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막스 베버의 사회학과 비인간들

        서이종(Suh, Yi-Jo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11 사회와 이론 Vol.19 No.-

        본 논문은 현대사회학에 중요한 고전사회학자인 막스 베버의 사회학에서 오늘날 이론적 쟁점이 되고 있는 비인간(행위체)들을 어떻게 자리매김 하고 있는지를 밝히고 그 이론적 함의를 추적한 글이다. 2절에서 비인간의 문제 의식에서 비판적으로 주장되는 인간중심주의와 자연과학과 문화과학의 이분법을 서술하고, 3절에서는 베버의 주관적인 의미 이해의 강조가 어떻게 비인간 행위체를 논외로 만드는지 그리고 4절에서는 그의 자연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경계와 문화학적 방법으로의 경도가 비인간 행위체를 어떻게 간과하게 하고 인간과 비인간의 상호작용을 무시하게 하는지를 밝히고 5절에서는 그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인간과 비인간의 상호작용으로서 사회현실을 설명할 때 기여할 수 있는 베버 사회학의 함의를 추론한다. This paper is aimed to explor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non-humans in sociological theory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Max Weber’s sociolog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current identity of sociology. Based on a review of non-human-based critical arguments about Max Weber’s Sociology in chapter 2, I examine how his focus on subjective meaning, his criticism on natural scientific methodology and his devotion to cultural science led to passing over the role of non-humans and ignoring the relation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in his theory in chapter 3 and 4. In chapter 5 I find out theoretical implications of Weber’s sociology in explaining the relation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despite the near or complete absence of theoretical position of non-humans in his sociology.

      • KCI등재

        환경 문제의 '과학기술과 사회'적 형성과정 - 수돗물 바이러스 논쟁을 중심으로

        서이종(YI-Jong SUH) 한국환경사회학회 2001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 No.-

        본 논문은 수돗물 바이러스라는 사례를 통해 환경 문제가 어떻게 '과학과 사회' 논쟁을 통해 형성되는지를 다룬다. 소위 ‘먹는 물'이 수질규정과 관리체계를 통해 사회적으로 형성되듯이, 수돗물 바이러스라는 사회적 산물은 K교수의 실험실에서 이루어진 과학적 실험에서 시작하여, 미생물학회에서의 발표 및 언론의 공표 등 사회적 공론화과정, 그리고 과학적 결과에 대한 논쟁과 환경시민단체의 개입을 통해 형성되었다. 특히 문제제기가 환경과 공해연구회를 이끌고 있는 K교수가 적극적으로 환경 문제의 차원에서 실험이 이루어졌고 학술적 발표를 넘어 적극적으로 언론에 공론화하였다는 점, 그것 때문에 환경부와 서울시에서는 산하연구소를 통해 적극적으로 반박하고 국제적 표준에 의한 반대연구를 추진하여 대응하였다는 점, 또한 미생물학회에서 서로 대립되는 연구결과를 심사하여 그 결과를 발표하였으나 전혀 인정되지 않았다는 점 등이 특정이다. 그 결과, K 교수의 고소와 취하 환경운동단체의 개입, 그리고 공동연구안으로 이어지면서 아직 논쟁이 진행중인 환경 문제이다.<br/> <br/> <br/> <br/> <br/> This paper analyzes the role of scientific and social controversies in the making of water virus as an environmental problem The processes that contributed to the rise of water virus as an environmental concern Involved the following. a public release of findings from the laboratory of an environmentally-conscious professor, followed by heated debates between him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 Korean Association of Mocroorganism also Jumped into the fray by conducting experiments to appraise the findings of both the professor and the government. This water virus problem shows how scientific and social controversies can easily contribute to the rise of new environmental problems In Korea.<br/>

      • KCI등재

        고령사회와 죽음교육의 사회학

        서이종(Suh, Yi-Jo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16 사회와 이론 Vol.28 No.-

