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ize Control of LaNbON2 Particles for Enhanced Photocatalytic Water Oxidation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서정숙 대한화학회 2021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42 No.4

        Perovskite-type LaNbON2 has the longest wavelength onset of visible light absorption—up to approximately 740 nm—among (oxy)nitrides based on transition metals Ti, Ta, and Nb. Water oxidation using visible-light-responsive LaNbON2 is challenging because the synthesis of the oxynitride has rarely been studied. Herein, we report the synthesis of small LaNbON2 particles and their size effect on photocatalytic water oxidation under visible light illumination. The small scheelite-type LaNbO4, prepared by a polymerized complex method, was transformed into less-defective LaNbON2 during nitridation as compared with that nitrided from LaNbO4 via a solid-state reaction method. The small LaNbON2 particles, capable of absorbing intense visible light 700 nm above, improved the O2 evolution during 5 h of water oxidation under 300 W Xe light irradiation (λ > 420 nm). This enhancement was attributed to the size reduction of LaNbON2 particles, leading to increased surface area and encouragement of mild nitridation.

      • KCI등재

        형상이 다른 메주로 제조한 재래식 간장 중의 유기산과 지방산 조성

        서정숙,이택수 한국식품영양학회 1995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8 No.3

        재래식 벽돌형 메주(A구), 국균의 벽돌형 메주(B구) 및 콩알형 메주(C구)로 담금한 간장의 유기산과 지방산 조성은 다음과 같다. 시험 간장에서 citric acid (5.50∼60.60㎎/100㎖), lactic acid (22.50∼532.50), acetic acid (7.50∼235.0), malonic acid(nd∼70.0), butyric acid(nd∼220.0), oxalic acid(1.83∼47.50), propionic acid(nd∼45.0)가 동정되었으며 lactic acid는 가장 많은 양으로 나타났다. Lactic acid는 담금 직후와 180일의 B구에서, acetic acid는 담금 직후와 120일에 C구, 180일에는 B구에서 높았다. Citric acid는 담금 직후에 C구에서, 이후는 B구에서 높았으며, butyric acid는 120일까지 A구가 높았다. 180일 숙성간장에서 myristic,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linolenic, arachidonic acid가 분리되었다. 조성비율은 B구와 C구에서 oleic acid가 32.59∼53.79%로 높았고, A구에서 stearic acid가 49.7%로 높았다. Linolenic acid와 arachidonic acid는 C구에서만 분리되었다. Three kinds of soy sauce were prepared using the brick type of conventional meju(A), the brick type of meju of Aspergillus oryzae (B) and the grain type of meju Aspergillus oryzae (C). Organic acid and fatty acid were analyzed in accordance to aging time of those products. Citric acid, lactic acid, acetic acid, malonic acid, butyric acid, oxalic acid, and propionic acid were detected in all kinds of soy sauce. The content of lactic acid was shown higher than those of any other organic acids. The content of lactic acid was much higher at beginning of preparation and at 180 days in soy sauce B than any other conditions. The content of acetic acid was much higher at beginning of preparation, at 120 days in soy sauce C and at 180 days in soy sauce B than any other conditions. The content of citric acid was highest at beginning preparation in soy sauce C, and that was highest in soy sauce B except beginning preparation to 120 days. Myristic, palmitic, stearic, oleic, linoliic, linolenic, arachidonic acid were detected in all kinds of soy sauc-e after 180 days. The content of oleic acid were shown 32.59∼53.79% in soy sauce B and in soy sauce C. The content of stearic acid was shown 49.7% in soy sauce A. Linolinec acid and arachidonic acid were detected in only soy sauce C.

      • 제3차 APT PP-06 준비회의

        서정숙,신수경,Seo, Jeong-Suk,Sin, Su-Gyeong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6 TTA저널 Vol.106 No.-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전권위원회(PP: Plenipotentiary Conference)는 매 4년마다 개최되는 ITU 최고 의사결정 회의로 ITU의 헌장ㆍ협약 개정, 향후 4년간 전략 및 재정계획 수립, 이사국 및 선출직 간부 선거 등이 이루어진다. 금년 11월 개최되는 제17차 ITU 전권위원회를 위해 APT는 2회의 준비회의를 개최한 바 있으며, 이번 3차 회의를 통해 전권위원회에 제출할 아·태 지역 공동 기고서가 마련되었다.

