barracks space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acility classification inside of national defense · military facility standard should be reorganized. The alternative plan is demanded for some camp which has no need about setting up the office facility. And the study of reasonable facility area after improvementing facility categorization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