        본 논문은 고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우리나라 죽음교육의 현황을 리뷰하고 사회학적 관점에서 그동안의 죽음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초고령사회로 나아가는 우리 사회의 향후 과제를 도출하는 논문이다. 우리 사회에서 죽음교육은 2001년 각당복지재단을 시발로 여러 기관으로 확산되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커리큘럼 분석을 통해 보면 인문학적 죽음교양교육이 주로 시행되고 있으며 여기에 상담과 돌봄교육이 보완적으로 이루어질 뿐 죽음의 절차와 의사결정에 대한 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문주의적 죽음교육을 네 가지 주제로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첫째, 인문주의적 생사학은 죽음교육의 기초로서 죽음교양교육의 주요한 내용을 이루지만 자연스런 죽음을 전제하고 주로 이루어지는 병원에서의 죽음 등 현실적인 죽음현장과 괴리되고, 사후세계를 결합하는 것은 죽음의 영적 성숙을 간과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둘째, 죽음과 죽어감은 개인적 현상이지만, 동시에 사회적 죽음과의 관련성으로확장하지 않으면 개인적 각성을 넘어 사회적 연대로 확산되지 않는다. 셋째, 죽음과 죽어가는 과정의 법제도적 절차와 의사결정 교육을 간과하여 죽음을 당면할 고령층에게 실질적인 죽음준비교육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넷째, 피교육자의 사회적 맥락에 대한 고려없는 인문주의적 죽음교육은 고령층의 죽음경험 등을 포함한 생애사와 세대문화를 고려하지 않아 실질적인 교육효과를 극대화 할 수 없다. 향후과제로는 죽음교양교육, 죽음절차 및 결정과정에 대한 교육, 상담과 돌봄교육의 균형적인 커리큘럼을 지향하며 피교육자인 고령층의 생애사와 세대문화를 고려하여 전문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is oriented to critically reviewing the situation of death education focusing on aged groups in Korea and to draw out its future task for our aged society. Death Education in Korea began at Gadang Welfare Foundation in 2001 and was expanded into various institutions. But curriculum analyses reveal the fact that it focuses on humanistic general education with some counseling and care education and with little education of death process and decision-making. Therefore, these humanistic general education approaches to death are critically reviewed according to 5 issues: First, these educational approaches assumed natural death, but that"s different from the real situation of most deaths occurring in hospitals. Additionally it included too much attention to religious meaning of after-world, so that there is little chance for spiritual maturity of the educated in real meaning. Second, death and dying are assumed as individual phenomena, so that this education is oriented to individual enlightenment, never to social policies of more social solidarity. Third, these educational approaches have little focus on legal and institutional process of dying and decision making around dying. Fourth, these educational approaches are made at the abstract level, not context-dependent on a basis of life-cycle, so that they have little educational effect on the life of the educated except temporary enlightenment. Therefore, we argue that death education in Korea should have more balanced curriculum with humanistic general education, education about social process and decision-making of dying, and counseling & care education.