      • SCOPUSKCI등재

        에탄올의 섭취수준과 금주 후 회복이 흰쥐의 비타님 A 및 E 함량에 미치는 영향

        서정숙,배민정,김정미,배복선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6

        본 연구는 에탄올의 급여수준과 금주 후 회복이 체내항산화비타민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평균 체중이 200g인 Dprague-dawley 종 숫쥐 50마리를 사용하여 혈장 및 간조직의 비타민 A 및 E 의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실험식이라는 에탄올 액체식이형태로 만들어 공급하였으며, 이때 식이는 mL당 1 kacal의 열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조제하였다. 각 실험군의 식이구성은 에탄올을 첨가하는 대신 dextrin-maltose를 급여한 C군, 전체 칼로리의 10%를 에탄올로 첨가하는 LE 군 , 20%를 첨가하는 ME 군, 30%를 첨가하는 HE군 , 30%의 에탄올을 5주간 공급한 후 다시 2주간 정상식이를 급여한 회복군(HR)으로 설정하여 실험식이를 공급하였다. 혈자에서의 retinol 함량은 에탄올 급여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간조직 중의 retinol 함량은 20% 이상의 에탄올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30% 에탄올군인 HE 군에서는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30% 에탄올 급여후 2주간 정상식이를 회복시킨 군에서도 간조직의 retinol의 함량은 그대로 저하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간조직의 retinyl palmitate 함량은 에탄올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30% 에탄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회복군의 경우에도 이러한 저하현상은 더욱 심화되었다. 혈장의 $\alpha$-tocopherol 함량은 에탄올 급여량에 따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간조직에서 10% 에탄올군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에탄올 급여수준이 증가될수록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그러나 회복군에서는 $\alpha$-tocopherol의 함량이 10% 에탄올군의 수준까지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만성적인 에탄올의 섭취는 대체로 열량의 20% 이상을 에탄올로 급여하였을대 섭취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흰쥐의 간조직에서 비타민 A와 $\alpha$-tocopherol으 lgkafid이 저하되었다. 이는 에탄올의 섭취를 중단하고 정상식이를 일정기간 급여하여도 특히 비타민 A 함량은 회복되지 않는 경향을 보여 만성적인 에탄올 섭취자들에게 비타민 A영양상태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 KCI등재

        담관-십이지장-대장루 1예

        서정숙,양성연,김재환,권수경,최상분,조수경,한양천,이은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7 Clinical Endoscopy Vol.34 No.5

        Biliary-enteric fistula is a rare disease, and the common causes of biliary-enteric fistula are gallstone, peptic ulcer, malignancy and trauma. It is known that the most common type of biliary-enteric fistula is the cholecysto- duodenal fistula, yet the combination of choledocho- duodeno-colonic fistula is a rare finding. A 78-year-old woman was admitted because she had suffered with right upper quadrant pain, a febrile sense and chills for 2 days. We confirmed the choledocho-duodeno-colonic fistula by performing gastroduodenoscopy, abdominal CT and an upper GI series. So, we report here on an usual case of choledocho-duodeno-colonic fistula, along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s.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4:278-281) 담도 누공은 담도 주위 장기와의 비정상적인 통로가 형성되는 질환이다. 증상이 경미하거나 특징적이지 않아 진단이 어렵거나 늦어질 수 있다. 담도 누공은 대개 담낭 십이지장 누공의 형태로 나타나며 담관-십이지장-대장 누공은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우상복부 동통과 발열을 주소로 내원한 78세 여자 환자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에서 발견된 비정상적인 개구부 소견으로 복부 초음파, 상부 위장관 조영술, 대장 내시경검사를 시행한 결과 담관과 십이지장 및 대장사이에 누공을 확인하여 담관-십이지장-대장루로 진단되었던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