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대학생들의 온라인 수업 인식 요인 및 변화 분석: 의미분별척도법을 활용한 2020~2022년 자료를 중심으로

        성은모,강수미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sights into improving the educational competitiveness of online classes in the post-COVID-19 era by examining shifts i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such co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survey was conducted, employing a semantic differential scale, among 534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online classes from 2020 to 2022. The analysis focused on shifts in student perceptions over this period. In 2020, the overall perception of online class was that it was portable, up-to-date, highly accessible, relaxed, yet also impersonal, tiring, and unfamiliar. In 2021, sentiments around its portability, currency, accessibility, adaptability, usefulness, and significance increased, while feelings of fatigue and unfamiliarity decreased. In 2022, perceptions remained largely similar to 2021, but with stronger feelings of comfort, usefulness, relaxation, and decreased sensitivity. A year-over-year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changes in perception, particularly more positive views in 2021 compared to 2020. For example, perceptions shifted from 'unfamiliar' to 'friendly,' from 'can't have' to 'can have,' and from 'bad' to 'good.' Upon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student perceptions of online classes, the key factors identified were usefulness, accessibility, and sensitivity. A comparison over the years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2021 than in 2020, whereas no annual variations were noted in accessibility and sensitiv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several policy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competitiveness of online class at the university level.

      • 중학교 2학년 청소년의 뉴미디어활용이 인지, 정서, 사회발달에 미치는 영향

        성은모,황경아,이재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Over the past few decades, computers, smartphones, and internet technology have changed the way of work, learn, play, communicate, and lifestyle etc. Especially adolescents are positively using those medium for communicating with friends, searching information, and learning with e-Learning. However, those new medium are a negative influence in adolescents’ lives by using playing games, chatting, watching adult movies. Using the medium have both a positive effect and a negative effect that are associated how much use the one (e.g. time and frequency) and how to use the one (e.g. goal and quality). Accordingly, we ne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using the medium of adolescents to provide the guideline using the medium and to propose the policy issues. The goal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using the medium of adolescents an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using the medium (quantity and quality) of adolescents and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factors. To accomplish this goal, there was analyzed a data of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that surveyed adolescents at the level of national in Korea 2011 and conducted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Participants are 2351 middle school students (aged 15~18) and mean age was 15.89 years (SD=.34). There are male 1153(50.5%) and female 1128(49.5%). As results, male was more using computer and female had more cell-phone(p<.01). Using goal of new medium such as computer and cell-phone as a related with learning, searching information, text with family and friends were associated with female, higher academic level of parents, higher economy status level of parents, and supervision, love/concern, rational explaining as a way of parenting of parents. Adolescent who has more using computer for playing game, chatting, and get higher addiction of cell-phone for playing game, watching movie has lower learning and reading time, lower academic achievement, getting mental instability, lower peer attachment, and maladaptation of school life. In short, using the new medium has influenced negatively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development of adolescent when they use the medium for goal of enjoying entertainment. However, the new mediums are positively influenced when they use the medium for goal of related with learning, or maintaining friendships. Based on those results, there were suggested 6 policies for building environment of using new medium on adolescents as well as for providing opportunity to be learned educational program of right way using new medium for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 학생들의 화학평형 개념에 대한 연구

        성은모,박미애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6 과학교육연구논총 Vol.12 No.1

        대학교 학생들의 수업전과 후의 화학평형개념을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선행개념에 큰 변함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영재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 특성 탐색