      • KCI등재

        미국 터스키기 매독연구의 생명윤리 논란과 그 영향

        서이종 ( Yi Jong Suh ) 한국사회사학회 2009 사회와 역사 Vol.0 No.83

        본 논문은 생명윤리발전사의 기초가 된 미국 터스키기 매독연구를 생명윤리적 논쟁 사례로 연구하며 특히 윤리적 검토와 더불어 과학 검토가 중요해지고 있는 생명윤리심의현장의 문제의식에 따라 그 윤리적 쟁점과 과학적 쟁점을 연결시켜 통합적으로 고찰한다. 그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2장에서는 시범사업의 후속으로 터스키기 매독연구가 시작된 과정, 부검을 포함한 확대과정, 그리고 공론화과정을 살펴보고 3장에서는 윤리적 쟁점으로 숙지된 자발적 동의(informed and voluntary consent) 결여 문제, 치료기회를 제공하지 않고 차단하였던 문제, 사망시까지 연구대상으로 취급한 문제를 살펴보고 4장에서는 과학적 쟁점으로 바세르만 검사법과 표본집단 선정 문제, 흑인남성의 인종적 연구설계 문제, 치료거부의 과학적 이유 문제를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이러한 논란의 영향으로 벨몬트 레포트를 포함한 생명윤리의 발전과정에 미친 영향과 흑인 등 소수자들의 낮은 연구참여율 문제를 다루었다. This paper is to study bioethics-related controversies of Tuskegee Syphilis Study (TSS) on the basis of a integrative consideration of ethical issues and scientific issues. After a brief consideration of the process of initiating and extending TSS in section 2, section 3 dealt with ethical issues such as problem of informed and voluntary consent, problem of blocking the chance of treatment, and problem of being considered as research subjects until death, while section 4 dealt with scientific issues such as problem of Wassermann test method and its relevance, problem of ethnic difference-related research design, and problem of no treatment on the basis of by-effects. Finally we consider the influence of TSS on development of research ethics including Belmont Report, and on under-participation of the Black in Health and medical research.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재현적 개인정보 누적성과 개인정보보호 정책적 함의

        서이종(Yi-Jong Suh),김수종(Soojong Kim) 한국정보사회학회 2015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6 No.1

        본 논문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환경에서 새로이 등장한 개인정보 유형으로서 재현 가능한 개인정보의 누적 현상을 밝히고, 관련 개인정보와 정책을 분석하며 현재 개인정보 보호정책의 문제점을 밝힌다. 제2장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등장 이전과 이후의 개인정보를 구별적 개인정보와 ‘재현적 개인정보’라는 개념을 통해서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애플리케이션에서 개인정보가 어떻게 지속적으로 습득 및 누적되고 활용되는지를 사용자의 선택성 측면에서 살펴본다. 제4장에서는 현재 스마트폰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으로서 구글과 애플사 등 애플리케이션 장터 운영자들의 약관 및 정책과, 개별 애플리케이션들의 약관 및 정책 현황을 살펴보고 새로운 재현적 개인정보의 출현과 관련된 문제점을 고찰한다. 장터 운영자들은 운영체계의 안전성을 제외하고는 비 개입 정책을 취하고 있으며, 그 결과 대부분 애플리케이션들의 개인정보보호 관련 약관이나 정책이 없거나 제공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기술발달에 따른 개인정보의 오남용을 막는 정책으로서는 먼저 애플리케이션 사업자와 장터 사업자의 적절한 개인정보 보호 정책이 필요하며 둘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새로운 재현적 개인정보의 누적 현상에 걸맞는 새로운 개인정보 보호 정책이 필요하다. This paper investigates private personal information in mobile applications running on smart phones and reveals a characteristic and implication of continuous accumulations of ‘representable personal information’ as a newly appearing personal information type in mobile application environment. On this problematique we categorize conceptually personal information types before and after the appearance of mobile application in chapter 2. In chapter 3 we find out how applications continue to gather personal information from users and accumulate it continuously with various processing. This continuous accumulation of representable personal informations bases basically on non-disclosure & exemption privilege situation of service terms and policies of each applications and its market providers such as Google and Apple, which we analyse critically in chapter 4. In the conclusion we offer a need of new policies of privacy protection relevant to the continuous accumulation of representable personal informations through mobile application services.

      • KCI등재

        일본제국군의 세균전 과정에서 731부대의 농안,신징 지역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의 역사적 의의

