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 of Corni Fructus in Murine RAW 264.7 Macrophage Cells

        성윤희,장현경,김성은,김유미,서진희,신민철,신말순,이재우,신동훈,김홍,김창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12 No.4

        Corni fructus is the fruit of 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 which is classified into the dogwood family of Cornaceae. Corni fructus has antineoplastic, antioxidative, and antidiabetic effects, but its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s are unknown. Here,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s of an aqueous extract of corni fructus using murine RAW 264.7 macrophage cells. For this study, we used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western blot analysis, prostaglandin (PG) E2 immunoassay, and nitric oxide (NO) detection. In addition, the analgesic effect of corni fructus was assessed by the acetic acid-induced writhing response in mice. The aqueous extract of corni fructus suppressed PGE2 synthesis and NO production by inhibiting the lipopolysaccharide-induced expression of cyclooxygenase (COX)-2 and inducible NO synthase (iNOS) in murine RAW 264.7 macrophage cells. The extract also suppressed increases in nuclear factor-κB (NF-κB) levels in the nucleus. In vivo study showed that the extract suppressed the acetic acid-induced writhing response in mice. The aqueous extract of corni fructus exerts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s by suppressing COX-2 and iNOS expression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NF-κB binding activity.

      • KCI등재

        성인 미혼 남성의 사랑 태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차별적 인식과 성역할갈등을 중심으로

        성윤희 한국생애학회 2022 생애학회지 Vol.12 No.3

        Based on Lee’s theory of love,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single adult males’ sexism and gender role conflict predicted their attitudes toward six love styles (Eros, Ludus, Storge, Mania, Pragma, Agape).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Participants were 166 university students( 48 undergraduate and 118 graduate) majoring in science or engineering, aged between 18 and 35 years (M = 24.75, SD = 3.46). To examine the unique predictive abilities of sexism and male gender role conflict, factors like depressive symptoms, age, and current relationship status were conside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xism predicted Pragma.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xism and Pragma was partially mediated by gender role conflict. Male gender role conflict was also a significant predictor for Ludus, Mania, and Pragma. Results were discussed regarding the harmful effects of sexism and male gender role conflict. Lee's 사랑에 관한 이론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성인미혼 남성의 성차별적 인식, 성역할갈등이 사랑에 대한 태도를 예측하는지 탐색하였다.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참가자는 이공계 대학의 166명 학생(학부생=48, 대학원생=118)으로 평균 연령은 24.75세(표준편차=3.46)이고 연령 범위는 18세~35세였다. 성차별적 인식과 성역할갈등이 사랑에 대한 태도에 갖는 고유한 설명력을 평가하기 위해 우울, 나이, 현재 교제상태를 통제변인으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성차별적 인식은 실용적 사랑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차별적 인식과 실용적 사랑의 관계는 성역할갈등에 의해 부분매개되었다. 남성 성역할갈등은 유희적 사랑, 소유적 사랑, 실용적 사랑에 대한 유의한 예측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성차별주의와 성역할갈등의 부정적 영향의 관련성 속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승마 시뮬레이션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체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윤희,김기정,유병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2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rapeutic effects of trunk acticity on hippotherapy simulator for patients with stroke. The patients were divided to control group(n = 9) with conventional rehabilitation 60 min/day and experimental group(n = 9) with hippotherapy simulator 15 min/day after conventional rehabilitation 45 min/day, 5 times/week for 4 weeks. The trunk function and balance of both groups was assessed using trunk control test(TCT), trunk impaired scale, electromyography in trunk muscles (rectus abdominis and erector spinae), and Berg balance test. In the present results, there was a no significant effect in TCT after intervention(P>0.05). While, dynamic sitting balance in TI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control after intervention (P<0.05). Moreover, hippotherapy simulator has influence on trunk muscles after intervention(P<0.05).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erg balance test after intervention(P<0.05). These finding suggests that hippotherapy simulator may have beneficial effect for stroke patients by improving trunk function and balance.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승마 시뮬레이션 훈련이 체간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18명의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여 60분 동안 일반 운동치료를 받는 대조군과 일반 운동 치료 45분 후 승마 시뮬레이터 15분 훈련 받는 실험군으로 나누어 일주일에 5번씩 4주동안 실시하였고 치료 중재 전, 후 체간 상태를 비교하기 위해 체간 조절 검사, 체간 장애 척도, 버그 균형 검사, 체간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체간 조절 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체간 장애 척도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간 장애 척도 중 동적 앉은 자세 균형 항목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체간 근육과 버그 균형 척도 역시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승마 시뮬레이션 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체간 근육과 기능에 영향을 끼쳐 균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승마 시뮬레이션 훈련도 치료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남성 성역할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 양성평등적 가정환경, 아버지 특성, 여성과의 접촉

        성윤희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41 No.2

        성역할 갈등이 남성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는 지난 40여 년간 광범위하게 이루어진 데 반해, 성역할 갈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양성평등적 가정환경(부모의 가사분담 정도, 경제적 의사결정권 배분정도), 아버지의 특성(성취강요성, 폭력성, 정서단절성, 무관심성, 멘토성), 여성과의 접촉(여자형제 유무, 중고등학교 시절 이성친구 비율)이 남성 성역할 갈등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상북도 소재 대학의 남자 학부생 및 대학원생 171명이었다. 상관분석결과, 어머니의 경제적 의사결정권와 여자형제 유무는 성역할 갈등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인 및 독립변인들이 성역할 갈등 전체 변량의 1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독립변인 중에서는 아버지의 폭력성과 무관심성만이 성역할 갈등에 대한 유의한 예측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인공지능(AI)과 사회복지법제에 대한 소고

        성윤희 사회복지법제학회 2022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3 No.2

        4차 산업혁명의 대표 키워드인 인공지능, 딥러닝, 빅데이터, ICT 등을 요소로 이루어지는 초지능·초연결 사회로의 이행은 대외적으로는 국가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고 대내적으로는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줄 것으로 전망된다. 이중 인공지능은 시대를 대표하는 주요 키워드로 4차 산업혁명의 요체이며 지식기반사회의 핵심 화두이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변혁하에서 인공지능의 의미와 주요 이슈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공지능으로 인한 변화가 사회복지영역에 미치는 의미와 바람직한 사회복지법제의 방향에 대해 일별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식기반사회에서 핵심은 데이터이고 사회복지법이 희구하는 각종 권리의 보장 및 강화를 위해서는 복지지식 또는 복지데이터의 관리가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된다. 이를 위하여 세계사적 변화에 걸맞는 새로운 복지 아젠다를 구축하고 범국가적 차원에서 융복합복지지식 기반의 복지국가, 복지 강국을 강화해야한다. 초연결 ICT 인프라 등을 기반으로 융복합지식의 초지능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선결과제로 첫째, 복지지식의 자원화 및 종합적인 데이터 관리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 둘째, 데이터 사이언스 내지 데이터 과학을 활용한다. 셋째, 선순환적 복지 생태계 조성을 위하여 융복합 컨버전스 환경을 지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융복합지식복지 기반 바람직한 복지 거버넌스 구축을 위하여 다각적인 규범화 노력이 필요하며 사회복지법제는 융복합지식복지법제를 지향해가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