        성은모,채유정,이성혜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e as a characteristic of learners who are classified as gifted. Although the studies so far attempted to characterize the giftedness itself, this study tri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learners in the process of their learning rather tha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ness itself in terms of self – directed learning competency.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does learning mean for gifted learners, 2) How does gifted learners perform the general learning process, 3) Gifted learners to remember and understand their knowledge (cognitive, meta-intellectual, emotional, and behavioral learning strategie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n in - depth interview with 1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completed the a Gifted Education Program and analyzed the qualitative data. The analysis used the theme analysis method to derive the topics found in the interview contents and to classify the related contents based on the topic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of the gifted learners are 'Learning value system with a sense of knowing about a interested field', 'self-reflection strategy based on excellent meta-cognition and cognitive control ability', 'learning strategy inquiring origin of knowledge', and 'self- management strategy through behavior and emotional control'. 이 연구는 영재들이 학습을 수행해가는 실제적인 특성으로서의 자기주도학습역량에 대한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영재교육에서의 논의는 영재 그 자체의 특성을 규명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으나, 이 연구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영재 그 자체의 특성보다는 영재들이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자기주도학습역량’의 관점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1) 영재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학습이란 어떤 의미인가, 2) 영재 학습자들이 수행하는 일반적인 학습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3) 영재 학습자들이 학습을 수행하는데 있어 지식을 기억하고 이해하기 위해 어떠한 학습전략(인지적, 메타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학습전략)을 사용하는가 였다. 이를 위해 K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최우수 성적으로 이수한 중, 고등학생 18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인터뷰 내용 상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주제를 도출하고, 그 주제들을 중심으로 관련 있는 내용을 묶어 인터뷰 내용을 분류하는 테마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영재 학습자들이 보이는 자기주도학습역량은 ‘명확한 분야에 대한 앎의 의미를 둔 학습가치 시스템’, ‘탁월한 메타인지와 인지조절 능력 기반의 자기성찰 전략’, ‘지식본질 탐구중심의 학습전략’, 그리고 ‘행동 및 정서 통제를 통한 자기관리 전략’ 등과 같은 4가지 핵심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이에 따른 독특한 전략적 학습특성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자유학기제 청소년 진로 체험활동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 방안

        성은모,정효정 한국진로교육학회 2013 진로교육연구 Vol.26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mmunity’s participating strategies in order to facilitate experience-based youth career education. To address this goal, we had interviewed community members such as school members(principle, teacher, students, student’s parent), workplace provider and supporter, youth experts. As a result, we have found out 3 major strategies for participating community to facilitate experience-based youth career education. First, it is importance to build social consensus that community’s participating is a primary role to success experience-based youth career education. Second, it is importance to liaise workplace for experience-based youth career education. Finally, it is importance to secure sustainable possibility through pre-to-post management of matured experience youth’s activity, providing incentive to workplace supporter, quality assur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youth’s policy and career education system for success experience-based youth career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본격 도입을 앞두고 청소년 진로 체험활동을 통한 진로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역사회 연계 방안 및 추진 전략을 도출하였다. 첫째, 지역사회 참여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일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 진로 체험활동 지원의 가치를 확산시키고 성과 및 성공사례를 제공하는 전략이 도출되었다. 둘째, 청소년 진로체험기관을 발굴․섭외․연결하는 일, 청소년 진로 체험활동의 질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 협의체 구성 및 운영, 학부모들의 인식전환 유도, 지역사회의 자원 발굴 전략, 체험활동 성공사례 및 프로그램을 모형화하여 확산시키는 전략이 도출되었다. 셋째,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성숙된 청소년 진로 체험활동의 사전/사후관리, 인센티브 제공 전략 등이 도출되었다.

      • 대학에서 학습자의 학습민첩성, 자기주도학습, 그리고 스마트미디어활용 역량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분석

        성은모,이성혜 한국교육공학회 2019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9 No.1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핵심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적 노력이 국가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인재의 핵심역량함양을 위해 대학교육차원에서도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성이 속도와 불확실성이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미래인재가 변화하는 지식과 정보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학습하는 학습민첩성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역량은 핵심역량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실제 대학교육의 성과지표 중의 하나인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는지 그 관계 속에서의 속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습민첩성. 자기주도학습역량, 그리고 스마트미디어활용역량이 학업성취도와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연구자료 중 4년제 대학생 623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검증을 통해 변인들의 상호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학습민첩성, 자기주도학습역량, 그리고 스마트미디어 활용역량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습민첩성은 자기주도학습역량과 스마트미디어활용, 그리고 학업성취도와 정적(+)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학습민첩성은 학업성취도와 직접관계에 있어 부적(-)관계에 있었으며, 자기주도학습역량은 스마트미디어활용역량과도 부적(-)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구조적 관계 변인의 특성에 대해서 보다 심층적인 해석과 논의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메탄올과 에탄올의 K+착물에 대한 Ab Initio 연구

        성은모,황호준,Seong, Eun-Mo,Hwang, Ho-Jun 대한화학회 2006 대한화학회지 Vol.50 No.3

        K+(C2H5OH)n, (n=1~5) 착물에 대한 구조와 결합에너지에 대하여 MP2/full gen 6d와 MP2/6-311G**의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n이 증가함에 따라 착물의 형태는 선형, 삼각형, 정사면체, 삼각이중피라밋 형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K+-O의 길이는 용매 분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K+OC도 증가하며 ∠K+OH는 n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을 보였다. 결합에너지는 n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나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폭은 n이 커질수록 감소함을 볼 수 있었고 이는 용매분자간의 상호작용이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 initio calculations of the structure and the binding energies of K+(C2H5OH)n, (n=1~5) complexes were carried out with MP2/ full gen 6d and MP2/ 6-311G** methods. The stable structures of the complexes with n=2 to 5 were linear, trigonal, tetrahedral and trigonal bipyramid respectively. The binding energies of complexes were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ligands, but the incremental binding energies were decreased. These results agreed well with the results of K+ complexes with other solvents.