        서이종 ( Yi-jong Suh ) 한국사회사학회 2014 사회와 역사 Vol.0 No.103

        본 논문은 일본제국군 731부대가 특수시설에서 세균무기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생체실험을 실시하고 이어 중국대륙에서 실제 세균전을 실시하기에 앞서이루어진 1940년 농안과 신징 지역에서의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의 역사적 존재와 그 의의를 탐구한다. 지금까지 농안과 신징 지역의 대규모 페스트 발발에 대하여 731부대의 음모론이 제기되었으나 관련 증거의 부족으로 대체로 자연발생적이라는 주장이 지속되었다. 제2장에서 1940년 농안과 신징 지역의 페스트 발발은 731부대의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에 의한 것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2011년 새로 발견된 가네코 준이치의 논문을 통해서 주장하고 이전에 발견된 역사적 증거들과의 상응관계를 통해서 이를 입증하였다. 제3장에서는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이 실시된 배경으로 1930년대 세균전 가능성에 대한 국제적 논란 속에서 세균전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세균무기의 효과성뿐만 아니라 적절한 백신 개발 등 방어력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당시 세균전문가들의 주장을 소개하고, 일본제국군 제731부대의 세균전 준비과정과 세균무기 개발 그리고 사균 및 생균백신의 개발과정을 소개하였다. 제4장에서는 실제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의 실제 전개과정을 다룬 장으로 1940년 6월 중국인 밀집지역인 농안과 일본인이 많이 거주하는 신징 지역을 선정하여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을 실시하고 농안은 집단 격리하여 사망자의 해부 등을 통해서 페스트균의 효과성을 철저히 검증하였으며 일본인이 많이 거주하는 신징에서는 개발된 백신을 사용하여 대규모 방어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생균백신은 어떠한 인체실험도 없이 바로 대규모 현장실험에 사용되었다. 제5장 결론에서는 농안과 신징 지역 대규모 현장세균실험의 3가지 함의를 정리하고 이후 실시된 세균전 과정에서 어떤 결과를 초래하였는지를 소개하였다. This paper is to explore a historical existence and a historical meaning of the massive field bacteriological experiment in Nangan and Shinjing area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bacteriological warfare by Japanese Imperial army unit 731. Chapter 2 dealt with a historical existence of massive field bateriological experiment in Nongan and Shinjing area through newly found-out papers of Ganeko Junichi as a pivotal figure in unit 731. Chapter 3 dealt with the background of implementing massive field bacteriological experiment. Among western bacteriological experts there were common opinions of impossibility of bacteriological warfare mainly because of no effective vaccine for protecting themself against bacteriological weapons. Therefore in an entire development of biological warfare by Japanese Imperial army a massive field experiment was needed before bio-war for convincing the effectiveness of usable bio-weapons and the controlling power from it. Chapter 4 dealt with real process of implementing the massive field experiment in Nongan and Shinjing area. Nongan area was selected as a place for testing its effectiveness because it was a representative residential community of Chinese peoples with historically high possibilities of occurring peste diseases, while Shinjing as a representative residential place of Japanese peoples near Nongan was selected as a place for testing controlling power from it. After dispersing 5 g of peste germ in Nongan at June, 1940 and a massive occurrence of peste diseases, Nongan area was controlled and systematically investigated by unit 731, while Shinjing was protected with a massive scale of vaccines not only of dead germs but also of live germs, which was massively used into human experimentation without small scale of human experiment. In chapter 5 the historical meaning of massive field bacteriological experiment is concluded in a consideration on its meaning in followed bacteriological warfare in continental China.

      • KCI등재

        The Growing Influence of Private Expressions and Public Responsibility in Advanced Information Society

        YI-JONG SUH(서이종),YOUNGJIN KIM(김영진)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5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4 No.1

        By examining the Minerva case from 2008-10 this paper deals with the issues surrounding freedom of expression that arise from the increased influence of private expressions on public bulletin board systems in the context of a technically and socially developed Internet. In section 2 we review the legal context of the Internet bulletin board system, especially public Internet bulletin board systems, and introduce the Minerva case in the social context of the year 2008-9 in section 3. In section 4 we discuss the legal process of the Minerva case at courts, and present a socio-legal consider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in section 5. We conclude by arguing for the necessity of rebalancing freedom of expression and public interest, and properly specifying the meaning of public interest in the social public in a democratic Internet society.

