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기미집행공원 개발에 따른 도시 식생 탄소 흡수량에 미치는 영향 및 경제적 가치 평가

        성웅기,최재연,유재진,김동우,손승우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0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sunset law in 2020, concerns have been raised over the reckless development of long-term non-executed urban parks. In this study, the FSDAF method and CASA-NPP model were used to evaluate the annual average NPP of long-term non-executed urban parks in Seoul. Based on this, the carbon loss and economic value were assessed under five development scenarios. The total NPP value of long-term non-executed urban parks, except for the greenbelt area in Seoul, was 4,892.18 t C. In the first scenario, the NPP and cost were 4,892.18 t C of vegetation carbon and 1.18 billion won, 2,548.55 t C of vegetation carbon and 615 million won in the second scenario, 238.94 t C of vegetation carbon and 58 million won in the third scenario, 848.38 t C of vegetation carbon and 205 million won in the fourth scenario, and 1,596.00 t C of vegetation carbon and 385 million won in the fifth scenario.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for evaluating vegetation carbon and economic value loss according to five different development scenario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preparation of measures to minimize the impact of the development of long-term non-executed urban parks. 2020년 일몰제가 시행되면서 장기미집행공원 개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미집행공원이 개발됨에 따라 소실되는 탄소량과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여 장기미집행공원 개발에 따른 영향 최소화 방안 도출에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FSDAF 시공간 영상융합기법과 CASA-NPP 모형을 활용하여 서울시 내 장기미집행공원의 연평균 NPP를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5개의 개발 시나리오에 따라 소실되는 탄소량과 경제적 손실을 평가하였다. 서울시 내 개발제한구역을 제외한 장기미집행공원의 총 NPP 값은 4,892.18 t C로 나타났으며, 개발 시나리오 1에서는 4,892.18 t C, 개발 시나리오 2에서는 2,548.55 t C, 개발 시나리오 3에서는 238.94 t C, 개발 시나리오 4에서는 848.38 t C, 개발되는 시나리오 5에서는 1,596.00 t C의 탄소가 소실될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5개의 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탄소의 사회적 비용을 계산하면 약 11억 8천만원, 6억 1천만원, 5천 8백만원, 2억 5백만원, 3억 8천 5백만원이며 개발로 인해 해당금액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5개의 개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장기미집행공원의 탄소 손실량과 경제적 손실을 평가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일몰제 이후 개발가능성이 높은 장기미집행공원 내 산림생태기능에 대한 영향 최소화 방안 마련, 개발 대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시공간 위성영상 융합기법을 활용한 도시 산림 임연부 인접 토지피복 유형별 식생 활력도 차이 분석

        성웅기 ( Woong Gi Sung ),이동근 ( Dong Kun Lee ),김예화 ( Yihua Jin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8 환경영향평가 Vol.27 No.3

        도시화와 인간의 영향으로 도심 내 산림 임연부가 증가함에 따라 도시 산림 관리 측면에서 도시 산림 임연부의 현황 파악과 모니터링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 산림 임연부의 현황파악을 위해 시간적 예측, 공간적 예측에서 정확도가 높은 FSDAF(Flexible Spatio-temporal DAta Fusion) 융합 영상 기법을 활용하여 도출한 NDVImax 영상을 사용하여 인접한 토지피복 유형에 따른 도시 산림 임연부의 식생 활력도 차이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시 내 도시 산림 임연부를 대상으로 분석해 본 결과, 산림 내부로 갈수록 식생활력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임연부에 인접한 4가지 토지피복 유형 중 도로가 산림 임연부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로로부터 산림 임연부의 30m까지 그 영향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90m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 산림 모니터링 및 도시 산림 임연부 관리 측면에서 토지 피복 유형과 토지피복 변화가 인접한 산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and assessing the status of urban forests in the aspect of urban forest management is emerging as urban forest edges increase due to urbanization and human imp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vegetation condition of urban forest edge that is affected by different land cover types using NDVImax images derived from FSDAF (Flexible Spatio-temporal DAta Fusion). Among 4 land cover types, roads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forest edge, especially up to 30m, and it was found to affect up to 90m in Seoul urban forest. It was also found that NDVImax increased with distance away from the forest ed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assessing the effects of land cover types and land cover change on forest edges in terms of urban forest monitoring and urban forest management.

      • KCI등재

        드론을 이용한 토지이용별 미세먼지 농도 측정 가능성 모색 연구

        손승우(Seung-Woo Son),유재진(Jae-Jin Yu),김동우(Dong-Woo Kim),김태현(Tae-Hyun Kim),성웅기(Woong-Gi Sung),윤정호(Jeong-Ho Y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데이터 수집이 용이한 드론에 미세먼지 측정 센서를 부착하여 3가지 측정환경인 건설현장, 자연환경(수목원), 주거지역에서 고도(30m, 60m, 90m, 120m, 150m)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건설현장 30m 지점의 PM2.5와 PM10 측정값은 각각 18.63㎍/㎥, 24.23㎍/㎥, 150m 지점의 PM2.5와 PM10 측정값은 각각 10.89㎍/㎥, 10.61㎍/㎥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평균 농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환경(수목원) 30m 지점의 PM2.5와 PM10 측정값은 각각 9.03㎍/㎥, 11.21㎍/㎥, 150m 지점의 PM2.5와 PM10 측정값은 각각 3.42㎍/㎥, 3.57㎍/㎥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평균 농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든 지점의 PM2.5와 PM10 측정값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지역 30m 지점의 PM2.5와 PM10 측정결과는 각각 10.65㎍/㎥, 12.06㎍/㎥, 150m 지점의 PM2.5와 PM10의 측정값은 각각 4.24㎍/㎥, 5.17㎍/㎥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체적으로 PM2.5와 PM10 농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주거지역의 경우 건설현장이나 수목원에 비해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 인접해 있어 PM2.5의 농도가 PM10의 농도보다 높게 나온 것으로 사료된다. 세 대상지 모두 고도가 상승할수록 PM2.5와 PM10의 농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건설현장, 주거지역, 자연환경(수목원) 순으로 PM2.5와 PM10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토지이용별로 미세먼지 농도값을 고도별로 측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지역계획이나 도시계획 등에서 중요한 공간의사결정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measured the Particulate Matter (PM) concentration according to altitude (30 m, 60m, 90 m, 120 m, and 150 m) in three different environments: a construction site, natural environment (arboretum), and residential area. PM2.5 and PM10 values at 30 m above the construction site were 18.63 μg/m³ and 24.23 μg/m³ while values at 150 m were 10.89 μg/m³ and 10.61 μg/m³, respectively, indicating the average concentration decreased as altitude increased. PM<sub>2.5</sub> and PM<sub>10</sub> values at 30 m above the natural environment were 9.03 μg/m³ and 11.21 μg/m³ while those at 150 m were 3.42 μg/m³ and 3.57 μg/m³, respectively, showing lower average concentrations as altitude increased. PM2.5 and PM10 values at 30 m above the residential area were 10.65 μg/m³ and 12.06 μg/m³ while those at 150 m were 4.24 μg/m³ and 5.17 μg/m³, also demonstrating lower PM concentrations as altitude increased. The PM concentrations decreased as altitude increased at all tested sites and also decreased between environments in the following order: construction site, residential area, and natur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because PM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at various altitudes at different land-use site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decision-making in both regional and urban pla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