      • KCI등재

        영재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 요인 및 측정도구의 타당화

        성은모,이성혜 한국영재학회 2020 영재교육연구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의 특성에 대한 요인을 규명하고, 영재학습자 중에서도 최우수 학습성과를 구분 짓는 자기주도학습역량의 결정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영재학습자 학습특성을 관찰가능한 행동특성으로 진술한 자기주도학습역량 문항을 개발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온라인 영재교육과정 평가등급 상위 10%의 최우수 성과자를 구분 짓는 자기주도학습역량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2018년 K 영재교육원의 온라인 영재교육과정을 이수한 중학생 192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영재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 요인은 인지적 학습기술, 다양한 관련정보탐색 학습, 자기학습 스타일 인식, 도전과제 선호, 지적 호기심, 지식연결 유용성 인식, 메타인지 기술, 자기관리, 학습가치, 학습몰입 등 총 10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에 있어 상위 10%에 속하는 최우수 성과자를 구분 짓는 자기주도학습역량의 결정 요인은 ‘인지적 학습기술’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elf-directed gifted learners and determine critical factors that distinguish the best learning outcome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competency questionnaire that stated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gifted learner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as observabl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ried to validate them through factor analysi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that distinguished the top 10% of gifted learners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192 middle school students who completed a K online gifted learning program in 2018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a result, 10 major qualities the students possessed were: 1) high-level cognitive learning skills, 2) learned while exploring a variety of related information, 3) awareness of self-learning styles, 4) preferred challenging tasks, 5)intellectual curiosity, 6) meta-cognitive skills, 7) awareness of knowledge connections, 8) self-management, 9) learning value, and 10) learning flow. Among those factors, cognitive learning skills are identified as critical competencies to distinguish the top 10% of gifted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 안전사고 대응역량 개발 및 진단도구 타당화

        성은모,서동인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4 No.4

        Safety accidents can happen to anyone, anytime, anywhere. Thus, the ability for youths to prevent and respond to safety accidents is becoming an essential competence in their l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concept and indicator or youth safety competency(YSC) and to validate measurement tools for youth safety competency(YSC) as youth safety competency questionnaires(YSCQ). To address those goals, 6 youth activity specialists and 3 competency modeling exper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develop concept and indicator for youth safety competency(YSC)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lso, 401 youth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validate the YSCQ by survey. As results, the 4 competencies and 9 sub-competencies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42 items for YSCQ; Safety knowledge (knowledge for accident situation, procedural knowledge to use of safety tools) was 8 items, safety-oriented value(information gathering for accident factor, risk-sensitive about accident, recognition of importance on safety) was 12 items, psychology control ability(situational optimism, norms compliance) was 10 items, Accident-solving ability(situational judgment, accidents response ability) was 12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e the systematicity of youth safety education such as establishment of strategy and support plan for youth safety education, development of youth safety education model. 안전사고는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기에 청소년들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그들의 삶에 있어 필수적인 역량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안전사고에 대해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무엇인지 그 개념과 지표들을 규명하고, 이를 진단 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역량모델링을 위한 개념과 지표를 도출하고 이에 부합하는 진단 문항을 개발하여 청소년활동 전문가 6명과 역량모델링 전문가 3명에게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이 후 초ㆍ중ㆍ고등학생 401명을 설문 조사하여 청소년 안전사고 대응역량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의 통계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 안전사고 대응역량은 안전사고 대응 지식 역량군 8문항 (안전사고 상황지식, 안전사고 도구 활용 지식), 안전사고 대응가치지향 역량군 12문항 (안전사고 정보 수집력, 안전사고 위험 민감성, 안전 중요성 인식), 안전사고 대응 심리 역량군 10문항 (상황 낙관성, 규범 준수성), 그리고 안전사고 대응 문제해결 역량군 12문항 (상황 판단력, 문제 대응력) 등과 같이 4개의 역량군과 9개의 역량이 도출되었으며, 42개의 청소년 안전사고 대응역량 문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청소년 안전교육에 대한 전략 수립 및 지원방안 마련, 청소년 안전교육 모델 개발 등 청소년 안전교육의 체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