      • KCI등재후보

        중국의 2000년대 온라인 집단행동 사건의 특징

        서이종(Yi-Jong Suh) 한국정보사회학회 2014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5 No.3

        중국 인터넷 인구가 2005년 1억을 넘어서면서 온라인 집단행동 사건은 사회적 이해관계 사건, 식품안전 사건, 민족주의적 사건 등으로 급속하게 증가하였으며 그에 따라 중국 학계는 2006년부터 집단행동에 대한 매체의 보도를 중심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였고, 2008년부터 온라인 집단행동 자체에 대한 사례연구로 나아가고 있다. 2000년대 온라인 집단행동 사건에 대한 중국 학계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보면, 그 특징은 첫째 시민사회의 자율성을 정치적으로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선전도구로서의 대중매체를 넘어 새로운 온라인 매체의 실제 사회적 역할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경험적 연구에 치중하고 그러한 온라인 매체를 이용하는 젊은 세대 등 사회집단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둘째 개혁 개방 이후 개발행정과 그에 따른 사회적 이해관계가 복잡화되어 가고 있고 다양한 갈등이 집단행동으로 전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으나, 그러한 사회적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법적 혹은 행정적 절차의 제도화를 위한 연구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셋째 집단행동이 온라인을 통해 급속하게 확산된 이후 여전히 관련 정보를 은폐하고 관료주의적으로 처리하는 관행이 지속되면서 의혹이 확대되고 집단행동을 야기하는 악순환 구조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상태이다. This paper deals with characteristics of growing Chinese online collective activities in the 2000s through critical reviews of related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People"s Republic of China. After the period of reformation, Chinese collective activities have been proliferated by considerable number of Internet users, and redefined by agendas of a series of reformative social policies itself. In Chapter 2 we attempt to analyze issues and patterns of growing online collective activities. In Chapter 3-5 we introduce three problems of Chinese research trend through its critical review. The first problem has caused by a political ignorance of separation of communist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after the period of reformation, so that Chinese scholars have looked into a real role of online media, but with little focus on a relation between online activities and online users. The second problem is related to the fact that online collective activities based structurally on complex interest conflicts from development-oriented governmental policies, so that they had a recognition of the existence of growing interest conflicts in society, but paid little attention to insufficient reasonable conflict esolution process in both proper administrative appeals and due process of law. The third problem has been caused by a lack of transparency of administrative response system, which led to a speedy spread of reasonable doubt after proliferation of offline collective activities through Internet.

      • KCI등재후보

        호주와 한국의 수돗물 불소화 논쟁 비교

        서이종(Yi-Jong Suh) 한국환경사회학회 2008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2 No.2

        본 논문은 수돗물 불소화를 시례로 환경의 과학기술논쟁의 단일 사례 연구를 국가간 비교연구로 발전시킨다. 호주는 1950년대 불소화정책을 추진하여 67%를 넘는 데 반해 한국은 1980년대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불소화율이 낮은 나라이다. 호주와 한국은 추진주체로서 치과의사협회와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반면 비판적인 주체 형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호주는 대항과학자그룹이 형성되어 효과성에 대한 독자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논쟁을 국제화할 정도로 활성화된 반면 한국은 대항과학자그룹이 형성되지 않고 비과학자 시민운동가에 의해 외국의 비판적인 담론을 수입하여 쟁점화하고 더 많은 담론 수입을 통해 논쟁을 지속하였다. 따라서 대항과학자 형성 여부는 과학사회논쟁의 지속성과 논쟁방향 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This paper is to develop a comparative study of scientific-social controversy focused on the Public Water Fluoridation (PWF) in Australia and Korea. Although the rate of PWF in Australia is higher than in Korea, PWF policy was, in similar but some different way, initiated and supported by the Association of Dentistry and Government in two countries. But it is clearly different that its controversy was developed by critical counter-experts in Australia at 1980's, while it was done by civil movement-oriented non-scientist partly with a counter-expert in Korea. This difference lead to different way of its controversy in Australia and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